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텔라(아이돌)/음반]][[분류:2017년 음반]] [include(틀:스텔라(아이돌))] ||<-5><#EEE> [[스텔라(아이돌)/음반 목록|{{{#000 '''스텔라의 음반'''}}}]] || || {{{#fff {{{-2 '''싱글 1집'''}}}[br][[CRY|{{{#!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65em; color: #ed1b24; letter-spacing: -0.2px" '''CRY'''}}}]][br]{{{-2 (2016)}}}}}} || → || {{{#000 {{{-2 '''미니 3집'''}}}[br][[Stellar Into The World|{{{#!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65em; color: #EEE; letter-spacing: -0.2px" '''Stellar Into The World'''}}}]][br]{{{-2 (2017)}}}}}} || → || 해체 || ||<-2> '''{{{+1 Stellar Into The World}}}[br]3rd Mini Alb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ellar into the world(2400x2400).jpg|width=100%]]}}}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17년]] [[6월 27일]] || || '''가수''' || [[스텔라(아이돌)|스텔라]] || || '''기획사''' || 디엔터테인먼트파스칼 || || '''유통사''' || [[지니뮤직]] || || '''곡 수''' || 5곡 || || '''재생시간''' || 17:01 || || '''타이틀곡''' || '''세피로트의 나무'''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 [[6월 27일]] 발매된 [[스텔라(아이돌)|스텔라]]의 세 번째 미니 앨범. 이후 2018년 2월 26일 스텔라가 해체하면서 스텔라의 마지막 음반이 되었다. == 수록곡 == ||<:>'''{{{-2 {{{#000 트랙}}}}}}'''||<:>'''{{{-2 {{{#000 곡명}}}}}}'''||<:>'''{{{-2 {{{#000 작사}}}}}}'''||<:>'''{{{-2 {{{#000 작곡}}}}}}'''||<:>'''{{{-2 {{{#000 편곡}}}}}}'''|| ||<:>{{{-2 {{{#000 '''1'''}}}}}} ||<:>{{{-1 '''세피로트의 나무'''}}}||<:>{{{-2 Jon Hallgren, Samuel Waermo, 키겐}}}||<:>{{{-2 Jon Hallgren, Samuel Waermo}}}||<:>{{{-2 }}}|| ||<:>{{{-2 {{{#000 '''2'''}}}}}} ||<:>{{{-1 왜 때문에}}}||<-3><|2><:>{{{-2 GR8MOON, Rich Jang, Dono S.Rodriguez}}}|| ||<:>{{{-2 {{{#000 '''3'''}}}}}} ||<:>{{{-1 The Wave}}}|| ||<:>{{{-2 {{{#000 '''4'''}}}}}} ||<:>{{{-1 Twinkle}}}||<:>{{{-2 가영}}}||<:>{{{-2 가영, 김민서}}}||<:>{{{-2 가영, 김민서, 조문근}}}|| ||<:>{{{-2 {{{#000 '''5'''}}}}}} ||<:>{{{-1 세피로트의 나무 (Inst.)}}}||<:>{{{-2 }}}||<:>{{{-2 Jon Hallgren, Samuel Waermo}}}||<:>{{{-2 }}}|| === 세피로트의 나무 === ||<#fff> {{{-2 '''{{{#000 Track 1 〈세피로트의 나무〉}}}'''}}} || ||<#EEE> {{{-1 {{{#000 '''새로운 차원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는 문명의 탄생부터 꾸준히 논의되어 왔다. 우주 창조와 신, 영적인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유대교 신비주의 '카발라'에는 '세피로트의 나무'라는 개념이 있다. '세피로트의 나무'는 천국에 있는 '생명의 나무'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광대한 대우주를 의미함과 동시에 그 작은 모형인 소우주로서의 인체이자, 나아가서는 신에게 이르는 정신적인 편력을 의미한다. '스텔라'의 신곡 '세피로트의 나무'는 멜로디, 악곡, 그리고 가사에 이르기까지 이 고차원의 신비로움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동양적인 타악기리듬속에 펼쳐지는 몽환적인 선굵은 사운드는 마치 판타지소설속을 헤엄치는듯한 쾌감을 선사한다. 남다른 컨셉속에서 '스텔라'는 의식과 무의식, 이성과 감성, 질서와 혼돈이라는 대립되는 개념들을 뛰어넘은 완전한 사랑을 노래한다. '신화', '빅스', '버벌진트', '뉴이스트' 등의 타이틀곡을 프로듀스한 '키겐'이 작사하여 곡의 완성도를 높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nq6oBF5YDQ)]}}}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DDA0DD 가영}}} {{{#F9D537 민희}}} {{{#40E0D0 효은}}} {{{#6495ED 소영}}} {{{#FF7F50 전율}}}'''^^ Love me till the end {{{#F9D537 이성과 감정을 이 육체 속에 끌어안고}}} {{{#FF7F50 (ha 궁극의 미로)}}} {{{#40E0D0 끝없는 세피라 서른두 개에 길로 가}}} {{{#6495ED (ha 모두 가르쳐 줄게)}}} {{{#40E0D0 혼돈을 인지해}}} {{{#F9D537 (No matter where you are)}}} {{{#40E0D0 자신을 뛰어넘어}}} {{{#FF7F50 (We can do it)}}} {{{#DDA0DD 완전한 너를}}} {{{#6495ED (세상에 맡겨봐)}}} {{{#40E0D0 너무 아름다운 걸}}}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40E0D0 하나가 돼 줘}}}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DDA0DD 놓지 말아 줘}}} Love me till the end {{{#F9D537 Love me till the end 의식과 무의식 그 경계선은 무의미해}}} {{{#FF7F50 (ha 이해하겠니)}}} {{{#DDA0DD 어떤 상식도 넘어선 극한의 사랑을}}} {{{#6495ED (지금 가르쳐 줄게)}}} {{{#DDA0DD 자신을 버릴 때}}} {{{#FF7F50 (No matter who you are)}}} {{{#6495ED 열게 될거야}}} {{{#F9D537 (We can do it)}}} {{{#40E0D0 온전한 너를}}} {{{#6495ED (세상에 드러내)}}} {{{#40E0D0 생명의 나무 위에}}}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F9D537 하나가 돼 줘}}}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40E0D0 놓지 말아 줘}}} {{{#F9D537 Love me till the end}}} {{{#40E0D0 Love me till the end}}} {{{#6495ED 혼돈을 인지해}}} {{{#F9D537 우주 위에서 만나}}} {{{#40E0D0 Shining like a star 태양보다 더 밝게}}} Chase Chase Love me till the end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F9D537 하나가 돼 줘}}}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Give me your Love {{{#40E0D0 놓지 말아 줘}}} }}} || ==== 뮤직비디오 ==== || {{{#000 '''〈세피로트의 나무〉 Music Video'''}}}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ivBktSZ8yQ)]}}} || ==== 안무 영상 ==== || {{{#000 '''〈세피로트의 나무〉 Music Video (Dance 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wICzr5Ezq0)]}}} || === 왜 때문에 === ||<#fff> {{{-2 '''{{{#000 Track 2 〈왜 때문에〉}}}'''}}} || ||<#EEE> {{{#000 '''전세계 음악시장에서 가장 유행하고 있는 EDM 장르 중 하나인 트로피칼 하우스와 Kpop적인 요소를 접목시켜 탄생한 댄스곡이다. 잊을 수 없는 가슴 아픈 사랑을 탓하며 "왜왜왜왜때문에" 라는 파트의 재미난 가사와 중독성있는 후렴구 Drop이 인상적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2r2RNNWWvo)]}}}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DDA0DD 가영}}} {{{#F9D537 민희}}} {{{#40E0D0 효은}}} {{{#6495ED 소영}}} {{{#FF7F50 전율}}}'''^^ {{{#40E0D0 뭐 해 밥은 먹었어 뻔한 말 언젠가부터 매일 같은 우리 대화방}}} {{{#F9D537 이게 아닌데 또 왜 생각이 나 너 왜}}} {{{#6495ED 넌 정말 사랑 몰라 못해}}} {{{#FF7F50 나 그만 할래 너 그만 갈래}}} {{{#DDA0DD 사랑놀이 안해 One Two Three Four}}} {{{#FF7F50 딱 여기까지 우리 Bye Bye Bye Bye Goodbye}}} {{{#F9D537 그 말을 왜 못하니}}} {{{#6495ED 이런 생각 머릿속이 다 엉망같아}}} {{{#40E0D0 요즘 이래 뭔 일 있냬 나 어떡해}}} {{{#F9D537 왜왜왜 왜 때문에 나만 이렇게 아파 아파 사랑은 같이 했잖아}}} {{{#40E0D0 너너너 너 때문에 믿을 수 없어 남자 정말 울고 불고 다 거짓말}}} 왜왜왜 왜 때문에 왜왜왜 왜 때문에 [*M 민희가 리드하는 파트이다.] {{{#DDA0DD 너도 몰래 다른 여자}}} {{{#FF7F50 나도 몰래 다른 남자}}} {{{#40E0D0 소개도 받고 또 만나고 해봐도}}} {{{#DDA0DD 다시 너를 찾게 되고}}} {{{#FF7F50 매번 같은 상처에 또}}} {{{#F9D537 시간만 버리잖아}}} {{{#6495ED 이런 생각 머릿속이 다 엉망같아}}} {{{#40E0D0 요즘 이래 뭔일 있냬 나 어떡해}}} {{{#F9D537 왜왜왜 왜 때문에 나만 이렇게 아파 아파 사랑은 같이 했잖아}}} {{{#40E0D0 너너너 너 때문에 믿을 수 없어 남자 정말 울고 불고 다 거짓말}}} {{{#6495ED 왜 때문에 너 하나 때문에}}} {{{#40E0D0 이렇게 아플 수 있니 이제 그만 가 줄래}}} 왜왜왜 왜 때문에 왜왜왜 왜 때문에 [*M 민희가 리드하는 파트이다.] }}} || === The Wave === ||<#fff> {{{-2 '''{{{#000 Track 3 〈The Wave〉}}}'''}}} || ||<#EEE> {{{#000 '''지나버린 옛사랑이 슬픈 추억이 되어 멀리서 그저 바라만 봐도 눈물이 벅차오르는 순간을 노래하였다. 트로피칼 EDM 계열에 레트로 스타일 신디사이저와 뭄바톤 리듬이 만들어낸 독특한 사운딩은 스텔라가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하며, 그전까지 느낄 수 없었던 폭발적인 가창력과 호소력있는 가사로 듣는 내내 가슴이 먹먹해지는 곡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WnVo5j_JHg)]}}}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DDA0DD 가영}}} {{{#F9D537 민희}}} {{{#40E0D0 효은}}} {{{#6495ED 소영}}} {{{#FF7F50 전율}}}'''^^ {{{#DDA0DD 눈동자 속에 비친 내 모습 정말 그대로인데}}} {{{#6495ED 나는 아무렇지 않아 조금 흐려져 있어}}} {{{#40E0D0 가슴 가득해서 차 올라도 빠져들지 않을래 Tell me what to do So far away from wave}}} {{{#FF7F50 내게 밀려와 저 파도 끝에서}}} {{{#F9D537 낡아버린 시간 속에 부서지는 눈물}}} {{{#40E0D0 구름이 돼버려 모두 흩어질 때까지 Don't cry Let me bounce on the wave}}} {{{#FF7F50 Let me bounce on the wave}}} {{{#F9D537 No No baby never gon back down}}} {{{#40E0D0 Let me bounce on the wave}}} {{{#DDA0DD L}}}{{{#6495ED e}}}{{{#FF7F50 t}}} {{{#DDA0DD m}}}{{{#6495ED e}}} {{{#FF7F50 b}}}{{{#DDA0DD o}}}{{{#6495ED u}}}{{{#FF7F50 n}}}{{{#DDA0DD c}}}{{{#6495ED e}}} {{{#FF7F50 o}}}{{{#DDA0DD n}}} {{{#6495ED t}}}{{{#FF7F50 h}}}{{{#DDA0DD e}}} {{{#6495ED w}}}{{{#FF7F50 a}}}{{{#DDA0DD v}}}{{{#6495ED e}}} {{{#F9D537 수채화처럼 번져 버려진 시간 속에 눈물}}} {{{#FF7F50 낭비하긴 싫어 baby 더 이상 한 순간도}}} {{{#40E0D0 포기는 마 절대 놓지마 좀더 낮은 곳으로 데려갈게 Tell me what to do So far away from wave}}} {{{#FF7F50 내게 밀려와 저 파도 끝에서}}} {{{#F9D537 낡아버린 시간 속에 부서지는 눈물}}} {{{#40E0D0 구름이 돼버려 흩어질 때 Let me bounce on the wave}}} {{{#FF7F50 Let me bounce on the wave}}} {{{#F9D537 No No baby never gon back down}}} {{{#40E0D0 Let me bounce on the wave}}} {{{#DDA0DD L}}}{{{#6495ED e}}}{{{#FF7F50 t}}} {{{#DDA0DD m}}}{{{#6495ED e}}} {{{#FF7F50 b}}}{{{#DDA0DD o}}}{{{#6495ED u}}}{{{#FF7F50 n}}}{{{#DDA0DD c}}}{{{#6495ED e}}} {{{#FF7F50 o}}}{{{#DDA0DD n}}} {{{#6495ED t}}}{{{#FF7F50 h}}}{{{#DDA0DD e}}} {{{#6495ED w}}}{{{#FF7F50 a}}}{{{#DDA0DD v}}}{{{#6495ED e}}}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N}}}{{{#6495ED a}}} {{{#DDA0DD L}}}{{{#40E0D0 e}}}{{{#DDA0DD t}}} {{{#40E0D0 m}}}{{{#DDA0DD e}}} {{{#40E0D0 b}}}{{{#DDA0DD o}}}{{{#40E0D0 u}}}{{{#DDA0DD n}}}{{{#40E0D0 c}}}{{{#DDA0DD e}}} {{{#40E0D0 o}}}{{{#DDA0DD n}}} {{{#40E0D0 t}}}{{{#DDA0DD h}}}{{{#40E0D0 e}}} {{{#DDA0DD w}}}{{{#40E0D0 a}}}{{{#DDA0DD v}}}{{{#40E0D0 e}}} {{{#FF7F50 Let me bounce on the wave}}} {{{#F9D537 No No baby never gon back down}}} {{{#40E0D0 Let me bounce on the wave}}} {{{#DDA0DD L}}}{{{#6495ED e}}}{{{#FF7F50 t}}} {{{#DDA0DD m}}}{{{#6495ED e}}} {{{#FF7F50 b}}}{{{#DDA0DD o}}}{{{#6495ED u}}}{{{#FF7F50 n}}}{{{#DDA0DD c}}}{{{#6495ED e}}} {{{#FF7F50 o}}}{{{#DDA0DD n}}} {{{#6495ED t}}}{{{#FF7F50 h}}}{{{#DDA0DD e}}} {{{#6495ED w}}}{{{#FF7F50 a}}}{{{#DDA0DD v}}}{{{#6495ED e}}} Da lalala da lalala da lalala {{{#F9D537 낮은 곳으로}}} Da lalala da lalala da lalala {{{#40E0D0 저 파도 끝에서}}} Da lalala da lalala da lalala {{{#FF7F50 낮은 곳으로}}} Da lalala da lalala da lalala {{{#40E0D0 I'm bouncin' on the wave}}} }}} || === Twinkle === ||<#fff> {{{-2 '''{{{#000 Track 4 〈Twinkle〉}}}'''}}} || ||<#EEE> {{{#000 '''"Twinkle"은 스텔라의 팬덤 이름인 Twinkle을 의미하며, 스텔라 멤버 가영이 팬들을 처음 만났을 때 부터 지금까지의 고마움을 담아 만든 곡이다. 특히 랩 가사에는 스텔라의 타이틀곡 제목들을 넣어서 스텔라와 스텔라의 팬덤인 트윙클만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가영이 그동안 팬들에게 말하고 싶었던 진심을 담아 작사했으며, 처음으로 작곡과 편곡에도 참여하였고 직접 프로듀싱도 하였다. 여기에 스텔라 멤버들의 예쁜 목소리로 멤버들의 진심을 한층 더 깊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Z9tCl87Rws)]}}}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DDA0DD 가영}}} {{{#F9D537 민희}}} {{{#40E0D0 효은}}} {{{#6495ED 소영}}} {{{#FF7F50 전율}}}'''^^ {{{#DDA0DD 너를 처음 만난 그 날 그땐 오늘이 올 줄 몰랐어}}} {{{#6495ED 어색한 표정 서투른 내가 누군가한테 사랑 받을 줄은}}} {{{#F9D537 아무것도 아니었던 내가 아무것도 아닐 뻔한 내가}}} {{{#FF7F50 너를 만나고 너의 손 잡고 특별한 사람이 된 것 같아}}} {{{#40E0D0 내게로 와줘 고마워 어둠 속에 있던 날 언제나 환하게 비춰주는 너}}} {{{#6495ED 어떤 모습도 사랑해주는}}} {{{#40E0D0 내게로 와줘 고마워 네가 아님 없었을 내 오늘도 Twinkle하고 빛나고 있어}}} {{{#DDA0DD 기억하니 예전에 한 그 말 언젠가 서로 더 중요한 게}}} {{{#40E0D0 생기더라도 잊지 말자고 우리 함께한 모든 추억을}}} {{{#F9D537 많은 것을 바라지는 않아 이대로 영원할 수는 없을까 너를 만나고 함께 할 때면 더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 {{{#F9D537 내}}}{{{#40E0D0 게}}}{{{#F9D537 로}}} {{{#40E0D0 와}}}{{{#F9D537 줘}}} {{{#40E0D0 고}}}{{{#F9D537 마}}}{{{#40E0D0 워}}} {{{#F9D537 어}}}{{{#40E0D0 둠}}} {{{#F9D537 속}}}{{{#40E0D0 에}}} {{{#F9D537 있}}}{{{#40E0D0 던}}} {{{#F9D537 날}}} {{{#F9D537 언}}}{{{#40E0D0 제}}}{{{#F9D537 나}}} {{{#40E0D0 환}}}{{{#F9D537 하}}}{{{#40E0D0 게}}} {{{#F9D537 비}}}{{{#40E0D0 춰}}}{{{#F9D537 주}}}{{{#40E0D0 는}}} {{{#6495ED 어떤 모습도 사랑해주는}}} {{{#F9D537 내}}}{{{#40E0D0 게}}}{{{#F9D537 로}}} {{{#40E0D0 와}}}{{{#F9D537 줘}}} {{{#40E0D0 고}}}{{{#F9D537 마}}}{{{#40E0D0 워}}} {{{#F9D537 네}}}{{{#40E0D0 가}}} {{{#F9D537 아}}}{{{#40E0D0 님}}} {{{#F9D537 없}}}{{{#40E0D0 었}}}{{{#F9D537 을}}} {{{#40E0D0 내}}} {{{#F9D537 오}}}{{{#40E0D0 늘}}}{{{#F9D537 도}}} {{{#40E0D0 T}}}{{{#F9D537 w}}}{{{#40E0D0 i}}}{{{#F9D537 n}}}{{{#40E0D0 k}}}{{{#F9D537 l}}}{{{#40E0D0 e}}}{{{#F9D537 하}}}{{{#40E0D0 고}}} {{{#F9D537 빛}}}{{{#40E0D0 나}}}{{{#F9D537 고}}} {{{#40E0D0 있}}}{{{#F9D537 어}}} {{{#FF7F50 떨려도 전할래 내 고백 좀 멍청해 보일지 몰라도 내 마음 속에 있는 말 다 표현하긴 단어가 부족해 모든 걸 내게 다 준대도 난 너 하나로 족해}}} {{{#DDA0DD 수많은 가시에 찔려 세상에 질려 펑펑 울었어도 날 일으켜 준 니가 없인 아무것도 안돼 이젠 너 하나로 울고 웃는 난 마리오네트 니 앞에서만 벗을게 날 가렸었던 가면}}} {{{#40E0D0 (oh~)}}} 내게로 와줘 고마워 {{{#40E0D0 (내게로 와줘)}}} 어둠 속에 있던 날 언제나 환하게 비춰주는 너[*H 효은이 리드하는 파트이다.] {{{#6495ED 어떤 모습도 사랑해주는}}} 내게로 와줘 고마워 {{{#40E0D0 (내게로 와줘)}}} 네가 아님 없었을 내 오늘도 Twinkle하고 빛나고 있어[*H 효은이 리드하는 파트이다.] }}} || == 음반 구성 == ||
{{{#000 ''' ALBUM PREVIEW'''}}} || || {{{#!folding [ 열기 / 닫기 ] [[파일:170712 스텔라 WHITEver.jpg|width=100%]] [[파일:170712 스텔라 BLACKver.jpg|width=100%]]}}} || == 티저 == === 영상 === || {{{#000 '''〈세피로트의 나무〉 M/V Teas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LYsjCibg3c)]}}} || === 이미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imgnews1.naver.net/0003560638_001_201706201007225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DC5neKwUwAEHhpw.jpg|width=100%]]}}} || || '''[[김가영(1991)|{{{#000 가영}}}]]''' || '''[[효은|{{{#000 효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DCz1xV7U0AE5_p6.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DC-MJFPUQAAbA34.jpg|width=100%]]}}} || || '''[[전율|{{{#000 전율}}}]]''' || '''[[민희(인터넷 방송인)|{{{#000 민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DDEOe4RUIAEKjx-.jpg|width=100%]]}}} ||<|2><#EEE>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텔라(아이돌) 로고.svg|width=70%]]}}} || ||<#EEE> '''[[임소영|{{{#000 소영}}}]]''' || == 여담 == * 새 멤버인 소영을 영입하고 내는 첫 앨범이다. * [[메이크스타]]에서 세 번째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앨범 발매가 결정되었다. [[메이크스타]] 측에 따르자면, 명예제작자 버전의 앨범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이포처럼 국내에서 정식 발매는 되지 않은 채[* 일본에서는 정식 발매를 했다고 한다.] 발매될 수도 있다. 이번 앨범 활동에서 처음으로 팬들의 도움을 받아 '출석카드'와 메이크스타 물품 디자인이 진행되었는데, 팬들이 고대하는 '출석카드' 이벤트 당첨자 발표는 모종의 사정으로 취소되었다. * 일정에 줄다리기가 계속되다 7월 13일에서야 '클리토프의 나무'(검정색) 패키지와 '세피로트의 나무'(하얀색) 패키지 2종으로 정식 발매되었다. 하지만, 소속사와 유통사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속히 이뤄지지는 못 해서 랜덤으로 앨범이 발송되거나 구입할 수 있는 등 애로사항이 많았다. 28페이지 부클릿으로, 컨셉에 따른 색다른 쟈켓이 돋보인다. 멤버들의 사진이 아닌 표지로는, (디지털 싱글을 포함해서) 처음 발표되는 앨범. 멤버들의 Thanks To가 삽입되어 있는데 소속사의 병크(...)로 인해 스텔라 멤버들의 단체 Thanks To는 결국 누락되어 버렸다.[* 메이크스타 크라우드 펀딩에만 참여한 사람들에게만 누락되었던 단체 Thanks To 종이를 줬는데, 굴림체에 대충 만들어진 티가 난다.] 참고로 이 앨범을 받았는데, 방송 홍보용도 이 앨범으로 돌린 것이 함정. 정식으로 발매되었던 2종의 앨범의 사진과 더불어, 미공개 사진이 수록되어 소장가치를 메이크스타 앨범은 36페이지 부클릿으로, 온라인에 공개된 커버가 메인인 자켓이다. * 소속사에서 공식 홈페이지를 만들어 팬들과 소통하려 노력했으나, 얼마 안 가 공식 팬카페와 함께 홈페이지도 방치되고 말았다. 이스터 에그로 공개하려던 '소속사 까는 영상' 및 몇몇 자료들이 끝내 공개되지 못 했으며, 처음 발표했을 때 홈페이지에 게시되었던 40여장의 세피로트의 나무 뮤직비디오 스틸컷 사진도 날아가버렸다. 앨범과 동봉되는 포스터는 원래 정식으로 제공될 예정이었으나, 어찌된 영문인 지 팬싸인회와 <스텔라 데뷔 6주년 콘서트>에서만 증정되어 아쉬움을 남겼다. * [[http://naver.me/xSpQlgQU|이번 앨범을 통해 팬과 대중들은 보도 듣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공개 되는 티저 이미지, 뮤직비디오 티저 및 본편 등 아트워크에 숨겨진 장치를 찾아 나가는 판타지 영화 속 주인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해외 팬들이 앨범 컨셉을 분석하기 위해 만든 홈페이지도 있다. 세계관을 이해하기 좋을 듯 하다. [[https://sephirothtree.wordpress.com|#링크]] * 배급사가 지니뮤직으로 변경되었고, 전 앨범 타이틀곡인 '펑펑 울었어'의 뮤직비디오가 지니뮤직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텔라(아이돌)/음반 목록, version=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