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gj8dGc-pvIg)] THE八犬伝 일본 에도시대의 고전 소설 [[팔견전|난소사토미 팔견전]]을 원작으로 만든 작품. 1990년 부터 1995년까지 제작되었고 7~13화 분량은 'THE 팔견전 신장' 이란 제목으로 나왔는데 해외에선 합쳐서 수입했기 때문에 합쳐서 세는 경우가 많다. 감독은 [[안노 타카시]]. 각본은 [[아이카와 쇼]]. 일본의 고전을 당대 최고의 애니메이터들이 모여서 만들어보자는 기획이다. 미소년 사무라이가 다수 나오는 작품으로 당시 여성 팬 구매자가 많았다고 한다. 검술 액션 ([[찬바라]]) 작화로 유명한 애니메이션이다. 제작사가 도산해서 저작권이 꼬인 상태로 블루레이는 없다. 2023년 애니메이션 [[지옥락(애니메이션 1기)|지옥락]]은 이 작품의 액션을 참조하면서 만든다고 한다. [[https://realsound.jp/movie/2023/04/post-1293871.html|#]] == PV == [youtube(XdJ7vYpG4d8)] == 신장 4화 쇼크 == 신장의 4화 (합쳐서 셀 경우 10화)는 [[오오히라 신야]]가 콘티와 원화를 그리고 [[유아사 마사아키]]가 작화감독을 맡은 에피소드인데 캐릭터의 얼굴이 굉장히 단순하고 추하게 그려진데다, 과장된 캐릭터 움직임 표현으로 다른 에피소드와 전혀 다른 작화를 선보였다. 여성 팬이 많았던 작품인데 여성 팬에게 있어서 작화의 가장 큰 기준은 얼굴이었고 얼굴이 뭉개지니 엄청난 항의가 들어왔다고 한다. 결국 5화부터는 평소의 작화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게 애니메이터나 작화 매니아 들이 볼 때는 그동안 세상에 없던 새로운 작화 스타일에 엄청난 움직임 표현이 담긴 에피소드였기 때문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오오히라 신야와 유아사 마사아키는 이걸 계기로 자신의 스타일을 굳히게 된다. 이걸 교본으로 삼아 공부했다는 애니메이터도 많으며 이들을 오오히라 신야 계 애니메이터라고도 한다. 지금도 애니메이터들의 교본으로 사용되는 애니메이션이다. 애니메이터 [[나카자와 카즈토]]는 이 4화를 두고 '사람이 그린 것이 아니고 아니라 신이 내려와서 그린 작화'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유아사 마사아키]] 말로는 평소 면식도 없던 [[오오히라 신야]]가 갑자기 전화를 해서 "내가 새로운 연출과 작화를 생각해냈는데 이걸 살릴 수 있는 작화감독은 당신 밖에 없다." 라고 부탁해서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참가도 포기하고 맡았다고 한다. 만들면서 "예술적이지만 이런 걸 돈 받고 팔아도 팔릴까?" 라고 생각했었는데 좋게 받아들이고 이해해주는 사람들이 있어서 다행이었다고. 3화의 연출도 [[우츠노미야 사토루]]라 만만치 않게 그림체의 호불호가 갈리나 역시 액션은 출중하다.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6> '''무인''' || || 제1화 || 万華鏡 ||<|3> [[아이카와 쇼]] || - || - || [[오오히라 신야]][br][[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 || 제2화 || 闇神楽 || - || 岡本有樹郎[* 연출가 오카모토 타츠야(岡本達也)의 필명.] || 후타무라 히데키[br](二村秀樹)[br]야마가타 아츠시[br](山形厚史) || || 제3화 || 婆娑羅舞[br] || [[야마사키 오사무]] || 아오키 타케시[br](青木 武) || 오치 히로유키[br](越智博之) || || 제4화 || 芳琉閣 || 나루미 타케시[br](鳴海丈) || - ||<-2> [[나카무라 타케시]] || || 제5화 || 夜叉囃子 ||<|2> 아이카와 쇼 || - || 岡本有樹郎 || [[오쿠다 준]][br]池畑文子 || || 제6화 || 鬼哭蟬 || - || 아오키 타케시 || [[모토하시 히데유키]][br]야마가타 아츠시 || ||<-6> '''신장''' || || 제1화 || 妖霊 || 아이카와 쇼 ||<|2><-2> 岡本有樹郎 || 테라사와 신스케[br](寺沢伸介)[br][[토미자와 카즈오]] || || 제2화 || 対牛楼 ||<|6> 카마타 히데미[br](鎌田秀美) || 오쿠다 준[br][[호리우치 히로유키]] || || 제3화 || 妖猫譚 ||<-2> [[우츠노미야 사토루]] || 하시모토 신지 || || 제4화 || 浜路再臨 ||<-2> [[오오히라 신야]] || [[유아사 마사아키]] || || 제5화 || 犬士冥合 ||<-2> 岡本有樹郎 || 오쿠다 준[br]호리우치 히로유키[br]토마루 타츠야[br](外丸達也)[br]후루세 노보루[br](古瀬登) || || 제6화 || 欣求浄土 ||<-2> 아오키 타케시 || 키타지마 노부유키[br]北島信幸[br]야마가타 아츠시 || || 제7화 || 厭離穢土 ||<-2> 岡本有樹郎 || 오쿠다 준 || == 유명한 에피소드 == * 1화 - 작화감독 [[오오히라 신야]],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 원화 [[이소 미츠오]], [[오키우라 히로유키]], [[우메츠 야스오미]], [[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 [[마츠모토 노리오]], [[타나베 오사무]], [[오쿠다 준]], 오오히라 신야, 하시모토 신지, [[스가누마 에이지]], [[토쿠라 노리모토]] 등 * 4화 - 콘티, 작화감독 [[나카무라 타카시]] / 원화 나카무라 타카시, [[키세 카즈치카]] 등 * 5화 - 작화감독 [[오쿠다 준]] / 원화 [[혼다 타케시]], [[츠루마키 카즈야]], [[칸노 히로키]], 토마루 타츠야 등 * 신장 2화 - 작화감독 [[오쿠다 준]], [[호리우치 히로유키]] / 원화 토마루 타츠야, [[이시하마 마사시]], [[야마시타 마사히토]], [[카메이 칸타]], [[오구라 노부토시]] 등 * 신장 3화 - 콘티 [[우츠노미야 사토루]] / 작화감독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 원화 [[니시오 테츠야]], [[카메이 칸타]], [[타나카 타츠유키]], 우츠노미야 사토루 등 * 신장 4화 - 콘티 [[오오히라 신야]] / 작화감독 [[유아사 마사아키]] / 원화 [[아라이 코이치]], [[야마시타 타카아키]], [[후지모리 마사야]], [[타나베 오사무]], [[하시모토 신지(애니메이터)|하시모토 신지]], [[토쿠라 노리모토]], [[모리타 히로유키]] 등 * 신장 6화 - 원화 [[키시다 타카히로]], [[니시오 테츠야]], [[이시하마 마사시]], [[요시나리 코우]], [[오노 마나부]], [[콘노 나오유키]], 오오쿠보 히로시 * 신장 7화 - 작화감독 [[오쿠다 준]] / 작화감독 보좌 [[온다 나오유키]], [[마츠바라 히데노리]] / 토마루 타츠야, [[요시나리 코우]], [[이시하마 마사시]], [[타나베 오사무]], [[사토 유조]], 호리우치 히로유키, [[사이 후미히데]], [[콘노 나오유키]], [[타카하시 신야(1965)|타카하시 신야]] 등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무로마치 시대/창작물]][[분류:센고쿠 시대/창작물]][[분류:팔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