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속철도 브랜드)]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 1px #fff solid"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30]]}}} {{{#ffcc00 '''서유럽의 고속열차'''}}} || ||<:>[[파일:TGV inOui 로고.svg|width=80]]||<:>[[파일:OUIGO 로고.svg|width=50]]||<:>[[파일:유로스타 로고.svg|width=70]]||<:>[[파일:탈리스 로고.svg|width=70]]|| || '''{{{#fff TGV}}}''' || '''{{{#fff Ouigo}}}''' || '''{{{#fff Eurostar}}}''' || '''{{{#fff Thalys}}}''' || || [[파일:TGV Sud-Est.jpg|width=100%]] || || '''1세대 TGV인 [[TGV 쉬드-에스트]] 초창기 오렌지 도색'''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ZZMViMDjto)]}}} || || {{{#e61e2b,#ffffff '''▲ TGV 관련 다큐'''}}} || ||
[youtube(wZ_bLXQiksc)] || || '''마르세유 - 리옹구간 [[TGV 듀플렉스]] 전면부 주행영상''' || [[프랑스]] [[SNCF]]에서 운영하는 [[고속철도]] 브랜드. [[1981년]]에 개통됐고 [[프랑스국철]]에서 운영한다. [[프랑스어]]로는 '''떼제베'''(le TGV)[* le는 프랑스어 정관사의 단수 남성형으로 영어의 “The”에 해당한다. 브랜드명 자체에 정관사가 들어가는 프랑스 우체국 라 포스트(La poste)의 경우와는 다르게 브랜드 자체에는 정관사가 들어가지 않는다.]라고 읽는다. TGV는 Train à Grande Vitesse(트헝 아 그헝드 비테스)의 준말로 [[그냥 시체|그냥 고속열차]]라는 뜻이다. 굳이 직역하면 '아주 빠른 열차' (Train-열차 Grande-큰 Vitesse-속도)다. 대문자로 쓰지 않고 train à grande vitesse라고 쓰면, 보통명사로서의 '고속철도'를 가리킨다. 영어로는 Train of Great Velocity라고 쓴다. 당시 최고속도 210km/h의 [[신칸센]]을 압도하는 260km/h의 속도로 등장했고 1983년 영업운전 270km/h로 증속했다. 1989년 세계 최초로 300km/h 대 영업 운전[* [[TGV 아틀랑티크|아틀랑티크]]가 달성했다]을 달성했다. 당시 속도면에서는 단연 독보적인 '''속도의 제왕'''이었다. 2001년에는 LGV 지중해선의 개통으로 세계 최초로 320km/h 영업운전을 달성하였다. 이후 중국이 2002년에 최고속도 430km/h의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을 개통했고 2008년에는 [[징진도시간철도]]의 개통으로 중국 고속철도가 350km/h를 달성하면서 철차륜 영업 속도 세계 1위 기록도 중국이 가져갔지만, 한때 '''선로위의 [[아에로스파시알-BAC 콩코드|콩코드]]'''라고 불렸을 정도였다. 철차륜에서 시속 300km/h 영업운전이 얼마나 혁신적이였나면, 프랑스도 [[1960년대]]에는 [[호버트레인]]인 [[아에로트랭]]을 개발하면서 철차륜 고속철도를 포기하려고 했었다. 그러다가 [[신칸센]]의 성공에 쇼크를 받아서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었고,[* TGV 이전까지 프랑스에서 가장 빠른 열차였던 [[미스트랄(열차)|미스트랄호]]는 최대속도가 160km/h 정도였다.] 실제로 시제차인 [[가스터빈 기관차|가스터빈-전기 기관차]] [[TGV 001]]이 제작되었으나 [[오일 쇼크]]에 따른 연료비 부담으로 전동차 형태의 고속 열차로 개발 방향이 바뀌었다. 그래서 나온 것이 1978년작 [[TGV 쉬드-에스트]](Sud-Est)전동차이다. 프랑스는 유럽 제1의 [[원자력]] 발전국으로서 전기의 대부분을 원전에서 얻고 전기 값은 유가에 민감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기로 달리는 고속철도를 제작한 것이다. TGV는 [[TGV 아틀랑티크]]를 제외한 대부분의 모델은 2개의 [[기관차|동력차]]와 8개의 객차로 구성, 총 10량이 기본으로 구성되어있다. 고속철도의 선진 3국으로 흔히 일본, 독일, 프랑스를 꼽는데 일본의 [[신칸센]], 독일의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는 [[동력분산식]][* [[ICE 1]]과 [[ICE 2]]까지는 동력집중식이었고 [[ICE T]]와 [[ICE 3]]부터 동력분산식으로 전향했다. ] 열차를 굴리는 반면 프랑스의 TGV는 2021년 현재까지 [[동력집중식]] 열차를 굴리고 있다. TGV의 가장 큰 특징은 [[연접대차]]이다. 연접대차 고속철도 하면 TGV를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TGV의 상징이 되어버렸다. [[대한민국]]의 [[KTX-산천]]도 연접대차를 사용하지만, KTX-산천은 TGV의 영향을 받아서 연접대차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엄연히 이쪽이 원조다.[* 대신 산천의 경우 TGV의 흔적을 지우는 과정에서 ICE 3와 비슷한 부분이 많아졌다. 전두부 디자인과 출입문과 그 구동 장치, 객실 창문(110000호대 한정) 등이 그것으로, 이 때문에 실제로 한국철도를 설명하는 한 유튜브 영상에서 KTX산천을 본 해외 철덕의 댓글 중에는 "흥미로운 디자인이네, 독일 ICE 3의 얼굴을 단 프랑스 TGV잖아."라는 말이 있었으며, 실제로 해외 철덕, 그 중에서도 유럽권 철덕들 다수가 산천을 보고 "이놈들 무슨 TGV랑 ICE 3의 혼종을 만들어놨어?" 라는 반응을 보였다. ] 1981년 개통 이후 연간 이용객수는 꾸준히 상승하여 2013년 한 해 동안 약 1억 3,000만 명이 TGV를 이용했다. 1981년 개통 이후 32년 만인 2013년에는 TGV 누적이용객 20억명을 넘었다. 2017년 7월 2일부로 파리와 보르도를 잇는 새 고속철의 이름이 '이누위'(inOui)로 명명되며, SNCF는 파리-보르도 구간에 이어 파리-스트라스부르를 잇는 고속철 역시 같은 이름으로 짓고, 2020년까지 프랑스의 모든 TGV 철도 이름을 이누위로 바꿀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반대 여론이 높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302722|#]] 이는 2021년 SNCF의 프랑스 내 고속철도 독점운영권이 사라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DB 등 유럽 내 여러 철도회사와 국내선에서조차 직접경쟁해야 하는 상황에서 리브랜딩이 필요해진 것. 게다가 저가형 고속철도 OUIGO, 고속버스 OUIBUS, 렌트카 OUICAR 등 산하 브랜드와 함께 모두 OUI[* oui는 '위' 라고 읽고 yes라는 뜻이다.] 시리즈로 통일하는 의미도 있다. 전용의 고속선에서 운행할 것을 전제로 개발된 [[일본]]의 [[신칸센]]과 달리, TGV는 기존선에서도 운행할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파리 리옹역]]에서 [[마르세유]]나 [[니스]] 등의 [[프랑스]] 남부로 가는 열차는 [[파리(프랑스)|파리]]에서 [[엑상프로방스]]까지 전용선으로 달리다가 그 이후부터는 기존선에서 운행한다. 기존선과 신간선의 궤간이 다른 일본과 달리 프랑스를 비롯한 북~중서부 유럽의 대부분 지역은 고속선과 재래선 할 것 없이 전부 한국과 같은 [[표준궤]]라서 직통이 가능하다. 당연하지만 고속 운행을 전제로 건설된 고속선만을 달리는 것보다 기존선에서 건널목 등의 위험요소가 더욱 많을 수 밖에 없으므로 신칸센 차량에 비해 충돌 등에 대한 대비가 더욱 잘 되어 있는 편이다. 그 결과 프랑스에서 운행 중 발생한 수 차례의 [[탈선]]사고에도 불구하고 인명손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해외 진출 경험도 많은 편이다. [[한국]]의 [[KTX-1]]은 물론, [[유로스타]]에서 운영하는 [[TGV TMST]], [[스페인]] [[Renfe]]의 [[AVE]]에서 운영하는 [[Renfe S-100]], [[미국]] [[암트랙]]의 [[아셀라 익스프레스]], [[파리(프랑스)|파리]]와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을 연결하는 열차인 [[탈리스]], 파리와 스위스를 연결하는 [[TGV 리리아]] 등이 모두 TGV 기반이다. 또한 [[모로코]] 고속철도 사업을 낙찰받아 차량과 시설을 수출했다. 최고등급의 열차답게 좌석 예매는 기본으로 해야 탈 수 있다. [[유레일 패스]]가 있어도 반드시 '''예매를 해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 좌석예매를 해도 가끔은 좌석이 다 찬 상태에서 '''입석도 예매해야 하는 사태'''가 있다. 최근 들어서는 안전문제를 이유로 입석 예매가 없어진 듯 하다만. 주말이나 공휴일에 TGV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 지체하지 말고 반드시 좌석예매를 하길 권한다. TGV는 중간 정차역이 적은 것도 특징이다. 프랑스 대표 고속철도 노선인 파리-리옹 구간은 파리 리옹만 서는 열차가 반 이상이고 가끔 중간 정차역 한 개 정도 추가하는 게 전부이다. 리옹-마르세유 구간도 대부분 열차는 리옹, 아비뇽, 마르세유에만 서는 편이며 파리-마르세유 구간은 리옹을 건너뛰고 마르세유로 직행하는 열차도 꽤 있다. 또 파리-니스 구간 TGV도 마르세유를 건너뛰고 가는 열차도 많다. 구간 길이가 770km가 넘는 파리-마르세유 구간을 3시간 5분에 돌파한다. 한국과 비교하자면, 한국의 국토는 프랑스 국토의 18% 수준이지만 인구는 프랑스의 77%가 넘고, 인구밀도 자체가 엄청난데 둥글넓적한 프랑스와 달리 한국은 산이 많고 남북으로 긴 형태라서 그만큼 인구가 주요 축선에 몰려있다. 서울-부산 400km 구간에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는 무려 다섯[* [[서울특별시|서울]], [[대전광역시|대전]],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부산광역시|부산]]. 재래선 경유까지 포함한다면 [[수원시|수원]]도 들어갈 수 있다.]이나 되지만, 위에서 예시로 든 파리-마르세유 구간은 100만이 넘는 도시가 파리 하나뿐이다. 도시권 기준으로 넓혀 보면 [[리옹]]과 [[마르세유]]까지 들어오긴 하나, 이쪽도 100만을 겨우 넘는 수준. 그러니 TGV는 정차역이 적을 수 있지만 KTX는 그렇게 하기 어렵다. 또한 파리를 거치지 않고 지방끼리 연결된 열차도 많다. 흔히들 프랑스는 수도 집중형 국가라고 보지만 그럼에도 타 지역끼리 연결된 TGV 수요가 만만치 않게 많다. == 차량 == [include(틀:알스톰의 철도차량)] [include(틀:TGV 차량 목록)] == 운행구간 == [[파일:France_TGV_2018.png]] LGV 노선도 및 공사중인 노선 일람. [[파일:attachment/TGV/TGV운행계통망.jpg]] TGV의 운행계통망. [[http://www.cambooth.net/maps/tgv-routes.html|크게보기]] [[파일:attachment/TGV/Example22.jpg]] TGV는 프랑스 내에서 약 2,000km의 고속선 구간과 약 6,000km의 기존선 구간을 운행하며 약 200개의 역에 정차하고 있다. 표의 빨간 노선이 전부 TGV가 이동하는 노선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Carte_TGV.svg.png]] 이건 좀 더 심플하게 고속열차가 다니는 노선만 나타낸 지도. 파란 노선과 붉은 노선이 고속전용선이고 검은 노선이 직결하는 기존선 노선이다. === 운행 노선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TGV_services|참고]] ==== 국제 노선 ==== || 출발도시 || 도착도시 || 경유지 || 운행횟수(일) || ||<-4> {{{+1 [[프랑스]] - [[스위스]]}}} ([[TGV 리리아]]) || ||<|4> [[파리(프랑스)|파리]] || [[취리히]] || [[파리 리옹역|파리]] - 벨포르 - [[뮐루즈 빌역|뮐루즈]] - [[바젤 SBB역|바젤]] - [[취리히]] || 일 6회 왕복 || || [[로잔]] || [[파리 리옹역|파리]] - 부르캉브레스 - 벨가르드쉬르발세린 - [[제네바]] - [[로잔]] || 주 1회 왕복 || || [[로잔]] || [[파리 리옹역|파리]] - [[디종 빌역|디종]] - 돌 - 무샤르 - 프라슨 - 발로르브 - [[로잔]] || 일 4회 왕복 || || [[제네바]] || [[파리 리옹역|파리]] - 부르캉브레스 - 벨가르드쉬르발세린 - [[제네바]] || 일 최대 8회 왕복 || || [[마르세유]] || [[제네바]]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제네바]] || 여름 한시 운행 || ||<-4> {{{+1 [[프랑스]] - [[이탈리아]]}}} || || [[파리(프랑스)|파리]] || [[밀라노]] || [[파리 리옹역|파리]]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샹베리]] - [[바르도네티아]] - [[토리노]] - [[베르첼리]] - [[노바라]] - [[밀라노 포르타 가리발디역|밀라노]] || 3회 || ||<-4> {{{+1 [[프랑스]] - [[독일]]}}} || ||<|4> [[파리(프랑스)|파리]] ||<|2>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 [[파리 동역|파리]] - [[포르바크]] - [[자르브뤼켄 중앙역|자르브뤼켄]] - [[카이저슬라우테른 중앙역|카이저슬라우테른]]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 4회 || || [[파리 동역|파리]] - [[스트라스부르 빌역|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 2회 || || [[뮌헨 중앙역|뮌헨]] || [[파리 동역|파리]] - [[스트라스부르 빌역|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슈투트가르트]] - [[울름 중앙역|울름]] - [[아우크스부르크 중앙역|아우크스부르크]] - [[뮌헨 중앙역|뮌헨]] || 4회^^슈투트가르트행^^[br]1회^^뮌헨행^^ || || [[프라이부르크]] || [[파리 리옹역|파리]] - [[디종 빌역|디종]] - [[벨포르]] - [[뮐루즈]] - [[프라이부르크 중앙역|프라이부르크]] || 1회 || || [[마르세유]] || [[프랑크푸르트]]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샬롱쉬르손]] - [[브장송 프랑슈 콩테 TGV역|브장송]] - [[벨포르-몽벨리아르 TGV역|벨포르]] -[br][[뮐루즈 빌역|뮐루즈]] - [[스트라스부르 빌역|스트라스부르]] - [[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 - [[만하임 중앙역|만하임]] - [[프랑크푸르트 중앙역|프랑크푸르트]] || 1회 || ||<-4> {{{+1 [[프랑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독일]]}}} ([[탈리스]]) || ||<|2> [[파리(프랑스)|파리]] || [[암스테르담]] || [[파리 북역]] - [[브뤼셀 남역|브뤼셀]] - [[안트베르펜]]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스키폴]] -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br][[브뤼셀 남역|브뤼셀]] - [[브뤼셀 자반템 공항|브뤼셀 국립공항]] || 9회^^암스테르담행^^[br]시간당 2회^^브뤼셀행^^[br]1회^^브뤼셀공항행^^ || || [[에센]] || [[파리 북역|파리]] - [[브뤼셀 남역|브뤼셀]] - [[리에주]] - [[아헨 중앙역|아헨]] - [[쾰른 중앙역|쾰른]] -[br][[뒤셀도르프 중앙역|뒤셀도르프]]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역|뒤셀도르프 공항]] - [[뒤스부르크 중앙역|뒤스부르크]] - [[에센 중앙역|에센]] - [[도르트문트 중앙역|도르트문트]] || 1회^^도르트문트행^^[br]2회^^쾰른행^^ || ||<|2> [[암스테르담]] || [[부르생모리스]] ||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스키폴]]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브뤼셀 남역|브뤼셀]] - [[샹베리]] - [[알베르빌]] - [[랜드리]] - [[부르생모리스]] || 1주 1회^^겨울 시즌 한정^^ || || [[릴(프랑스)|릴]] || [[암스테르담 중앙역|암스테르담]] -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스키폴]] - [[로테르담 중앙역|로테르담]] - [[브뤼셀 남역|브뤼셀]] - [[릴 유럽역|릴]] || 2회 || ||<-4> {{{+1 [[프랑스]] - [[벨기에]] - [[영국]]}}} ([[유로스타]]) || || [[파리(프랑스)|파리]] ||<|2> [[런던]] || [[파리 북역|파리]] - [[애시포드]] - [[입스플릿]] - [[세인트 판크라스역|런던]] || 16회 || || [[브뤼셀]] || [[브뤼셀 남역|브뤼셀]] - [[릴 유럽역|릴]] - [[칼레-프레툉역|칼레]] - [[애시포드]] - [[입스플릿]] - [[세인트 판크라스역|런던]] || 9회 || || [[런던]] || [[부르생모리스]] || [[세인트 판크라스역|런던]] - [[애시포드]] - [[에메라플라뉴]] - [[부르생모리스]] || 2회^^겨울 시즌 한정^^ || ||<-4> {{{+1 [[프랑스]] - [[벨기에]]}}} || ||<|2> [[브뤼셀]] || [[마르세유]] || [[브뤼셀 남역|브뤼셀]] - [[릴 유럽역|릴]] - [[TGV 오트 피카르디역|오트피카르디]]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 -[br][[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4회 || || [[스트라스부르]] || [[브뤼셀 남역|브뤼셀]] - [[릴 유럽역|릴]] -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 상파뉴아르덴 - [[로렌]] - [[스트라스부르]] || 2회^^브뤼셀출발^^[br]3회^^릴출발^^ || ||<-4> {{{+1 [[프랑스]] - [[스페인]]}}} ([[Renfe|Elipsos운영]]) || || [[파리(프랑스)|파리]] ||<|3> [[바르셀로나]] || [[파리 리옹역|파리]]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님 퐁 뒤 가르역|님]]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나르본]] - [[페르피냥]] - [[피게레스]] - [[헤로나]] - [[바르셀로나 산트역|바르셀로나]] || 3회 || || [[툴루즈]] || [[툴루즈]] - [[카르카손]] - [[페르피냥]] - [[피게레스]] - [[헤로나]] - [[바르셀로나 산트역|바르셀로나]] || 1회 || || [[리옹]]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님 퐁 뒤 가르역|님]]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베지에]] - [[나르본]] - [[페르피냥]] - [[피게레스]] - [[헤로나]] - [[바르셀로나 산트역|바르셀로나]] || 1회 || || [[마르세유]] || [[마드리드]]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님 퐁 뒤 가르역|님]]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나르본]] - [[페르피냥]] -[br][[피게레스]] - [[헤로나]] - [[바르셀로나 산트역|바르셀로나]] - 캠프드타라고나 - [[사라고사]] - [[마드리드 아토차 역|마드리드]] || 2회 || || [[파리(프랑스)|파리]] || [[이룬]] || [[파리 몽파르나스역|파리]] - [[보르도 생 장역|보르도]] - [[닥스]] - [[바욘]] - [[비아리츠]] - 생장드루즈시부레 - [[앙데]] - [[이룬]] || 2회 || ||<-4> {{{+1 [[프랑스]] - [[룩셈부르크]]}}} || || [[파리(프랑스)|파리]] ||<|3> [[룩셈부르크]] || [[파리 동역|파리]] - [[상파뉴 아르덴 TGV역|샹파뉴아르덴]] - [[메스 빌역|메스]] - [[티옹빌]] - [[룩셈부르크 역|룩셈부르크]] || 4회 || || [[마르세유]]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마콩]] - [[디종 빌역|디종]] - [[브장송]] -[br][[벨포르-몽벨리아르 TGV역|벨포르]] - [[뮐루즈 빌역|뮐루즈]] - [[콜마르]] - [[스트라스부르 빌역|스트라스부르]] - [[메스 빌역|메스]] - [[티옹빌]] - [[룩셈부르크 역|룩셈부르크]] || 1회^^룩셈부르크행^^[br]1회^^스트라스부르행^^ || || [[몽펠리에]]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님 퐁 뒤 가르역|님]]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디종 빌역|디종]] - [[브장송 프랑슈 콩테 TGV역|브장송]] -[br][[벨포르-몽벨리아르 TGV역|벨포르]] - [[뮐루즈 빌역|뮐루즈]] - [[콜마르]] - [[스트라스부르 빌역|스트라스부르]] - [[메스 빌역|메스]] - [[티옹빌]] - [[룩셈부르크 역|룩셈부르크]] || 2회 || ==== 국내 노선 ==== ===== 북부노선 ===== ===== 동부노선 ===== ===== 남동노선 ===== [[파리 리옹역]]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이다. || 출발도시 || 도착도시 || 경유지 || 운행횟수(일) || ||<|11> [[파리(프랑스)|파리]] || [[발랑스]] || [[파리 리옹역|파리]]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1회 || || [[마르세유]] || [[파리 리옹역|파리]] - [[발랑스 TGV역|발랑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16회 || || [[니스]] || [[파리 리옹역|파리]]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툴롱]] - [[레아로크]] - [[생라파엘]] - [[칸역|칸]] - [[안티베]] - [[니스 역|니스]] || 7회 || || [[미라마스]] || [[파리 리옹역|파리]] - [[마콩]]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몽텔리마르]] - [[오랑주]]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아를]] - [[미라마스]] || 2회^^아비뇽행^^[br]2회^^미라마스행^^ || || [[베지에]] || [[파리 리옹역|파리]]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님 퐁 뒤 가르역|님]]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아그드]] - [[베지에]] || 7회^^몽펠리에행^^[br]2회^^베지에행^^ || || [[페르피냥]] || [[파리 리옹역|파리]]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님 퐁 뒤 가르역|님]]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세트]] - [[아그드]] - [[베지에]] - [[나르본]] - [[페르피냥]] || 4회 || || [[에비앙레뱅|에비앙]] || [[파리 리옹역|파리]] - [[부르캉브레스]] - [[벨가드]] - [[안느마스]] - [[토농레방]] - [[에비앙레뱅|에비앙]] || 2회 || || [[리옹]] || [[파리 리옹역|파리]] - [[몽샤낭]] - [[마콩]] - [[리옹 파르디외역]] - [[리옹 페라슈역|리옹]] || 23회 || || [[생테티엔]] || [[파리 리옹역|파리]]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생테티엔]] || 4회 || || [[샬롱쉬르손]] || [[파리 리옹역|파리]] - [[몽바르]] - [[디종 빌역|디종]] - [[본(독일)|본]] - [[샬롱쉬르손]] || 2회 || || [[그르노블]] || [[파리 리옹역|파리]]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그르노블역|그르노블]] || 9회 || || [[릴(프랑스)|릴]] || [[마르세유]] || [[릴 유럽역|릴 유럽]]/[[릴 플랑드르역|릴 플랑드르]] - [[두에(도시)|두에]] - [[아라스역|아라스]] - [[TGV 오트 피카르디역|오트피카르디]] - [[샤를 드골 공항 제2터미널역|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br]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2회 || || [[메스(프랑스)|메스]] || [[니스]] || [[메스 빌역|메스]] - [[낭시 빌역|낭시]] - [[툴]] - [[디종 빌역|디종]] - [[마콩]] - [[리옹 파르디외역|리옹]] - [[아비뇽 TGV역|아비뇽]]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툴롱]] - [[생라파엘]] - [[칸역|칸]] - [[안티베]] - [[니스 역|니스]] || 1회 || ===== 남서노선 ===== ===== 서부노선 ===== ===== 횡단노선 ===== ===== [[OUIGO]]노선 ===== [[SNCF]]의 저가형 고속철도 서비스로 외곽에서 출발하고 정차역이 더 많다. 출발 도시역은 외곽, 도착 도시역은 중심부인것이 특징이다. || 출발도시 || 도착도시 || 경유지 || 운행횟수(일) || ||<|2> [[파리(프랑스)|파리]] || [[마르세유]]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3회 || || [[몽펠리에]]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 - [[리옹 생텍쥐페리 TGV역|리옹]] - [[발랑스 TGV역|발랑스]] - [[님 퐁 뒤 가르역|님]] - [[몽펠리에 쉬드 드 프랑스역|몽펠리에]] || 2회 || || [[리옹]] || [[마르세유]] || [[리옹 페라슈역|리옹]] - [[아비뇽 TGV역|아비뇽]] - [[엑상프로방스 TGV역|엑상프로방스]] - [[마르세유 생 샤를역|마르세유]] || 1회 || ||<|2> [[릴(프랑스)|릴]] || [[렌(프랑스)|렌]] || [[투르쿠앵역|투르쿠앵]] - [[TGV 오트 피카르디역|오트피카르디]] - [[샤를 드골 공항 제2터미널역|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 - [[르망역|르망]] - [[렌역|렌]] || 1회 || || [[낭트]] || [[투르쿠앵역|투르쿠앵]] - [[TGV 오트 피카르디역|오트피카르디]] - [[샤를 드골 공항 제2터미널역|샤를 드 골 공항 제2터미널]] - [[마른 라 발레-셰시역|마른라발레셰시]] - [[르망역|르망]] - [[앙제 생 로역|앙제]] - [[낭트역|낭트]] || 1회 || === LGV === TGV는 기존선-고속선 병행 운전을 실시하며, LGV(Lignes à Grande Vitesse)라 하여 고속열차 전용선이 존재한다. 1983년에 LGV 남동선이 개통한 이후 프랑스 전역으로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 노선들은 노선별로 각각 한국의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과 같이 개별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고속선도 일반선과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이다. 한국이나 일본의 고속선이 고가와 터널로 떡칠되어 있는 것에 비해, 프랑스의 LGV는 지상 노반 위를 달리는 구간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오히려 LGV가 한국의 고속선이나 일본 신칸센보다 선로의 경사가 심한 편이고 곡선도 많다. 험준한 산이 드물고 완만한 구릉이 많아 터널을 뚫기 어려워 35퍼밀의 급경사 구간이 많다. [[https://www.youtube.com/watch?v=VuFbaQDFo2s&t=435s|엑상 프로방스TGV역 - 아비뇽TGV역 구간]]] 그렇다고 [[건널목]] 같은 게 있는 건 아니고 LGV를 가로지르는 도로들과는 모두 입체교차하며, 당연히 선로에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 LGV 노선 ==== [[파일:attachment/TGV/Example343.jpg]] 2018년 현재 프랑스에 건설된 고속선은 총 2,647 km이며 이는 세계에서 4번째이다. (중국, 스페인, 일본 다음) || 노선명 || 구간 || 개통년도 || 길이 || 정차역 || || 남동선[br](LGV Sud-Est) || Paris-Lyon || 1981 || 409 km || Paris Gare de Lyon, Gare du Creusot TGV, || || || || || || Gare de Mâcon-Loché-TGV, Gare de Lyon Part-Dieu || || 대서양선[br](LGV Atlantique) || Paris-Le Mans, Tours || 1989 || 279 km || Paris Gare Montparnasse, Gare du Mans, Gare de Vendôme TGV, --Gare de Tours--[* Tours역은 투르-르망선에 속해있으며, Tours 종착노선이 아니라면 인근의 Saint-Pierre-des-Corps역에서 셔틀트레인으로 환승해야한다.] || || 북선[br](LGV Nord) || Paris-Calais || 1993 || 333 km || Paris Gare du Nord, Gare de TGV Haute-Picardie, || || || || || || Gare de Lille-Europe, Gare de Calais-Fréthun || || 동부연결선[br](LGV Interconnexion Est) || || 1994 || 57 km || Gare Aéroport Charles-de-Gaulle 2 TGV, Gare de Marne-la-Vallée - Chessy || || 론-알프스선[br](LGV Rhône-Alpes) || Montanay-Valence || 1992[br]-1994 || 115 km || Gare de Lyon-Saint-Exupéry TGV. Gare de Valence-Rhône-Alpes-Sud TGV || || 지중해선[br](LGV Méditerranée) || Valence-Marseille, Nîmes || 2001 (1차), 2018 (2차) || 250km || Gare de Valence-Rhône-Alpes-Sud TGV, Avignon TGV, Nîmes Pon-du-Gard, Montpeller Sud de france || || || || || || Gare d'Aix-en-Provence TGV, Gare de Marseille-Saint-Charles || || 동유럽선[br](LGV Est européenne) || Paris-Strasbourg || 2007(1차), 2018(2차) || 406 km || Gare de l'Est, Gare de Champagne-Ardenne TGV(Reims), Gare de Meuse TGV, || || || || || || Gare de Lorraine TGV, Gare de Saverne, Gare de Strasbourg-ville || || 페르피냥-피그라스선[br](LGV Perpignan à Figueras) || Perpignan-Figueras || 2009-2012 || 44.4 km || Gare de Perpignan, Estación de Figueras-Vilafant(스페인) || || 린-론선[br](LGV Rhin-Rhône) || Dijon-Belfort || 2011 || 137.5 km || Gare de Besançon Franche-Comté TGV, || || || || || || Gare de Belfort - Montbéliard TGV || || LGV 남유럽대서양선[* LGV 남서선(Sud-Ouest) 으로도 불린다][br](LGV Sud Europe Atlantique) || Tours-Bordeaux || 2017 || 302 km || Gare de Poitiers, Gare d'Angoulême--만화보러가자--, Gare de Bordeaux-Saint-Jean || || LGV 브르타뉴-페이드라루아르선[* LGV 대서양선 연결][br](LGV Bretagne-Pays de la Loire) || Le Mans-Rennes || 2017 || 214 km || Le Mans, Gare de Rennes || === 공사/계획중인 노선 === * LGV 피카르디선 * LGV 중부프랑스선(POCL) * LGV 토리노 횡단선(Lyon-Turin Ferroviaife) - 프랑스의 리옹과 이탈리아의 토리노를 연결하는 국제 노선. * LGV 남부연결선(Interconnexion Sud) * LGV 노르망디선(LGV Normandie) * LGV 프로방스 알프 코트 다 쥐르선(Provence-Alpes-Côte d'Azur) * LGV 툴루즈-나르본 선(Toulouse-Narbonne) == 요금 == [[KTX]] 티켓값은 항상 고정적인 반면 TGV 티켓값은 상당히 유동적으로 성수기, 비성수기 혹은 주말, 주중 아니면 오전, 오후 등 여러 요인을 따져서 제 가격을 받거나 가격을 대폭 할인해 주는 등 부지런한 사람들은 KTX 티켓보다 TGV 티켓을 더 싸게 구입할 수 있다. 실제로 파리-리옹 구간의 정상 요금은 2014년 기준으로 95유로이지만 SNCF에서 공시한 최저가는 25유로로 서울-부산 구간의 KTX 요금보다도 싸다. 물론 이런 가격은 비성수기, 주중, 아침 일찍 출발, 기차 출발 한달 이전에 예약하는 등 여러 요인이 겹쳐야 실현될 수 있고, 가격이 싼 티켓들은 교환이나 환불이 안 되는 게 대부분이라 싸다고 무조건 지르지말고 구입할 때 신중히 생각하고 결정해야 한다. --구매할 때는 맘대로였겠지만 물릴 때는 아니란다.-- [[파일:attachment/TGV/Example123.jpg]] SNCF에서 발간한 2014년 TGV 가이드북에 있는 요금표의 일부분. 최저가격과 최대가격의 차이가 엄청난 걸 볼 수 있다. == 최고속도 == ||
[youtube(p5u_5iQ3Ego)] || || '''574.8km/h 돌파영상''' || 574.8km/h를 찍은, 레일 위를 달리는 열차 중에서는 물론이고 열차와 자동차를 불문하고 '바퀴굴림으로(바퀴로 땅을 박차서) 얻어낸 속도'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록이다. 열차 중에서 이 보다 빠른 기록은 자기부상 열차 등이며, 자동차 중에서 이보다 빠른 기록은 제트나 로켓 자동차들로서 '바퀴로 땅을 박차서' 얻어낸 기록이 아니다. 자세한 것은 [[TGV/최고속도 실험]] 항목을 참조. == 사고 == === 4건의 탈선 사고 === * '''1992년 12월 14일''' - [[안시]]에서 [[파리(프랑스)|파리]]로 향하던 920번 TGV가 270 km/h의 속도로 [[마콩 로셰 TGV역]]을 지나던 중 탈선 사고가 일어났다. TGV 탑승객 중 부상자, 사망자는 전무했으며 플랫폼에서 다른 TGV를 기다리던 승객들 25명이 경상을 입은 것을 제외하곤 사망자나 중상자는 없었다. * '''1993년 12월 21일''' - [[발랑스]]에서 [[파리(프랑스)|파리]]로 향하던 7150번 TGV가 300 km/h의 속도로 Ablaincourt-Pressoir 근처를 지나던중 탈선 사고가 일어났다. 제일 끝의 동력차와 그 앞의 네 개의 객차가 탈선했지만 철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약 200명 정도의 승객 중 한 명의 경상자를 제외하곤 모두 멀쩡했다. 탈선 원인은 고속철로 밑에 1차세계대전 당시 지어진 지하도가 내려앉음으로 그 위의 철로 역시 연쇄적으로 내려 앉아 일어난 사고이다.[* 1차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군이 지하도를 워낙에 많이 파놔서 프랑스 정부 측에서 그 지하도가 있었다는 사실도 몰랐다고 한다.] [[과학동아]] 1994년 과월호에서 이 사고를 소개하고 있는데, 당시 기관사는 비상제동이 아닌 일반제동을 거는 것이 더 안전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고.[* TGV의 비상제동은 고속주행 시 600 m 정도의, 일반제동은 2 km 가량의 제동거리를 갖는다. 한 마디로 연접대차의 사행동 제어력을 믿고 가속도를 천천히 줄여 반작용을 최대한 억제한 것.] * '''2000년 6월 5일''' - [[파리(프랑스)|파리]]에서 [[런던]]으로 향하던 [[SNCB]]소속 9047번 [[유로스타]]가 250 km/h의 속도로 Croisilles를 지나던중 열차 문제로 4개의 대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있었다. 501명의 탑승객 중 가벼운 부상을 입은 10명을 제외하곤 사상자는 없었다. * '''2015년 11월 14일''' - 파리-스트라스부르 고속선에서 시험운행 중이던 [[TGV 듀플렉스]] 744편성이 Eckwersheim에서 [[스트라스부르 TGV 탈선 사고|탈선사고]]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 === 그 외의 사고 === * 운행 도중 유리창이 깨지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 * 철로 위에 콘크리트가 있어서 열차가 멈춰선 적이 있다. * 운행 도중 열차 문이 열리는 사고가 있었다. * [[로드킬|운행 도중 동물을 치어]] 열차가 멈춰선 적이 있다. == 등장 매체 ==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에 나오는 [[다이버즈]]의 열차 합체 형태인 레스큐 특급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 [[택시 3]]에서 부스터 가동한 택시에게 추월당했다! 참고로 이때 승객은 [[실베스타 스탤론]]. * [[미션 임파서블(영화)|미션 임파서블]] 후반부 하이라이트에서 등장한다. 영화상 [[런던]]-[[파리(프랑스)|파리]]간 고속열차인 [[유로스타]]라고 하지만, 정작 차량은 [[TGV 아틀랑티크]]로 나오는게 포인트. * || [[파일:TS_LGV_Marseille-Avignon_Route_header.jpg|width=100%]] || [[파일:TS_LGV_Rhône-Alpes_&_Méditerranée_Route_header.jpg|width=100%]] ||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76938/|LGV: 마르세유-아비뇽 루트]]'''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861889/|LGV: 론-알프 & 메디테라네 루트]]''' || [[트레인 시뮬레이터]]에 [[마르세유]]에서 [[아비뇽]] 구간까지[* 문서 상단 영상의 34분 17초까지의 구간.] 구현된 노선과 듀플렉스 대시가 DLC에 등장한다. 하지만 운전석 계기나 부속품들은 대시의 4세대 계기, 부속품이 아닌 3세대 계기, 부속품으로 구현되어있다. 이후 아비뇽에서 리옹까지 노선이 구현된 확장팩이 출시되었다.[* '론-알프 & 메디테라네 루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르세유-아비뇽 루트'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DLC에 구현된 노선은 문서 상단의 전면부 영상과 완전히 같은 구간이다.] * [[파일:tsw2lgvma.jpg]] [[트레인 심 월드 2]]에도 바로 위 트레인 시뮬레이터 LGV: 마르세유-아비뇽 루트와 동일한 DLC가 등장한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418842/|#]] == 기타 == * [[KTX]]의 기반이 되는 열차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내 [[철도 동호인]]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유럽까지 가는 항공권 비용이 비싼 것과, 프랑스어 능통자가 적고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와 더불어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기가 [[신칸센]]보다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는 프랑스어, 독일어에 비해 일본어는 접하기 쉬우며, 일본은 한국에서 가깝기 때문에 항공권도 특별히 비싸지 않다.] * [[MBC]]에서 [[1988 서울 올림픽|88올림픽]] 대비 대량수송에 따른 고속철운영과 관련하여 직접 프랑스까지 가서 1982년 TGV를 촬영하기도 했다. == 관련 문서 == * [[철도 관련 정보]] * [[고속철도]] * [[TVM]] * [[KTX]]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include(틀:프랑스의 열차등급)] [[분류:TG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