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T-62)] [include(틀:T-62)] [목차] == 개요 == T-62를 운용한 국가를 서술한 문서이다. == [[유럽]] == === [[소련]] === 원조 사용국. === [[러시아]] === 극동 방면 주둔군이 2015년에 퇴역시키며 치장물자로 돌렸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인해 2022년에 재취역했다. 이들 중 다수는 obr.2022 개조를 거쳤다. === [[우크라이나]] === 러시아군으로부터 노획한 장비를 일부 운용중이다. 전선 사용 불가판정을 내린 다수 장비는 구난전차, 중장갑차, 보병전투차량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일부 차량은 [[BMP-2]]의 포탑을 다는 등 많은 개조를 거쳤다. === [[벨라루스]] === === [[조지아]] === === [[영국]] === === [[불가리아]] === === [[체코슬로바키아]] === == [[아시아]] == === [[이스라엘]] === 중동 전쟁 당시 시리아군으로부터 다수를 노획했다. === [[레바논]] === === [[시리아]] === === [[이라크]] === ==== [[이라크 쿠르디스탄]]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시리아군으로부터 노획하여 모술 공격때 사용하거나 알-파루크 기갑대대에 배치한적 있었다. === [[이란]] === === [[예멘]] === ==== [[북예멘]] ==== ==== [[남예멘]] ==== === [[아프가니스탄]] === ==== [[아프간 국민 저항 전선]] ==== 소련군이 아프간전때 유기한걸 재생하여 사용한다.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 [[중국]] === 중소 국경분쟁때 545호차를 노획하였다. === [[북한]] ===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설에 의하면 시리아 대통령이 T-62D를 한대 선물해줬다 정도로 알려졌으나 소련은 북에 판매하는것에 딱히 거부감이 없어서 71~78년 사이에 500대를 판매했다.[* 해당 시기는 T-72가 본격적으로 생산될 시기라 소련입장에선 딱히 t-62판매를 거부할 이유는 없었다.] === [[몽골]] === === [[베트남]] === == [[아메리카]] == === [[쿠바]] === == [[아프리카]] == === [[이집트]] === === [[알제리]] === === [[리비아]] === === [[에리트레아]] === === [[에티오피아]] === === [[우간다]] === === [[앙골라]]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62, version=1114)] [[분류:T-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