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F-1-Towed-Gun-howitzer.jpg|width=100%]]|| || GIAT 155 mm Tracté || [목차] == 개요 == 냉전 말에 [[프랑스]]의 방위산업체 GIAT(현 [[넥스터]])에서 개발한 [[155mm]] 40구경장 견인[[곡사포]]. == 제원 == ||<:><-3> {{{#FFFFFF TRF1}}} || ||<:><-2> 중량 ||<(> 10.52t || ||<:><-2> 전장 ||<(> 10m~12.27m, 18.3m(TRM 트랙터 포함) || ||<:><-2> 전폭 ||<(> 수송 시: 3.09 m || ||<:><-2> 지상고 ||<(> 수송 시: 1.79 m || ||<:><-2> 포신 전장 ||<(> 6.2 m || ||<:><-2> 포 구경 ||<(> 155 mm || ||<:><-2> 포 구경장 ||<(> 40구경장 (6.2 m) || ||<:><-2> 포구 초속 ||<(> 830 m/s || ||<:><-2> 고각 ||<(> -6° ~ +66° || ||<:><-2> 선회각 ||<(> 27°(좌) 38°(우) || ||<:><-2> 발사 속도 ||<(> 평균: 분당 6회, 최대: 15초당 3회 || ||<:><-2> 사용 포탄 ||<(> NATO 표준 155mm || ||<:><-2> 유효 사거리 ||<(> 24km(기본), 30km(사거리 연장탄) || ||<:><-2> 조작 인원 ||<(> 8명 || ||<:><-2> 동력 ||<(> 39kW 보조 엔진 || ||<:><-2> 최고속도 ||<(> 8km/h || ||<:><-2> 가격 ||<(> || == 역사 == 1979년 유로사토리 군사 박람회에서 프랑스군의 [[M50 155mm 곡사포]]를 대체할 신형 곡사포로 공개되었다. 1984년부터 1993년까지 생산되었다. == 특징 == [[FH70]]처럼 자체 엔진이 있어서 8km/h 주행이 가능하고, 유압식 조준장비로 2분에서 5분이면 방렬을 마칠 수 있고 경사도 60%와 수심 1.20m까지 통과 가능하다. 유기압 [[주퇴복좌기]], 2단 [[포구제퇴기]]가 장비되었다. 수평사격각은 좌측 445mil, 우측 675mil. 탄약 공급과 견인에는 [[르노 TRM 10000]] 포병 트랙터 트럭이 사용된다. TRM 10000에는 즉응탄 24발을 포함하여 총 56발의 탄약이 적재 가능하다. == 사용 국가 == === [[프랑스]] === 원조 사용국. 105대 또는 106대를 도입했다. 2013년 기준으로 제3 해병 포병 연대 ( 3 e régiment d'artillerie de Marine ) 제5 해외(원정) 혼합 연대 ( 5 e régiment interarmes d'outre-mer ) 제11 해병 포병 연대 ( 11 e régiment d'artillerie de Marine ) 제35 공수 포병 연대 ( 35 e régiment d'artillerie parachutiste ) 제93산악포병연대( 93 e régiment d'artillerie de montagne ) 에서 운용했다. 2022년 4월부로 퇴역을 마친 상태이며 현재는 [[CAESAR]] 차륜형 자주포로 대체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 === 1991년~1992년에 28대 조달. === [[세네갈]] === 2011년에 8대 조달. === [[키프로스]] === 1991년에 12대 조달. === [[우크라이나]] === 2022년 9월에 [[르노 TRM 10000]] 트럭 몇대와 함께 프랑스군이 퇴역한 TRF1 6대를 구입했고 2023년 8월에 우크라이나군이 정식 채택했다. == 실전 == === [[걸프 전쟁]] === 다게 작전 당시 프랑스군이 운용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프랑스에서 구입한 TRF1들을 우크라이나군이 운용하고 있다. == 기타 == == 둘러보기 ==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 [[분류:곡사포]][[분류:155mm]][[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프랑스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