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분류:유희왕/OCG/튜너]] [include(틀:관련 문서, top1=TG(유희왕))] [include(틀:안티노미 덱 관련 문서)] ||<#EAEAEA>
<:>'''{{{#!htmlTG 원더 매지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GWonderMagician-JP-Anime-5D-NC.png |width=100%]]}}} || ||<#EAEAEA><:>{{{#111111 リミッター解放、レベル5!ブースターランチ、OK!インクリネイション、OK!グランドサポート、All Clear!GO、シンクロ召喚!カモン、'''{{{#!htmlTG ワンダー・マジシャン}}}'''![br]리미터 해제 레벨 5! 부스터 런치 OK, 인클리네이션 OK, 그랜드 서포트, All Clear! GO, 싱크로 소환! Come on! '''{{{#!htmlTG 원더 매지션}}}'''!}}}||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싱크로 / 튜너]]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TGWonderMagician-TF05-JP-VG.png|width=45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TG(테크지너스) 원더 매지션 SCXー1000, 일어판 명칭=TG(テックジーナス) ワンダー・マジシャン SCXー1000, 영어판 명칭=T.G. Wonder Magician, 레벨=5,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900, 수비력=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TG(테크지너스)"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패의 튜너 1장을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기계족으로도 취급한다. 기계족을 대상으로 한 자신의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이 카드가 받을 때\,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은 절반이 된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이 효과로 패에 넣은 카드는\, 이 턴 사용할 수 없다.)] [[유희왕 5D's]]에서 [[브루노(유희왕)|복면의 D-휠러]]가 사용하는 싱크로 튜너 몬스터 중 하나. 공격명은 '머시나이즈 소서리(マシンナイズ・ソーサリー)'. 구체 형태의 에너지탄으로 공격한다. 일본판에서는 처음 나왔을 땐 어딜봐도 여자같은데 '''남자 기합이 나와서''' 시청자들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한국판에선 처음 나왔을 때부터 여자 목소리가 나왔다.] 그 뒤로는 제대로 여자 목소리로 바뀌고 나중에는 윙크나 기도까지 한다. 하지만 여기서는 마법사 주제에 날아오는 [[A·폭탄]]을 '''주먹으로 잡는''' 모습을 보여주며 어김없이 시청자들을 당황시켰다. 액셀 싱크로까진 평범하게 튜닝하는데, 델타 액셀 싱크로 시에 모자가 벗겨지며 싱크로 소재가 된다. 설정화로는 존재했던 벗은 머리가 아깝다며 넣었다고. [[파일:TGWonderMagician-TF06-JP-VG-Loading-2.gif]]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선 로딩 일러스트 중에서 자주 나온다. 제작진이 좋아하는 듯 하다. 참고로 [[안티노미]] 덱의 [[아이돌 카드(유희왕)|아이돌 카드]]이기도 하다. 원작에서도 제법 작화보정 잘 받은 편에 속하기도 하고.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TG ワンダー・マジシ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TG(테크지너스) 원더 매지션, 일어판 명칭=TG(テックジーナス) ワンダー・マジシャン, 영어판 명칭=T.G. Wonder Magician, 레벨=5,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900, 수비력=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TG(테크지너스)"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익스트림 빅토리]]에서 등장한 TG 중 하나. 비튜너 몬스터는 [[TG(유희왕)|TG]] 몬스터를 요구하고 있지만, TG는 레벨 1에서 4까지의 비튜너가 다 갖춰져 있으니 싱크로 소환 난이도는 그리 높지 않다. [[TG 스트라이커]]+[[TG 워울프]], [[TG 사이버 매지션]]+[[TG 러시 라이노]], [[TG 제트 팔콘]]+[[TG 중강갑 드래곤]] 또는 [[TG(유희왕)#TG 메탈 스켈리턴|TG 메탈 스켈리턴]], [[TG(유희왕)#TG 스크류 서펜트|TG 스크류 서펜트]]+[[TG(유희왕)#TG 부스터 랩토르|TG 부스터 랩토르]] 등의 조합을 꼽을 수 있으며, 나름대로의 효과로 연계도 가능하다. 또한 튜너 제약은 없으니 [[정크 싱크론]] 1장으로 싱크로 소환을 노려볼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면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하는 강제 발동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싱크로 소환만 해도 어드밴티지가 생기며, 추가로 싱크로 소환을 노리는 경우라도 마법 / 함정에 의한 제거의 위협을 조금이나마 치울 수 있으니 편리하다. 다만 강제 효과인데다 파괴 대상이 자신이나 상대 필드를 따지지 않으므로, 자신 필드에만 마법 / 함정이 남아있다거나 상대 필드에 파괴를 조건으로 발동하는 카드가 있을 경우 등을 주의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일부 싱크로 튜너가 가지고 있는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즉시 효과|유발 즉시 효과]].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싱크로 튜너]]인 덕분에 고레벨 싱크로 소환으로 연계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TG(유희왕)|TG]] 몬스터인 [[TG 블레이드 건맨]]의 싱크로 소재도 될 수 있으며, 같은 레벨의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과도 상성이 좋다. 레벨 5 싱크로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특화된 구축이라면 상기 카드와 함께 여러 활약이 가능해진다. ③의 효과는 이 카드가 파괴되면 덱에서 1장 드로우하는 강제 발동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보험용으로 좋은 효과고 강제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다. 범용성 면에서는 드로우 효과가 매우 강력하고 싱크로 소환도 훨씬 용이한 [[포뮬러 싱크론]]이 더 뛰어나지만, 그래도 이 처자도 TG 전용덱으로 짜면 포뮬러 싱크론 이상으로 쓰기 좋다. 여담이지만 싱크로 튜너이면서 레벨 5이기 때문에 [[레벨 스틸러]]만 있으면 이 카드의 레벨을 레벨 스틸러로 깎아 [[A·O·J 카타스톨]]이나 [[매지컬 안드로이드]],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 등을 부르는게 가능하다. 필드에 사서가 있거나 별다른 싱크로 소재를 조달할 수 없다면 그쪽도 괜찮은 선택이다. 사실 TG 이외의 덱의 경우에도 비교적 범용성이 높은 [[TG 워울프]] 등을 채용함으로서 소환을 노릴 수 있다. 또 묘지에 효과를 안쓴 [[그로우업 벌브]], 패에 [[도플 워리어]], [[정크 싱크론]], TG 워울프가 있고 필드가 텅텅 빈 상황이라면 바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이 나올 수 있다. 그만큼 특소위주의 덱이라면 한 번쯤 써볼 가치가 있는 카드이다. 또 TGX1-HL과의 콤보가 상당히 좋다. 특히 TG 대행천사의 경우 * 패에 [[신비의 대행자 어스]]와 [[TG 워울프]]가 있다. * 신비의 대행자 어스를 소환하고 효과로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를 서치. * 그 다음 턴에 어스가 살아있으면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를 일반 소환.(만약 신비의 대행자 어스가 죽었더라도 [[TG 스트라이커]]가 있으면 먼저 특수 소환.) *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의 효과를 2번 발동하여 [[신성한 구체]] 2장을 특수 소환. * 신성한 구체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TG 워울프의 효과를 발동하여 특수 소환. * 신비의 대행자 어스(or TG 스트라이커) + TG 워울프 = TG 원더 매지션. 나오자마자 바로 마법 / 함정 1장 파괴한다. 이후는 다음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 * 원더 매지션 + 신성한 구체 2장 =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 아직 남아있는 창조의 대행자 비너스로 신성한 구체 1장을 더 특수 소환하고 원더 매지션 + 신성한 구체 = [[고대 홀리 와이반]] & 신성한 구체 + 신성한 구체 = [[다이가스타 피닉스]]로 초특대 데미지를 먹인다. * 그 외 레벨 8 /10 싱크로 소환도 문제 없다. 이런 식으로, 또는 비슷하게 깽판을 치다 보니 결국 신비의 대행자 어스와 TG 스트라이커는 제한이 되고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의 금지를 초래했다. 이 카드는 싱크로 소재 제한 때문에 범용성이 낮다는 점 덕분에 사서와 달리 금제를 피해갔다. 만약에 싱크로 소재 제한이 없었다면 바로 제제당했다. 일반적인 싱크로 소환에서는 아무런 조건 없이 소환 가능한 레벨 5 싱크로 튜너인 [[액셀 싱크론]]이 레벨 변경도 가능한지라 압승. 허나 소재 제한을 무시하고 싱크로 튜너를 뽑아내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의 공개 이후에는 재평가받고 있는데, 이 카드로 싱크로 소환을 하건 말건 일단 내놓는 것 자체만으로 이득이 되기 때문이다.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 덱에선 상대 턴에 파괴되면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봉인 효과를 발동하는 아티팩트-데스사이즈를 파괴하면 금상첨화로, 다음 턴 5+5 싱크로 소환으로 잘 죽지도 않는 3300짜리 어태커 [[화이트 아우라 바이하무트]]까지 불러낼 수 있다.이것을 이용한 신종 아티팩트 싱크로 굿스터프 덱이 연구되기도 했으며, 이후 하리파이버가 필카급으로 정착하자 아무 덱에서나 넣고 빌드를 짜는 용도로 쓰여서 이 카드의 시세가 폭증하고 있다. 다만 문제라면, [[익스트림 빅토리]]에서 가뜩이나 수요도 높은데 슈퍼 레어 주제에 봉입률이 가장 미칠 듯이 낮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냐면, '''[[정크 버서커]] 홀로그래픽 레어와 거의 동급 혹은 그 이상이라 봐도 무방.''' 본격 슈퍼 레어가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를 전부 무시하게 생겼다. 하지만 레어리티 컬렉션에서 복각되면서 구하기가 좀 수월해졌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11-0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VC-JP040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2-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C02-JP027 | [[레어리티 컬렉션|RARITY COLLE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CR)] || ||<(> 2011-05-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EXVC-EN040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14-10-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5D-EN213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06-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LRR-EN057 | BATTLES OF LEGEND: RELENTLESS REVEN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1-10-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7-EN017 | OTS TOURNAMENT PACK 1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VC-KR040 | '''[[익스트림 빅토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5-2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C02-KR027 | [[레어리티 컬렉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