[[파일:attachment/Stand Alone Beat Masta/Stand_Alone_Beat_Masta.png|width=400]] [목차] == 개요 ==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GUHROOVY의 스피드코어 시리즈)]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GUHROOVY]]. GUHROOVY가 단독 명의로 유비트에 제공했던 [[AIR RAID FROM THA UNDAGROUND]]와 [[Beastie Starter]]를 이은 [[스피드코어]]계 곡이다. 전작들보다 분위기가 비교적 밝은게 특징이다. 곡의 약자로는 '''S'''tand '''A'''lone '''B'''eat '''M'''asta의 앞의 대문자를 줄여서 SABM으로 많이 불리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븜으로 불린다. [[AIR RAID FROM THA UNDAGROUND|에레기]] - [[Beastie Starter|비레기]]의 전통을 고려하면 '''스레기'''--쓰레기--로 불려야겠지만 사븜이란 이름이 잘 정착되어서 이쪽으로 불리진 않는다. == 가사 == ||Be crack it[* 이 부분은 Please watch out으로 들리기도 한다.](search & destroy) Be crack it (death to death) Be crack it (i never give it up) Be crack it (you ready to die) One way ticket to ride. Bound for gate of hell. Can not close my eyes. This is Last chance to live.[* 물 건너 일본에서는 이 부분이 [[차슈]] 빔(...)이라고 들린다는 몬데그린이 흥하고 있다. 그 외 다른 부분도 몬데그린이 흥하는 중.] Speedcore sounds for world. You never hide way 24/7[* 연중무휴. 24시간, 1주일 내내, 언제나라는 뜻. Always와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우리나라보다는 서양권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 for you. I tell ya you must live. Countless Sleepless nights. No night without dawn. Don't worry about anything. Believe yourself. (Believe yourself.) Countless Sleepless nights. No night without dawn. Don't worry about anything. Believe yourself. (Believe yourself.) ||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6||<:>9.5||<:>10.8|| ||<:>노트 수||<:>485||<:>753||<:>961|| ||<:>BPM||<-3><:>200||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3.11.04)}}}|| ||<:>모바일||<-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앨범}}} || ||<:>플러스 모드||<-3><:><#F8F8F8>[[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1.2|{{{#231816 saucer pack 23}}}]]|| * 관련 칭호[*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유비트 소서]] ~ * Stand Alone Beat '''Masta''' : 모든 보면 클리어 * もはや予想していた事態(이미 예상했던 사태)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2013|KAC 2013]]에서 D그룹의 과제곡으로 지금만 악곡으로 수록되었다. 유저들은 D그룹의 [[AIR RAID FROM THA UNDAGROUND|나머지]] [[Beastie Starter|두 곡]]을 보고 [[GUHROOVY]]의 신곡이라 예상을 했고, [[헐화|이미 예상했던 사태가 되었다]]. === EXTREME ===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10.8레벨)]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2기)] [youtube(tdL5APD7aVw)] EXT 채보 영상 [youtube(Rs8gW73p13k)] EXT EXC 영상 [youtube(XBvm6Sh5ud8)] EXT '''{{{#red HARD MODE}}}''' '''EXC''' 영상 곡이 나오기 전 [[유비트 소서]]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자면, 시리즈 초반기에 [[Confiserie]]와 [[Sol Cosine Job 2]]가 등장하면서 유비트 시리즈 기존 [[Evans|양대 산맥]] [[AIR RAID FROM THA UNDAGROUND|보스곡]]이 그 자리를 위협받았고, 그 후 [[OVERHEAT|OVERHEAT -Type J-]]가 초고난도로 등장해서 한동안 보스곡을 딱 한 곡으로 정의내리기 애매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시리즈 후반기에 이 곡이 나오고 클리어, 스코어링, 풀콤보 등 방면에서 종전의 보스급 곡들을 모조리 씹어먹었다. 한동안 유비트 시리즈의 보스곡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후 4년이 지나 [[유비트 클랜]]에서 [[Prayer]]가 등장하여 완전 독주 체제는 끝나게 되었다. [[유비트 페스토]]의 레벨 조정에서 [[Prayer]]와 함께 '''10.8'''로 조정되었다. 가동 개시 시점에서 10.9 난이도 악곡이 없었으므로, 사실상 제작진 공인 양대 보스곡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2019년 초 [[유비트 페스토]]에서 '''10.9'''를 달성한 [[1116(BEMANI 시리즈)|1116]]이 나오면서 공식적으로는 약 6년 만에 최강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고, [[유비트 애비뉴]]에서 일반 보면으로 10.9레벨을 받은 [[Crackpot Evangelist]]가 등장하면서 약 9년 만에 일반 보면 최강 자리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여태까지의 GUHROOVY 곡들이 그래왔듯이 비교적 무난한 도입부부터 시작해서 도입부가 끝난 뒤 본격적으로 [[Beastie Starter]]의 강화판 느낌인 좌우 분리 배치가 나온다. 그 다음은 상하배치가 섞인 동시치기 패턴이 이어진다. 이 구간은 노래가 나오는 30초 동안 계속 진행되고 동선도 꽤 큰 지라 그렛이 나기 쉽다. 그 후 잠깐의 공백과 쉬는 구간 뒤에 엇박이 들어간 난해한 박자 파트가 나오는데, 이 부분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 8개 파트는 기본 멜로디를 따라가고 왼쪽 8개는 보컬 음을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비트 시리즈에서 손에 꼽는 [[폴리리듬]] 구간. [[STELLAR WIND]]나 [[The Wind of Gold]]처럼 일정한 박자를 치는 것도 아니고[* 앞의 두 곡은 8박/4박을 왼손으로 처리하는 동시에 6박을 오른손으로 처리하는데 그나마 박자가 일정하고 반복적이다. 사븜처럼 박자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 개박으로 나오는 보컬 음에 따라 왼손으로 노트를 처리하는 동시에 오른손은 멜로디에 맞춰 나오는 노트를 처리해야 해서 감만으로 치기에는 상당히 어렵다. 거기에 BPM도 빠른 편이라 폴리리듬 채보들 중에서 난이도가 최상위권이다. 그리고 그 다음은 후살이 플레이어를 맞이하는데 이 구간은 치는 순서를 모르고 그냥 채보만 보면 '''아예 안 보인다.''' 빠르기도 빠르기지만 실제로 쳐 보면 '''손에 가려서''' 다음 위치가 전혀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또한 1번째 후살[* 중간에 아래쪽 패널 6개를 치는 구간이 있는데 이곳을 기점으로 ]뒤의 2번째 후살은 1번째보다 더욱 강화되어 있다. 이런 채보 구성 덕분에 쉬는 구간이 있긴 있어도 노트 비중이 매우 적어서 점수 올리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 뿐만 아니라 이 곡이 그루비 삼대장 중 유난히 강한 이유는 이전의 그루비 곡들이 가진 약점이 이 곡엔 없다는 것이다. [[AIR RAID FROM THA UNDAGROUND]]와 [[Beastie Starter]]는 구간별로 반복되는 패턴이 있어서 많이 파다보면 조금씩 난이도가 떨어지지만 이 곡은 구간별 채보의 특징이 있으면서도 그 반복성이 상당히 떨어지기 때문에 패턴을 익히는데 훨씬 더 많은 수고가 필요하다. 후반 발광이 그나마 반복성이 아주 조금 있긴 하지만 이건 위에도 서술했듯이 유비트 최악의 후살이라 불릴 정도로 흉악하기 때문에 많이 해봤자 난이도가 떨어지긴 커녕 오히려 [[저주#s-3|저주]]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괴랄한 난이도 덕분에 클랜 기준 평균 스코어는 '''뒤에서 1위'''를 기록했다. [[Prayer|3위]]와 [[Megalara Garuda|2위]]와의 차이가 독보적인 수준.[* ADJUST festo 기준 [[Prayer]]의 평균 점수는 "944,265", [[Megalara Garuda]]의 평균 점수는 "940,576", 그리고 본 곡의 평균 점수는 '''"933,608"'''] 하지만 괴악한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첫 엑설런트는 '''수록 직후 5시간 만에 떴다.''' 게다가 첫 수록 당일 한국과 일본에 각각 한 명씩, 총 두 명씩이나 엑설런트를 달성했다. === ADVANCED === [youtube(dWITu0Ue-7Y)] ADV 채보 영상 어드밴스드 패턴도 적잖게 어려운데, 초반에는 8비트 정박 위주의 적당한 9레벨 패턴만 나오지만 후반부는 초견 플레이 및 채보 영상 등을 참고하지 않고 점수를 올리려는 사람에겐 순간 체감 10레벨로까지 보일 수 있을 정도로 박자와 패턴 모두 난해하다. 그러나 어드밴스 9레벨이라는 틀은 유지하려 했는지 박자와 패턴 모두 상당한 반복성이 있고 거기서 조금씩 변형된 패턴이 나오는 전개이므로 그 뼈대가 되는 패턴과 박자를 채보 영상 등에서 익혀둔다면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 BASIC === [youtube(8xpoiECZhzI)] BSC 채보 영상 베이직은 보스곡 타이틀에 걸맞지 않게 정박 위주의 구성으로 무난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그래도 상하 배치가 꽤 자주 나오니 주의할 것. 그래도 상하배치의 기본기를 익혀두려면 여기서 연습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20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7}}} || {{{#orange 11}}} || {{{#red 15}}} || {{{#magenta 15}}} || || 스킬 레이트 || {{{#green 26}}} || {{{#orange 51}}} || {{{#red 81}}} || {{{#magenta 86}}} || || 오브젝트 || {{{#green 259}}} || {{{#orange 556}}} || {{{#red 931}}} || {{{#magenta 1102}}} || || MAX COMBO || {{{#green 308}}} || {{{#orange 647}}} || {{{#red 1296}}} || {{{#magenta 1386}}} || || JUST REFLEC || {{{#green 10}}} || {{{#orange 16}}} || {{{#red 27}}} || {{{#magenta 32}}} || || 수록버전 ||||||||<#F6EC01> [[리플렉 비트 그루빈]]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発見!よみがえったBEMANI遺跡]] PACK 2 || ||||||||||<#ffffff>{{{#green BASIC}}} : 오브젝트 3 증가 (리플레시아)[br]{{{#red HARD}}} : 난이도 1 증가 (볼짜)[br]{{{#magent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 [youtube(FEyEvVLli9g)] 하드 난이도 영상 [[발견! 되살아난 BEMANI 유적]] 연동 이벤트의 리플렉 비트 부문 최종 해금곡으로 등장했다. 리플렉 비트에 그루비의 노래가 실린 것은 이 노래가 처음. 마치 투덱에서의 [[Beastie Starter]]의 패턴을 보는 듯한 축연타 패턴덕에 여러모로 악명을 떨쳤다. 거기에 더해 931개라는 무지막지한 물량[* 수록 당시 기준 얼마 전까지 오브젝트수 1위를 하고 있던 [[Elemental Creation]], [[IX]], [[Zirkfied]]의 오브젝트 수가 942개이다. 딱 11개 모자라다는 것.]때문에 유비트에서와 똑같이 체력곡 성향을 띄고 있다. 100%에 [[회수]]까지 달성했을 때 나오는 점수는 3113점. 또한 유비트에서 이 곡을 악랄하게 만들었던 후살 부분은 첫번째 파트는 개인차가 매우 심한 패턴인 축연타+잡노트, 두번째 파트는 롱노트 잡고 체인 풀린 16비트로 치환해버려 이 곡의 난이도를 올리는 데에 한몫 하였다. 이후 VOLZZA에서는 12레벨로 상향되었다. 동렙 내에서는 개인차가 심해 개인차 보면으로 분류되는 중. 현재 해금자가 늘어나고 나서 채보의 평가는 [[Bad Maniacs]] SPECIAL 패턴 열화판이라는 평가이며, 대부분 [[perditus†paradisus]], [[chaplet]] 정도의 10++급이라는 평이 대세이다. 다만 클리어 면에서는 축 연타 부분을 [[뭉개기|뭉개도]] 클리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 곡들보단 약간 떨어지는 편. 그리고 동시치기가 꽤 많다! 초반의 2개씩 떨어지는 노트들과 축연타와 같이 떨어지는 잡노트 등... 그래서 양손이 따로 노는 플레이어라면 초견에도 좋은 점수를 딸 수 있지만, 퍼센트를 올리다 보면 [[다다다다다다다다다다|오히려 축연타가 사람 잡는다]] 또한 위 영상 1:25에 등장하는 롱노트는 무려 '''8초'''동안이나 누르고 있어야한다. [[리플렉 비트 시리즈]]에서 실질적인 최장 길이 롱노트라고 봐도 무방하다. [[半径30cmの中を知らない]]나 [[Ground Shake]] 등의 곡에 더 긴 롱노트가 존재하지만 곡 마무리 부분에 나온다거나 패턴이 단순한 등의 이유로 이 곡의 롱노트가 실질적인 최장 길이였다. [[DAY DREAM(이즈미 무츠히코)|DAY DREAM]]이 리플렉 비트에 이식되기 전까지는... MEDIUM 채보는 [[キャトられ❤恋はモ~モク]]가 가지고 있던 8레벨 최다 노트수 기록을 갈아치웠다. 당시에는 미디엄 채보 전체에서도 1위였으나 [[伐折羅-vajra-]]('''9레벨, 666개''')의 등장으로 밀려났다. 패턴은 8레벨 최약체 취급받던 キャトられ❤恋はモ~モク와는 달리, 이쪽은 8레벨 최강으로 취급받고 있다. 많은 오브젝트로 8분박을 시전하고, 특히 하드에서의 축연타는 여전해서 어지간한 9레벨 곡들과 맞먹는 수준이다. 결국 리플레시아에선 구 9레벨에 해당하는 11레벨로 승격되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익숙해지면 체감난이도는 빨리 내려가니 여기서 기본 박자를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리플렉 비트 플러스에서는 하드 레벨이 11로 잘못 나왔다. 물론 이 외의 17개의 12렙 곡도 문제지만.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임시적으로 삭제되었다가 2017년 10월 12일 부활했으며 화이트 하드의 등장이 예고되었다. 하드 보면의 스킬 레이트는 15레벨에서 가장 낮은 81. [youtube(Kq3xMcjDSYc)] 화이트 하드 플레이 영상 초반에 하드의 그 축연타가 축 부분이 버티컬이 아닌 체인 노트로 내려오며, 중간에는 [[JOMANDA]]에서 보았던 불규칙한 스위치롱 4개가 내려오는데 여기서 실수할 경우 AR에 큰 피해가 가므로 주의. 그리고 역시 하이라이트는 후살 부분인데, 축연타 부분은 버티컬이 2축으로 내려오다 일반노트 5개 연타를 하는 것으로 강화되었고, 롱잡 부분은 각 롱잡마다 롱노트가 하나 더 추가되어 손이 더 꼬이기 쉬워졌는데다가 [[DEADLOCK(BEMANI 시리즈)|롱노트의 길이로 장난을 치기까지 했다.]] 1102개라는 물량과 겹쳐서 손이 피곤해지는 보면. [[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