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소련군/항공기]] [[분류:공격기]] [[분류:Su-27]] [include(틀:수호이의 항공기)] [include(틀:나무위키:틀/순차형, a=수호이기 계보, b=Su-30, c=Su-30, d=Su-32, e=Su-34,f=Su-34)] [[파일:external/ram-home.com/su-27ib2-prev.jpg|width=800]]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10513163614.jpg|width=800]] [목차] == 개요 == Su-32의 원형 Su-27IB(Istrebityel Bombardirovshchik - Fighter Bomber=전투폭격기)는 Su-24를 대체할 중장거리 공격기 계획에서 시작했다. Su-27IB의 최초 프로토타입 T-10V 42번기는 Su-27UB를 재개장한 기종으로, 1990년 최초 비행했다. T-10V 42번기는 이후 나오는 기체들과 다르게 랜딩기어 등 후방 동체는 Su-27과 같으므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 제원 == Sukhoi Su-32FN Fullback 분류 전폭기 승무원 2명 전장 23.34 m 전폭 14.7 m 전고 6.09 m 익면적 62.04 m² 익면하중 - 자체중량 22,500 kg 적재중량 39,000 kg 연료적재중량 12,100 kg 최대이륙중량 45,100 kg 엔진 Saturn AL-31FM1 터보팬 엔진 x 2기 엔진출력 (AB: 135 kN (30,300 lbf) 항속속력 마하 1.2 최대속력 마하 2.02 항속거리 1,100 km 페리항속거리 4,000 km 전투행동반경 1,100 km 실용상승한도 15,000 m (49,200 ft) 고도 상승률 - 추력중량비 0.68 최대 중력 하중 계수 +9G 항전장비 레이더 V004 PESA 레이더 IRST - ECM L-175V Khibiny SAP-14 SAP-518 RWR L150 Pastel 하드포인트 12개소 무장 고정 Gryazev-Shipunov GSh-30-1 30mm 기관포, 180발 탑재 공대공 미사일 R-27RE/TE Vympel R-73E Vympel R-77M/P/T Vympel NPO R-74 izdeliye 공대지 미사일 Kh-25ML Kh-29L/TE 3M-14AE Kh-25MP Kh-31P/PD Kh-58UShE 공대함 미사일 3M-54AE1 Kh-31A/AD Kh-35U Kh-59MK P-800 로켓 B-8 20발 로켓포드 B-13 5발 로켓포드 O-25 1발 로켓포드 S-80FP 로켓포드 폭탄 KAB-500KR KAB-500L KAB-500OD KAB-500S-E KAB-1500KR KAB-1500L GBU-500 GBU-500T GBU-1000 GBU-1000T 어뢰 TT-4 324mm 프로토타입 경어뢰 혹은 UMGT-1 450mm(17.7") 음향유도 항공 중어뢰 == [[Su-27KUB]]와의 관계 == 다만 널리 알려진 것과는 달리 Su-27IB/32/34로 이어지는 전폭기 라인과 함상형 Su-27K의 복좌형인 Su-27KUB와의 관련성은 설계국이 같다는 점을 빼면 공통점이 없다.[* 지금은 수호이 사가 생산 공장도 소유한 대규모 방산업체가 되었지만 구 소련 시절만 해도 그저 전투기를 설계하는 일개 설계국일 뿐이었다. 함상형 복좌 전환훈련기의 프로젝트 명은 T-10KM2로 Su-27IB의 시제형인 T-10V와는 다르다.][* 심지어 Su-27KUB의 첫비행은 1999년으로 T-10V보다 10년이 늦다] == 착함 여부 == 결론부터 말하자면 항모에 착함할 수 없다.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su-34-image5.jpg]] T-10V는 사진처럼 '''후방에 어레스팅 후크가 없다.''' 즉, 항공모함에 착함 자체가 불가능한 기종이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10513163614.jpg]] 이사진 처럼 항공모함에 착함하는 것처럼 보인 사진은 정말 훈련 중에 우연히 찍힌 사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는 Su-27IB가 항공모함 갑판 위에 있을 때 또는 항공모함 이륙 사진조차 없다. 1993년 비행한 T-10V2는 후방 동체 등을 재설계해서 양산형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된 기종이다. T-10V2의 마킹은 43번이다. [[파일:external/ram-home.com/su-27ib2-prev.jpg|width=725]] Su-27IB에 대한 오해는 개발사인 수호이 사가 만들어낸 측면도 있다. 이후 1995년 파리 에어쇼에서는 Su-27IB 시제기 45번기를 해군형 Su-32FN으로 홍보했는데, FN이라는 말 자체는 다기능이라는 의미로 B005 다기능 레이더의 기능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의 이름이었으며 45번기에 장착된 이 때 전시된 Su-32FN도 후방 동체에 어레스팅 후크가 없었다. 즉 해안가에 위치한 해군 소속 비행장에서 운용할 수 있는 기종인데[* 러시아 해군은 바닷가에서 침투하는 미군/NATO군을 견제하기 위해 해군기지에 활주로도 깔고 [[Su-24]]와 같은 공격기는 물론 [[Tu-22M]] 같은 대함미사일 장착 폭격기나 [[Tu-95]]를 개조한 대잠탐지기도 운용했다. 지금은 [[Su-30]]SM으로 Su-24 대체 중.] 위의 프로토타입이 항공모함에 위장 착함(?)하는 사진과 맞물려 항공모함에서 운용하는 대형 공격기라는 오해를 샀다. 해군형 Su-32FN과 공군형 Su-34의 차이는 해상감시장비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잠전에 사용할 ASW(Anti-Submarine Warfare)를 장착한 것이 해군형의 가장 큰 특징인데, 장대한 항속거리를 바탕으로 장시간 해상에 머물면서 해안가로 침투해오는 적 잠수함을 탐지하고 공격하기 위한 기종이었다. 해군형 Su-27IB가 배치되었으면 Su-32라는 제식 명칭을 받았을 수도 있겠으나, 현재 해군항공대용 [[Su-24]]는 [[Su-30|Su-30SM]]으로 대체되고 있고 현재 배치되고 있는 Su-34는 모두 러시아 공군 소속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u-34, version=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