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스타보이, other1=위켄드의 동명의 싱글, rd1=Starboy(싱글), other2=유희왕의 카드, rd2=스타 보이)]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90620, #c90620)" {{{#fff ''' [[Starboy|[[파일:starboy_logo.png|width=200]]]][br]{{{#edbf0b 관련 둘러보기 틀}}}'''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파일:Grammys.svg|width=20]] {{{+1 {{{#000,#ddd ''' 그래미 베스트 어반 컨템포러리 앨범''' }}} }}}[br]{{{-1 {{{#BBB *<그래미 베스트 프로그레시브 R&B 앨범>으로 명칭이 변경(2021)되기 이전 수상 목록.}}}}}} || || [[2017년|{{{#000 2017}}}]] || || '''[[2018년|{{{#000 2018}}}]]''' || || [[2019년|{{{#000 2019}}}]] || || [[Lemonade]][br][[비욘세]][br] || {{{+1 → }}} || '''Starboy'''[br][[위켄드]][br] || {{{+1 → }}} || [[EVERYTHING IS LOVE]][br][[비욘세|더 카터스]] || ---- ||<#fff,#444><-5>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앨범 차트]] {{{#b2a529 '''역대 1위'''}}}}}} || || ''[[Hardwired... to Self-Destruct]]'' [br] [[메탈리카|{{{-2 {{{#8086a0 Metallica}}}}}}]] || {{{+1 → }}} || ''' ''Starboy'' '''[br]'''[[The Weeknd|{{{-2 {{{#8086a0 The Weeknd}}}}}}]]'''[br]{{{-2 (1주)}}} || {{{+1 → }}} || ''The Hamilton Mixtape''[br]{{{-2 {{{#8086a0 Various artists}}}}}} || || ''[[펜타토닉스#s-7.1|A Pentatonix Christmas]]'' [br] [[펜타토닉스|{{{-2 {{{#8086a0 Pentatonix}}}}}}]] || {{{+1 → }}} || ''' ''Starboy'' '''[br]'''[[The Weeknd|{{{-2 {{{#8086a0 The Weeknd}}}}}}]]'''[br]{{{-2 (4주 연속, '''도합 5주''')}}} || {{{+1 → }}} || ''[[Culture(음반)|Culture]]''[br][[Migos|{{{-2 {{{#8086a0 Migos}}}}}}]]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Starboy)]}}} || ---- [include(틀:The Weeknd Discography)] |||| [[파일:srarboylogo.png|width=200]] '''스타보이'''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Cs47zArVYAAg5dS.jpg|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디럭스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Fq3h23LWcAcJSI-.jpg|width=96%]]}}}}}}}}} || || '''아티스트''' ||[[The Weeknd|[[파일:The Weeknd 로고 색상.svg|width=200]]]] || || '''발매''' ||[[2016년]] [[11월 25일]] || || '''장르''' ||[[얼터너티브 R&B]], [[일렉트로팝]], [[신스웨이브]], [[팝 음악|팝]] || || '''길이''' ||68:40[* 타겟(캐나다 음반사) 버전 보너스 트랙(4:04) 포함 시 72:44.] || || '''트랙''' ||18[* 타겟(캐나다 음반사) 버전 보너스 트랙(1곡) 포함 시 19곡.] || || '''프로듀서''' ||'''The Weeknd''', '''Doc McKinney''', Ali Payami, Ali Shaheed Muhammad, Ben Billions, Benny Blanco, Bobby Raps, [[Cashmere Cat]], Cirkut, [[Daft Punk]], [[Diplo]], Frank Dukes, Jake One, [[Labrinth]], [[Max Martin]], Mano, [[Metro Boomin]], Swish || || '''레이블''' ||[[XO|[[파일:xologoreverse.png|width=22&bgcolor=#fff]]]] [[유니버설 뮤직 그룹#s-2.1.4|[[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5&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6년 11월 25일 발매한 [[The Weeknd]]의 정규 3집 앨범. 리드 싱글은 앨범과 동명인 "'''[[Starboy(싱글)|Starboy]]'''"이다. 1집 10트랙, 2집 14트랙, 3집 18트랙으로 3집이 믹스테잎 3개를 묶은 ''[[Trilogy]]''를 제외한 가장 많은 트랙을 보유한 앨범이 됐다. 또한 피처링 게스트가 적었던 1집과는 달리 [[Daft Punk]]가 두 곡에, [[Kendrick Lamar]], [[Future]], 그리고 이미 2집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는 [[Lana Del Rey]]가 각각 한 곡씩 참여했다. 2023년 3월 10일[* Die For You의 역주행에 힘입어 Starboy 앨범 역시 수 년만에 빌보드 200 차트 Top 10을 달성했고, 이에 맞춰 Die For You 리믹스를 포함 기존에 이미 발매한 바 있는 리믹스들을 추가했다.]에는 [[Ariana Grande]], [[Kygo]], [[Young Thug]] & [[A$AP Rocky]]가 각각 참여한 리믹스 곡들을 포함한 Deluxe 버전 앨범을 발매했다. 총괄 프로듀서에는 The Weeknd 본인과 ''[[Trilogy]]'' 시절부터 함께해온 Doc McKinney[* Starboy부터 모든 디스코그래피에 총괄 프로듀서를 올리지 않고, 프로듀싱에 참여한 모든 이들을 '작곡가(Composer)' 형식으로 크레딧에 올리고 있다. 그러나 정황상 곡의 전체적인 프로듀싱을 맡은 것으로 보이는 이 두 명을 총괄 프로듀서로 보아도 무방하다.]이며, 프로듀서에는 [[Max Martin]], Daft Punk, [[Diplo]], Frank Dukes, Cirkut, Mano, Cashmere Cat, [[Metro Boomin]], [[Labrinth]], Ali Payami, Ali Shaheed Muhammad, Benny Blanco, Ben Billions가 참여했다. 모든 정규 앨범에서 함께했던 DaHeala는 3집에서는 작사·작곡가로만 참여했다. == 상세 == 3집 ''Starboy''는 이전 ''[[Trilogy]]'', [[Kiss Land|1]], [[Beauty Behind The Madness|2집]] 때와는 다른 분위기의 곡들이 대거 포함됐다. 위켄드가 인터뷰에서 밝히길, ''Starboy''는 [[더 스미스|The Smiths]], [[Prince]], Bad Brains,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등 8-90년대 유행한 가수들에게서 영향을 받았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는 피처링진 중 'Daft Punk'가 두 곡에 참여했다는 것과 ''Starboy'' 트랙들이 상당히 올드팝적인 요소가 많다는 것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빌보드]]와의 인터뷰에서 [[50 센트|50 Cent]], [[우-탱 클랜|Wu-Tang Clan]]의 힙합, 클럽 곡들의 영향도 강하게 받았음을 이야기했다.[* 앨범의 수록곡들을 들어보면 알다시피, 여려 곡들의 스타일이 "Party Monster", "Sidewalks", "Six Feet Under", "All I Know" 등과 같이 지금까지의 위켄드와는 다른 음악 스타일과는 다르게 강한 베이스가 깔린 리드미컬하고 대중성 있는 곡들이 많다는 걸 듣자마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12월 둘째 주 빌보드 메인 앨범(Billboard 200) 차트에서 첫 주 348,000장의 앨범을 판매하며 언론과 매거진 등 대부분의 예상대로 '''1위'''를 달성했다. 또한 빌보드 싱글(Hot 100) 차트에 3집에 수록된 '''18곡 전부'''를 동시에 올렸다. 이는 본인의 두 번째 빌보드 메인 차트 1위 기록이다. 이 외에도 발매와 동시에 전 세계 '''80개국 아이튠즈 앨범 차트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후 리드 싱글 "Starboy"가 빌보드 Hot 100 2017년 1월 7일 주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긴 2위 생활(?)을 마치고 2017년의 첫 1위를 달성한 것. 이로써 "Starboy"는 The Weeknd의 세 번째 싱글 차트 1위 곡이자, [[Daft Punk]]의 첫 번째 1위 곡이 되었다. 또한 빌보드 R&B 차트에서 무려 '''20주 1위'''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Starboy'' 앨범의 경우 새 앨범들[* 미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뮤지컬 '더 해밀턴'의 OST 믹스테잎, [[J. Cole]]의 ''[[J. Cole#s-4.6.4|4 Your Eyez Only]]'', [[펜타토닉스]]의 ''A Pentatonix Christmas'' 등]의 등장으로 몇 주간 1위 자리를 내주다가, 5주만에 메인 차트 1위에 재등판하여 '''4주 연속 정상 자리'''를 꿰찼다. 2017년 2월 12일, '제 59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Daft Punk]]와 함께 합동 공연을 펼쳤다. 그래미 공연과 꾸준한 프로모션 덕분에 수록곡 "I Feel It Coming"이 2017년 4월 15일자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4위를 달성하며, 위켄드의 6번째 빌보드 Top 10 곡이자 Daft Punk의 3번째 Top 10 곡이 되었다. 그리고 3집은 2017년 Billboard 200 Year-end Chart에서 '''3위'''를 차지했다. ''Starboy''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의 R&B 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과시했다. 3집은 앨범차트에서 현재까지 연속으로 무려 180주 넘게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위켄드는 Top 100 아티스트 차트에서도 10위권 내에 자리잡고 있다. 또한 3집은 스트리밍 집계와 피지컬 판매 포함한 미국 판매량(약 '''4백만 장''' 이상)을 인정받아 RIAA에서 '''4x Platinum'''을 받았다. 또한 '발매 후 '''4년 동안''' R&B 장르의 앨범 중 ''Starboy''가 달성한 일주일 동안 가장 큰 스트리밍 회수인 '''1억 7500여 만 건'''을 '''뛰어넘는 앨범이 단 하나도 등장하지 못했다'''. 이 기록은 2020년 '''자기 자신'''의 4집 ''[[After Hours]]'' (약 2억 2천만 건)로 뛰어넘었다. 2023년 3월에는 수록곡 [[Die For You]]의 뒤늦은 재발굴 되었으며, 인기에 힘입어 발매된 [[아리아나 그란데]]와의 듀엣 리믹스 곡을 통해 빌보드 Hot 100 차트 1위를 달성했다. 이로써 2집, 3집, 4집까지 '''1위곡을 2개 이상 가진 앨범을 3개'''나 갖게되는 진귀한 기록을 갖게되었다. 현지시간 2022년 1월 10일 기준, [[스포티파이]]에서 약 '''66억 회''' 스트리밍되었으며, 위켄드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수치이다. 2023년 4월, 이 앨범이 흑인계 아티스트의 앨범 중 최초로 [[스포티파이]]에서 '''100억''' 스트리밍을 달성하였다. 지금까지 한 앨범으로만 100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아티스트[* [[에드 시런]], [[배드 버니]], [[두아 리파]], [[포스트 말론]]]은 몇 명에 불과했는데, 이로써 위켄드가 더욱이 정상급 아티스트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흑인계 아티스트의 앨범 중 두 번째로 스트리밍 횟수가 높은 앨범은 [[XXXTENTACION]]의 [[?(음반)|?]]이다.] === [[Daft Punk]]와의 협업 === 2집의 대성공으로 최고의 주가를 달리던 위켄드는 캐나다 출신 동료들 덕분에 Daft Punk와 연이 닿게 된다. 이후 Daft Punk가 파리에 있는 자신들의 스튜디오로 위켄드를 초대하며 그와 함께 "I Feel It Coming"[* 이 곡의 비트는 다프트 펑크의 멤버 Guy-Manuel이 찍었다고 한다.]을 공동 작곡하게 된다. 완성된 곡을 듣자 그 자리에서 위켄드는 곧장 또 하나의 곡을 써내려갔는데, 이 곡이 바로 첫 번째 트랙 "Starboy"의 기초가 된다. 때문에 앨범 수록곡 "Starboy"는 위켄드의 스타일이 강하게 느껴지고, "I Feel It Coming"은 다프트 펑크의 스타일이 강하게 느껴진다. 자신들도 이를 의도한 것인지 아예 뮤직비디오는 "Starboy"와 "I Feel It Coming"의 뮤비 스토리가 이어지는 내용으로 이뤄져있다. 또한 Starboy와 I Feel It Coming의 백그라운드에 깔린 피아노 멜로디도 잘 들어보면 앞부분이 상당히 비슷하다. 사실상 이 두 곡이 같은 곳에서 시작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곡의 상반된 분위기 때문에 주의깊게 듣지 않는다면 눈치채기 어렵다. === 평가 === || [[파일:cc_VT8sO_400x400.png|width=25]] '''Album of the Year''' || || '''[[https://www.albumoftheyear.org/album/62264-the-weeknd-starboy.php|{{{#fff 스코어 67/100}}}]]''' || ||
[[메타크리틱|[[파일:AnyDecentMusic.png|width=150]]]] || || '''[[http://www.anydecentmusic.com/review/8401/The-Weeknd-Starboy.aspx|{{{#fff 스코어 6.4/1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starboy,artist=the-weeknd,critic=67,user=8.0)] [[https://www.xxlmag.com/rap-music/reviews/2016/12/the-weeknd-starboy-album-review/|XXL 매거진]]은 앨범 출시 1주 뒤인 2016년 12월 6일, "[[BBTM|전작]]과는 [[다프트 펑크|다른]] [[하우스(음악)#s-2.6|음악적]] [[신스웨이브|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위켄드는 이번 앨범을 통해 밝게 빛나고 있다"라 평했다. HiphopDX는 '는 어려웠던 위켄드의 어릴 적 [[토론토]] 시절을 지금의 위치에 오르기까지를 음악에 담는 등[* Starboy, Sidewalks 등] 음악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평했다. [[MTV]]는 '이 세상의 음악 수준을 넘었다.'라는 평을 내기도 했다. [[가디언지]]에서는 'Starboy는 가치있는 앨범이나, 스타덤에 오른 위켄드의 노래냐,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진 위켄드의 노래냐는 확신하지 못한다. 위켄드는 그 둘 모두에 베팅을 한 것 같다'는 평을 내기도 했다. 앨범 속 트랙들 중 일부는 [[Michael Jackson]], [[Prince]] 등 80년대 향수를 자극하는 사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Random Access Memories|디스코 리바이벌 앨범]]을 내놓은 바 있던 [[Daft Punk]]가 리드 싱글에서 피처링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2집과는 다르게 트랩부터 펑키, 디스코, 팝 등등 굉장히 다채롭고, 굉장히 많은 장르와의 결합도 시도되었다. 위켄드가 이 앨범이 얼터너티브 R&B가 대중음악과의 결합에서 스펙트럼을 넓혀주는 역할을 해주기를 원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결과적으로 위켄드의 디스코그래피 사상 가장 많은 판매량을 달성하고 인기를 끈 앨범인 만큼, 그 역할을 톡톡히 해주었고 2집에서 보여준 성공을 3집에서 다시 한 번 달성하며 완전하게 '''팝 스타와 [[얼터너티브 R&B]] 아티스트의 사이에서 줄다리기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유독 앨범의 가사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이다. 사랑이나 관계의 회의, 마약과 같은 퇴폐적인 요소 등[* 애초에 이 요소에서부터 R&B/Soul 장르의 특징이 부각되고 있다.] 이전 작품과 큰 차이가 없는 가사들의 트랙이 많다. 그러나 한동안 퍼진 잘못된 이야기 중 하나는, 이 앨범 속 모든 트랙이 전부 마약과 섹스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 한 번이라도 전곡을 듣고, 가사를 찾아본 사람은 알겠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 1집과 2집, 혹은 이 사이에 출시된 곡들에서는 사랑에 대한 회의감에 대한 곡들[* Wicked Game, Real Life 등]과 마약에 관한 곡들[* The Zone, Girls Born In The 90s, Can't Feel My Face 등]이 주제였었다. 3집도 비슷한 곡들[* Party Monster, Six Feet Under 등]이 있지만, 오히려 사랑에 대해 이전보단 진보되고 성찰하는 생각이 담긴 가사의 곡들[* True Colors, [[Die For You]], [[I Feel It Coming]] 등]이 담겨 라는 앨범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트랙 간 주제가 엇비슷하다는 점은 있다. 이 것의 이유는 애초부터 2집 이후 단 1년만에 새 앨범을 내놓았다는 것과, 트랙 수가 많다는 것[* 트랙이 많으면 스트리밍을 통한 수익을 늘릴 수 있다. 요즘은(말이 요즘이지 사실상 2000년대 후반 부터) 앨범 자체를 사는 것보다 앨범 속 곡들을 디지털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하는 것이 일상이기 때문.], 그리고 리드싱글 'Starboy'의 가사만 봐도 알 수 있다. 가사도 메인스트림의 R&B, 힙합 속 그것이기에 실망한 이들이 많다. 물론, 다른 의미론 이전까지 위켄드가 이런 흔하게 들을 수 있는 스웩 100%의 가사를 도전해봤다고 할 수는 있겠다. Billboard지와 Variance, Complex 지에서 모두 2016년 최고의 앨범 50선에 를 넣었고, Noisey에서는 2016년 최고의 앨범 100선에서 꼽았다. Digital Spy에서는 2016년 최고의 앨범 20선에 무려 '''5위'''에 랭크했다. === 수상 === 각 음악관련 언론사별 '50 Best Albums of 2016 Year-End List'가 발표된 바 있는데, 는 [[Complex]]지에서는 40번 째에, [[빌보드]]에서는 21번 째에 이름을 올렸다. 2016 MTV 유럽 뮤직 어워드 최우수 뮤직비디오 부문에서 'Starboy' 뮤직비디오로, [[Beyonce]]의 'Formation', [[Kanye West]]의 'Famous'와 [[Coldplay]]의 'Up & Up' 등을 제치고 '''수상'''하였다. AMA 2017에서 'Favorite Pop/Rock Album'과 'Favorite Soul/R&B Album' 부문에 노미니되었으나, 수상에 실패했다. 또한 Billboard Music Awards의 Top Billboard 200 Album, Top R&B Album에 각각 노미니 되었으나, 수상에 실패했다. 그러나 Billboard Power 100[* 빌보드에서 그 해의 가장 파급력이 강한 아티스트들을 선정함.]에서 The Weeknd 본인이 1위를 차지하며, 아티스트 자격으로 수상했다. iHeartRadio Music Awards의 Male Artist of the Year 부문에선 노미네이트 되었으나, R&B Artist of the Year에선 수상에 성공했다. The Weeknd가 노미네이트를 11번, 수상을 무려 '''9번'''이나 한 바 있는 Juno Award의 Album of the Year에선 지난 2집 수상 이후 연속 수상을 달성하지 못하고 노미네이트 되었다. 하지만 로 R&B/Soul Recording of the Year에서 수상하며, 해당 어워드에서 무려 '''5번'''이나 같은 부문에서 수상을 하게 되었다. SOCAN Music Awards에선 싱글 'Starboy'로 Pop Music Award 부문에서 수상했고, 자신의 레이블 'XO' 소속 아티스트인 'Belly'와 함께한 'Might Not'으로 Urban Music Award 부문에서도 수상했다. [[파일:BestUrbanContemporaryGRAMMY2018.jpg|align=center]] 현지 시간으로 2018년 1월 28일에 있는 제 60회 '''그래미 어워드'''의 'Best Urban Contemporary Album'에 가 후보작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작인 2집 <[[Beauty Behind The Madness]]>의 수상 이후 두 번째 노미니로, [[Beyonce]], [[Chris Brown]], [[Miguel]], [[Rihanna]]의 뒤를 이어 이 부문의 '''최다 노미니된 아티스트'''가 되었다. 와 함께 노미니된 작품들은, 올해의 앨범상에 이름을 올린 [[Childish Gambino]]의 <[[Awaken, My Love!]]>와 평단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은 [[SZA]]의 <[[Ctrl(앨범)|Ctrl]]>, [[Khalid]]의 , [[6LACK]]의 이 있다. 이 후보작 중 가장 흥행에 성공한 작품은 단연코 이다. 이후 가 전작 2집에 이어, '''Best Urban Contemporary Album 부문'''에서 '''수상'''을 확정하며, 이 부문 '''최다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다. == 트랙 리스트 == ||<-2> '''{{{#edbf0b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 1 || '''[[Starboy(싱글)|Starboy]]''' {{{-2 (feat. [[Daft Punk]])}}} || || 2 || Party Monster || || 3 || False Alarm || || 4 || Reminder || || 5 || Rockin' || || 6 || Secrets || || 7 || True Colors || || 8 || Stargirl Interlude {{{-2 (feat. [[Lana Del Rey]])}}} || || 9 || Sidewalks {{{-2 (feat. [[Kendrick Lamar]])}}} || || 10 || Six Feet Under || || 11 || Love To Lay || || 12 || A Lonely Night || || 13 || Attention || || 14 || Ordinary Life || || 15 || Nothing Without You || || 16 || All I Know {{{-2 (feat. [[Future]])}}} || || 17 || [[Die For You]] || || 18 || '''[[I Feel It Coming]]''' {{{-2 (feat. [[Daft Punk]])}}} || ||<-2> {{{-2 크레딧: Lana Del Rey (2), Daniel Wilson (9), Future (10), Cashmere Cat (13), Mustafa The Poet (13)}}} || ||<-3> {{{#edbf0b '''Deluxe Bonus Track'''}}} || || 19 || Die For You (Remix) {{{-2 (feat. [[Ariana Grande]])}}} || || 20 || Starboy (Kygo Remix) {{{-2 (feat. [[Daft Punk]])}}} || || 21 || Reminder (Remix) {{{-2 (feat. [[Young Thug]], [[A$AP Rocky]])}}} || ===# 싱글 #=== ||
곡 제목 || 연도 || 기록 || 수상[* 구분 편의상 Diamond, Platinum, Gold는 RIAA의 바이닐 아이콘으로 대체함.] || || '''Starboy''' ||<|8> 2016 ||US Billboard Hot 100 '''1위'''[br]US Hot R&B/Hip-Hop Songs '''1위'''[* 빌보드 R&B 차트 공동 '''최장기 1위''' (20주) 곡.][br]US Rhythmic '''1위'''[br]US Dance Club Songs 2위[br]UK Singles 2위[br]Australia (ARIA) 2위[br]Australia Urban (ARIA) '''1위'''[br]Belgium (Wallonia) '''1위'''[br]Canadian Hot 100 '''1위'''[br]Canada CHR/Top 40 & Hot AC '''1위'''[br]Czech Republic '''1위'''[br]Denmark (Tracklisten) '''1위'''[br]France (SNEP) '''1위'''[br]Greece Digital Songs (Billboard) '''1위'''[br]Israel (Media Forest) '''1위'''[br]Ireland (IRMA) 2위[br]Mexico Ingles Airplay '''1위'''[br]Luxembourg Digital Songs '''1위'''[br]Netherlands Single Top 100 '''1위'''[br] Netherlands Dutch Top 40 '''1위'''[br]Norway (VG-lista) '''1위'''[br]Portugal (AFP) '''1위'''[br]Slovakia (Singles Digital Top 100) '''1위'''[br]Norway (VG-lista) 12위|| [[파일:DiaRIAA.png|width=30]] RIAA: {{{#7e7e7e '''Diamond'''}}}[* 전체 1100만 장의 판매고 달성][br][[파일:DiaRIAA.png|width=30]] Canada: {{{#7e7e7e '''Diamond'''}}}[br][[파일:DiaRIAA.png|width=30]] France SNEP: {{{#7e7e7e '''Diamond'''}}}[br][[파일:vmffk11.jpg|width=30]] ARIA: '''4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GLF: '''4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FIMI: '''3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IFPI[* 노르웨이 IFPI에선 3x Platinum을, 덴마크 IFPI에선 2x Platinum을 수상했다.]: '''3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UK BPI: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Pro-Música Brazil: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Spain: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Germany: '''Platinum''' || || '''False Alarm''' ||US Billboard Hot 100 55위[br]US Hot R&B/Hip-Hop Songs 23위[br]Canada (Canadian Hot 100) 33위[br]Australia Urban (ARIA) 9위[br]New Zealand Heatseekers (Recorded Music NZ) '''1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Canada: '''Platinum''' || || '''[[I Feel It Coming]]''' ||US Billboard Hot 100 4위[br]US Hot R&B/Hip-Hop Songs 2위[br]US Rhythmic 6위[br]US Mainstream Top 40 3위[br]US Adult Top 40 12위[br]US Dance Club Songs 12위[br]UK Singles 9위[br]Mexico (Billboard) '''1위'''[br]Colombia (National-Report) '''1위'''[br]France (SNEP) '''1위'''[br]Brazil Hot 100 Airplay 4위[br]Belgium (Ultratop 50) 3위[br]Australia ARIA 7위[br]Denmark (Tracklisten) 6위[br]Norway (VG-lista) 5위[br]Spain (PROMUSICAE) 6위|| [[파일:DiaRIAA.png|width=30]] France SNEP: {{{#7e7e7e '''Diamond'''}}}[br][[파일:vmffk11.jpg|width=30]] RIAA: '''4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Canada: '''5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ARIA: '''3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GLF: '''3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FIMI: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UK BPI: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RMNZ: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Norway IFPI: '''Platinum'''[br] || || '''Party Monster''' ||US Billboard Hot 100 16위[br]US Rhythmic '''1위'''[br]US Hot R&B/Hip-Hop Songs 8위[br]UK Singles 17위[br]Canadian Hot 100 8위[br]Canadian CHR/Top 40 9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2X Platinum'''[br][[파일:GoldRIAA.png|width=30]] Norway IFPI: Gold[br][[파일:GoldRIAA.png|width=30]] ARIA: Gold[br]UK BPI: Silver || || '''True Colors''' ||US Billboard Hot 100 48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 || || '''Six Feet Under''' ||US Billboard Hot 100 34위[br]US Hot R&B/Hip-Hop Songs 15위[br]UK R&B (Official Charts Company) 9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 || || '''Secrets''' ||US Billboard Hot 100 47위[br]US Hot R&B/Hip-Hop Songs 22위[br]UK R&B (Official Charts Company) 10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Canada: '''Platinum''' || || '''Sidewalks''' ||US Billboard Hot 100 27위[br]US Hot R&B/Hip-Hop Songs 12위[br]UK R&B (Official Charts Company) 6위[br]New Zealand Heatseekers (Recorded Music NZ) 2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br][[파일:GoldRIAA.png|width=30]] Canada: Gold || || '''Reminder''' ||<|3> 2017 ||US Billboard Hot 100 31위[br]US Hot R&B/Hip-Hop Songs 7위[br]US Rhythmic 8위[br]UK R&B 8위[br]New Zealand Heatseekers 2위[br]Canada CHR/Top 40 6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Canada: '''2X Platinum'''[br][[파일:GoldRIAA.png|width=30]] UK BPI: Gold[br][[파일:GoldRIAA.png|width=30]] Denmark: Gold || || '''Rockin'''' ||US Billboard Hot 100 44위[br]UK R&B 4위[br]New Zealand Heatseekers '''1위'''[br]Slovakia (Singles Digital Top 100) 11위[br]Sweden (Sverigetopplistan) 12위|| - || || '''[[Die For You]]''' ||US Billboard Hot 100 '''1위'''[br]US Hot R&B/Hip-Hop Songs '''1위'''[br]US Rythmic '''2위'''[br]Canadian Hot 100 10위[br]Canada CHR/Top 40 6위[br]UK Singles 4위[br]Austraila 3위[br]Ireland 6위[br]Malayisa International 6위[br]Netherlands 10위[br]Greece 7[br]Sweden Heatseeker '''1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5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Canada: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Austraila: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New Zealand: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Portugal: '''2X Platinum'''[br][[파일:vmffk11.jpg|width=30]] UK: '''Platinum'''[br][[파일:GoldRIAA.png|width=30]] France: Gold[br][[파일:GoldRIAA.png|width=30]] Italy: Gold[br][[파일:GoldRIAA.png|width=30]] Poland: Gold || * 2016년 9월 22일, "Starboy" * 2016년 9월 29일, "False Alarm"[* 프로모션용 싱글.] * 2016년 11월 24일, "[[I Feel It Coming]]" * 2016년 11월 25일, 수록곡 전체 디지털 싱글 발매.[* 때문에 2020년 3월 13일, RIAA에서 <[[Trilogy]]>, <[[BBTM]]>, , <[[My Dear Melancholy,|MDM,]]>에서 주목받았던 트랙들에게 Platinum을 대거 수상했다.] * 2016년 12월 6일, "Party Monster" * 2017년 5월 9일, 싱글(미국반) "Reminder"와 싱글(국제반) "Rockin'" * 2017년 9월 19일, "[[Die For You]]" * 2017년 11월 10일, "Secrets" * 2023년 2월 24일, "Die For You Remix" ==== [[Starboy(싱글)|Starboy]] ==== ||||<#fff,#444><-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싱글 차트]] {{{#b2a529 '''역대 1위'''}}}}}} || || ''[[Black Beatles]]'' [[Rae Sremmurd|{{{-2 {{{#8086a0 Rae Sremmurd}}}}}}]] || {{{+1 →}}} || ''' ''[[Starboy(싱글)|Starboy]]'' ''' '''[[The Weeknd|{{{-2 {{{#8086a0 The Weeknd}}}}}}]]'''[br]{{{-2 (1주)}}} || {{{+1 →}}} || ''[[Rae Sremmurd|Black Beatles]]'' [[Rae Sremmurd|{{{-2 {{{#8086a0 Rae Sremmurd}}}}}}]] || [[Starboy(싱글)|[[파일:starboysinglecover01.jpg|width=400px&align=center]]]]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tarboy(싱글))] 2016년 9월 22일 공개된 동명의 3집 리드 싱글. 첫 공개 직후 [[Daft Punk]]의 참여로 큰 화제를 이끌었다.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 Party Monster ==== [[파일:partmonsterbytheweeknd.jpg|width=400px&align=center]] 2016년 12월 6일 발매된 3집의 3번째 싱글컷 곡이자 2번째 트랙. 빌보드 Hot 100 차트 16위를 달성했고, 빌보드 Rhythmic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곡의 후반부 코러스의 주인공은 '[[Lana Del Rey]]'이나 피처링 게스트로 이름을 올리진 않았다. 전작의 수록곡인 'Often'과 비슷한 주제의 가사이다. 외로움을 이기기 위해 향락과 마약에 빠졌던 Often처럼 Party Monster에서는 여전히 즐거움만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 다만 차이점이 하나 있다. 서양권에서 하우스 파티를 한다고 하면, 초대된 사람들 중 일부는 금고를 털거나 사치품을 몰래 훔쳐가는 경우가 있는데, 여성이 자신의 재산을 훔쳐간다고 의심하면서도 그녀를 믿을 수 있는 존재인지 아닌지 망상하고 있다는 점이다. ==== False Alarm ==== [[파일:false_alarmbytheweeknd.jpg|width=400px&align=center]] 2016년 9월 29일 공개된 3집의 프로모 싱글이자 3번째 트랙.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55위를 달성했고, 뉴질랜드 Heatseaker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위켄드가 이번 3집과 관련한 인터뷰에서 80년대 향수를 자극하는 곡들이 있다라고 밝혔듯이 기존 위켄드의 곡과는 사뭇 다른 빠른 템포의 신나는 댄스 펑크 곡이다. 앨범 CD를 재생하면 바로 알 수 있는데, 이전 트랙인 Party Monster, 그리고 이 다음 트랙인 Reminder와 처음과 끝이 굉장히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 Reminder ==== [[파일:the weekndreminder.jpg|width=400px&align=center]] 2017년 5월 9일 발매된 3집의 4번째 싱글이자 4번째 트랙. 이미지는 Reminder의 Remix 버전으로 [[Young Thug]]과 [[A$AP Rocky]]가 참여했다.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31위를 달성했고, 뉴질랜드 Heatseaker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앞서 언급된 트랙들(Party Monster, False Alarm)과 서로 굉장히 유기적이고 자연스럽게 곡이 이어진다. 첫 번째 트랙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성공을 자랑하는 스웩 송이다. 이 곡의 가사 중 일부[* Said I'm just tryna swim in something wetter than '''the ocean''' / It just seem like niggas tryna sound like all my [[Trilogy|old shit]]]에서 [[Frank Ocean]]을 저격한다는 루머가 한 때 팬들 사이에서 이슈가 된 적이 있었다. 애초에 오션과 위켄드는 얼터너티브 R&B라는 장르만 같지 사실상 다른 음악을 하는 이들이면서 동시에 장르 선두주자이기도 하고, 해당 가사 자체도 마약인 [[퍼플드링크|퍼플 드링크]]를 수영할 수 있는 바다 마냥 쌓아놓았다는 스웩을 자랑하는 부분이라 루머가 사그라들었다. 애초에 위켄드는 함께 얼터너티브 R&B 삼인방이라 별명이 붙은 오션은 물론 [[Miguel]]과의 접점[* 다만 위켄드가 타 아티스트의 특정 곡에 프로듀서로 참여하면서 Miguel의 곡을 샘플링한 적이 있었다.]도 아예 없었고, 이러한 디스 논란이 있었음에도 위켄드나 오션이나 둘 다 반응하지 않았기에 금방 잊혀졌다. ==== [[Die For You]]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ie For You)] ||||<#fff,#444><-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Flowers(마일리 사이러스)|Flowers]]'' [br] ''[[마일리 사이러스|{{{-2 {{{#8086a0 Miley Cyrus}}}}}}]]'' || {{{+1 →}}} || '''Die For You''' [br] '''[[The Weeknd|{{{-2 {{{#8086a0 The Weeknd}}}}}}]] & [[Ariana Grande|{{{-2 {{{#8086a0 Ariana Grande}}}}}}]]'''[br]{{{-2 (1주)}}} || {{{+1 →}}} || || [[Die For You|[[파일:b5d1a7915c520b1ae91609e5f279eb90.jpg|width=400px&align=center]]]] 2017년 9월 19일 발매된 3집의 6번째 싱글이자 17번째 트랙. Hot 100 차트 43위 피크로, 상당히 애절한 가사와 위켄드의 감미로운 보컬로 인기를 끌었던 곡이다. 그런데 2021년 말부터 틱톡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급기야 스포티파이 및 애플 뮤직 등의 스트리밍 사이트 실시간 차트에도 다시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 이후 이 인기에 힘입어 곡 공개 후 5년만에 뮤직비디오를 공개했다. 이듬해 2022년, 위켄드가 After Hours 'till Dawn 투어를 진행하면서 다시금 주목도가 높아졌고 급기야 곡 공개 6년만인 2022년 9월 3일주차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71위로 '''재진입'''까지 하게 되었다. 2023년, [[아리아나 그란데]]와의 리믹스 곡을 발표했고 발매 7년만에 결국 Hot 100 차트 '''1위'''를 달성했다. ==== [[I Feel It Comin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 Feel It Coming)] [[I Feel It Coming|[[파일:ifeelitcomingbytheweekndaftpunk.jpg|width=400&align=center]]]] 2016년 11월 24일 발매된 3집의 2번째 싱글이자 마지막 트랙. "Starboy"와 다르게 Daft Punk의 색채가 가장 잘 묻어나온 곡이다. 여담으로, 이 [[앨범 아트]]가 메인 앨범 아트로 쓰일 예정이었다고 한다. 당시 제목은 ''MANIA''. == 뮤직비디오 == [youtube(34Na4j8AVgA)] 'Starboy'. 2016년 9월 28일 공개. 참고로 영상 후반부에 나오는 동물은 [[퓨마|블랙 팬서]]이다. 앨범에 위켄드가 참여했던 것을 감안하면, 해당 앨범에 대한 힌트였을 수도? [youtube(CW5oGRx9CLM)] 'False Alarm'. 2016년 10월 13일 공개. [[하드코어 헨리]]의 감독인 [[일리야 나이슐러]]가 제작을 맡았다. 도대체 어떻게 찍고 편집을 했을까 싶을 정도로 뮤비가 원테이크로 물 흐르듯이 진행이 되는데, 곡을 떼놓고 봐도 기승전결이나 긴박감이 대단하다. 다만 감독이 감독이다 보니 다소 폭력적인 장면이 있으므로 시청에 주의할 것. [youtube(kBsycvSU6r8)] 'All I Know', 'Sidewalks', 'Secrets', 'Die For You', 'Party Monster', 'I Feel It Coming'의 5개 곡을 담은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 스토리는 'Starboy' 이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2016년 11월 23일 공개. [youtube(diW6jXhLE0E)] 'Party Monster'. 2017년 1월 12일 공개. The Weeknd의 'In The Night'의 뮤직비디오 제작을 맡은 것과, [[VHS]] 스타일 영상으로 상당히 유명한 듀오 감독 그룹 'BRTHR'의 두 번째 위켄드 뮤직비디오 작품이다. 자신들만의 개성인 VHS 스타일을 상당히 수려하게 잘 뽑았다는 평이 많다. [youtube(JZjAg6fK-BQ)] 'Reminder'. 2017년 2월 16일 공개. 오랜만에 [[Drake]]와 위켄드가 함께 출연했다. 또한 [[A$AP Rocky]], [[YG(래퍼)|YG]], [[Bryson Tiller]], [[French Montana]], Belly, [[Metro Boomin]] 등 유명 힙합 가수들도 출연했다. 8월에는 [[Young Thug]], A$AP Rocky와 함께한 'Reminder' 리믹스 버전을 발매했다. 참고로 영상 속에서 등장하는 비행기는 위켄드의 '''개인 전용기'''다. [youtube(qFLhGq0060w)] 'I Feel It Coming'. 2017년 3월 9일 공개. 3집 앨범의 두 번째 복고풍(VHS) 스타일 뮤직비디오. 영상 후반부에 [[Daft Punk]]가 출연하며, 'Starboy'의 인트로 부분이 재생된다. 즉, 뮤직비디오 자체가 'Starboy'로 내용이 이어진다.[* [[파일:Daft Punk In Starboy MV.jpg]]][* 앞선 주석의 이미지는 Starboy 뮤직비디오에서 1분 17초부터 발견할 수 있는 액자 속 Daft Punk와 흑표범이 그려진 그림이다. Daft Punk가 서 있는 배경이 I Feel It Coming 뮤직비디오 후반부 및 썸네일 이미지 배경과 유사하다.] 여담으로, 이 MV에서 위켄드는 [[Michael Jackson]]의 자켓을 연상시키는 옷을 입고있다. I Feel It Coming 속 위켄드의 목소리가 3집 트랙 중에서 가장 마이클 잭슨의 목소리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은 곡이기 때문에 오마쥬한 것으로 보인다. [youtube(eXDU9um19HM)] 'Secrets'. 2017년 6월 11일 공개. Starboy MV에서부터 쭉 3집의 상징물이 되어온 '십자가'가 다시금 의미심장하게 등장했다. 뮤비 속에서 위켄드와 여러 접점을 보이며 얼굴을 비춘 백인 남성은, 2018년 초 위켄드의 레이블 XO와 계약을 한 캐나다 R&B 아티스트 '[[Black Atlass]]'이다. [youtube(uPD0QOGTmMI)] '[[Die For You]]'. 2021년 11월 25일 공개. Starboy 앨범 발매 무려 5년 만에 새로운 뮤직비디오가 공개됐다. 2021년 갑작스럽게 위켄드의 [[Die For You]]가 TikTok, Spotify 등에서 재차 인기를 끌며 각 스트리밍 차트 순위권에 들어오게 되며 주목을 받았다. 이에 위켄드는 자신을 기반으로 제작된 마블 코믹스 'Starboy'의 주인공의 어린 시절을 배경으로 새로운 뮤직비디오를 찍게 됐다. 또한 영상에 등장하는 [[Xbox Series S]]와 [[LG전자]]의 PPL 등으로 미뤄봐 과거에 찍어둔 것이 아니라 최근에 찍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분류:The Weeknd]][[분류:2016년 음반]][[분류:캐나다의 R&B 음반]][[분류:캐나다의 팝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얼터너티브 R&B]][[분류:일렉트로팝]][[분류:신스웨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