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color:#070e14;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3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background-size:8px 14px; background-position: 0 0, 0 0, 4px 7px, 4px 7px, 0 0, 4px 7px;" {{{#fff,#fff '''{{{+1 {{{#!html 트라이브}}} {{{#!html 나인}}}}}}''' (2022)[br]{{{#!html トライブ}}}{{{#!html ナイン}}}[br]'''{{{#!html TRIBE}}} {{{#!html N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트라이브나인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fff,#fff 장르}}}''' ||[[사이버펑크]] || || '''{{{#fff,#fff 원작}}}''' ||아카츠키(アカツキ)[br][[Tookyo Games]] || || '''{{{#fff,#fff 원안}}}''' ||[[코다카 카즈타카]] || || '''{{{#fff,#fff 캐릭터 원안}}}''' ||코마츠자키 루이(小松崎 類)[* [[단간론파 시리즈]]의 메인 일러스트레이터.][br][[시마드릴]] || || '''{{{#fff,#fff 감독}}}''' ||아오키 유우(青木 悠) || || '''{{{#fff,#fff 시리즈 구성}}}''' ||[[요코테 미치코]] || || '''{{{#fff,#fff 애니메이션[br]캐릭터 디자인}}}''' ||<|2>야부모토 요스케(薮本陽輔) || || '''{{{#fff,#fff 총 작화감독}}}''' || || '''{{{#fff,#fff 미술 원안}}}''' ||코바야시 테츠야(小林哲也) || || '''{{{#fff,#fff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 || '''{{{#fff,#fff 색채 설계}}}''' ||오오니시 미네요(大西峰代) || || '''{{{#fff,#fff 촬영 감독}}}''' ||카시와기 켄타로(柏木健太郎) || || '''{{{#fff,#fff 편집}}}''' ||하세가와 마이(長谷川 舞) || || '''{{{#fff,#fff 음향 감독}}}''' ||타나카 료(田中 亮) || || '''{{{#fff,#fff 음악}}}''' ||[[타카다 마사후미]] || || '''{{{#fff,#fff 음악 제작}}}''' ||[[란티스]] || || '''{{{#fff,#fff 프로듀서}}}''' ||이즈미 아키노리(泉 昭紀)[br]아베 켄고(阿部研吾)[br]야마오카 유키(山岡勇輝)[br]이이지마 미에코(飯島江美子)[br]칸다 료타(神田亮太)[br]세지마 타쿠야(瀬島卓也) || || '''{{{#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야마모토 와타루(山本 航)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라이덴 필름]] || || '''{{{#fff,#fff 제작}}}''' ||'''{{{#2e73e9,#2e73e9 TRIBE}}} {{{#bf3fec,#bf3fec NINE}}}''' [[제작위원회]] || || '''{{{#fff,#fff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 01. 10.]] ~ 2022. 03. 28. || || '''{{{#fff,#fff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월) 22: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br](월) 23:00^^LIVE^^[br](토) 02:00^^TV^^[* 1화는 01:30에 방영.] || || '''{{{#fff,#fff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aniplustv.com/items/2602|▶]][br][[Laftel]] [[https://laftel.net/item/40688|▶]][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82554|▶]] || || '''{{{#fff,#fff 편당 러닝타임}}}''' ||24분 || || '''{{{#fff,#fff 화수}}}''' ||12화 || || '''{{{#fff,#fff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 || '''{{{#fff,#fff 관련 사이트}}}''' ||[[https://tribenine.tokyo/ani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ribenine_tokyo)]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게임 Tribe Nine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단간론파 시리즈]] 제작진의 신작 프로젝트.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2년 1월|2022년 1월]]. 감독은 아오키 유우. == 공개 정보 == 근미래의 일본을 배경으로 하며, 미래의 도쿄인 '''네오 도쿄'''에서 벌어지는 젊은이들의 '''트라이브'''라는 집단들의 이야기. 규칙을 일부 변경한 가공 야구를 하는 작품이며 [[거인의 별]], [[사무라이 자이언츠]] 같은 고전 야구 만화를 [[코다카 카즈타카]] 스타일로 오마주한 작품이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6v0Y4_UNOs,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plhQ8v-Hok, width=100%)]}}} || || '''PV 제2탄''' || == 줄거리 == >심약하고 항상 괴롭힘당하기 일쑤였던 시로카네 하루. >최강의 남자를 꿈꾸며 바다를 건너 찾아온 타이가. > >두 소년은 어느 날 해 질 무렵에 >최강의 XB 플레이어이자 미나토 트라이브의 리더인 카미야 슌과 만났다. > >그와 같은 시기 네오 도쿄에 퍼져있는 수많은 트라이브들은 >커다란 위협에 직면하고 있었다. > >네오 도쿄 국왕인 오토리 텐신의 명령으로 >수수께끼의 남자 오토리 오지로가 이끄는 치요다 트라이브가 >나라 곳곳에 있는 트라이브들을 제압하기 시작한 것이다. > >그 마수는 미나토 트라이브에까지 닿으려 하고 있었는데... > >'자신을 바꾸고 싶다' >'어찌 됐든 최강의 남자를 목표로 한다' >'그저 XB를 즐기고 싶다' > >스스로의 양보할 수 없는 신념을 관철하기 위해 >하루, 타이가, 카미야는 XB 타석에 우뚝 섰다! >---- >''― [[https://aniplustv.com/|애니플러스]]'' == 등장인물 == ||<:><-8><#3851ad,#3851ad>
'''{{{#fff,#fff TRIBE NINE}}} {{{#fff,#fff 등장인물}}}''' || ||<:><|2><#ffffff> [[미나토 트라이브|[[파일:tribe-logo-minato-l.png|width=60]]]] [br]'''MINATO'''|| [[카미야 슌|[[파일:kamiya_shun.png|width=100]]]] || [[시로카네 하루|[[파일:sirokane_haru.png|width=100]]]] || [[타이가|[[파일:taiga_.png|width=100]]]] || [[아리스가와 사오리|[[파일:arisugawa_saori.png|width=100]]]] || [[미타 산타로|[[파일:mita_santaro.png|width=100]]]] || [[다이몬 마나미|[[파일:daimon_manami.png|width=100]]]] || [[아오야마 카즈키|[[파일:aoyama_kazuki.png|width=100]]]] || || [[카미야 슌|{{{#fff 카미야 슌}}}]] || [[시로카네 하루|{{{#fff 시로카네 하루}}}]] || [[타이가(TRIBE NINE)|{{{#fff 타이가}}}]] || [[아리스가와 사오리|{{{#fff 아리스가와[br]사오리}}}]] || [[미타 산타로|{{{#fff 미타 산타로}}}]] || [[다이몬 마나미|{{{#fff 다이몬 마나미}}}]] || [[아오야마 카즈키|{{{#fff 아오야마 카즈키}}}]] || ||<:><|2><#ffffff> [[아다치 트라이브|[[파일:tribe-logo-adachi-l.png|width=60]]]] [br]'''ADACHI''' || [[센쥬 햐쿠타로|[[파일:senju_hyakutaro.png|width=100]]]] || [[우메다 란키치|[[파일:umeda_rankichi.png|width=100]]]] || [[타츠누마 타츠토|[[파일:tatsunuma_tatsuto.png|width=100]]]] || || [[센쥬 햐쿠타로|{{{#fff 센쥬 햐쿠타로}}}]] || [[우메다 란키치|{{{#fff 우메다 란키치}}}]] || [[타츠누마 타츠토|{{{#fff 타츠누마 타츠토}}}]] || ||<:><|2><#ffffff> [[오타 트라이브|[[파일:tribe-logo-oota-l.png|width=60]]]] [br]'''OTA'''|| [[소노다 후쵸|[[파일:sonoda_hucho.png|width=100]]]] || [[유키가야 에노키|[[파일:yukigaya_enoki.png|width=100]]]] || [[하네다 키요시로|[[파일:haneda_kiyoshiro.png|width=100]]]] || [[사이고 로쿠|[[파일:saigo_roku.png|width=100]]]] || [[아사히카와 카이|[[파일:asahikawa_kai.png|width=100]]]] || || [[소노다 후쵸|{{{#fff 소노다 후쵸}}}]] || [[유키가야 에노키|{{{#fff 유키가야 에노키}}}]] || [[하네다 키요시로|{{{#fff 하네다 키요시로}}}]] || [[사이고 로쿠|{{{#fff 사이고 로쿠}}}]] || [[아사히카와 카이|{{{#fff 아사히카와 카이}}}]] || ||<:><|2><#ffffff> [[타이토 트라이브|[[파일:tribe-logo-taito-l.png|width=60]]]] [br]'''TAITO''' || [[우에노 야지로베|[[파일:ueno_yajirobe.png|width=100]]]] || [[사쿠라 하나후다|[[파일:sakura_hanahuda.png|width=100]]]] || || [[우에노 야지로베|{{{#fff 우에노 야지로베}}}]] || [[사쿠라 하나후다|{{{#fff 사쿠라 하나후다}}}]] || ||<:><|2><#ffffff> [[시나가와 트라이브|[[파일:tribe-logo-shinagawa-l.png|width=60]]]] [br]'''SHINA[br]GAWA''' || [[고탄다 유타카|[[파일:gotanda_yutaka.png|width=100]]]] || [[오오이 미나미|[[파일:oi_minami.png|width=100]]]] || || [[고탄다 유타카|{{{#fff 고탄다 유타카}}}]] || [[오오이 미나미|{{{#fff 오오이 미나미}}}]] || ||<:><|2><#ffffff> [[세타가야 트라이브|[[파일:tribe-logo-setagaya-l.png|width=60]]]] [br]'''SETA[br]GAYA''' || [[토도로키 에이지|[[파일:todoroki_eiji.png|width=100]]]] || || [[토도로키 에이지|{{{#fff 토도로키 에이지}}}]] || ||<:><|2><#ffffff> [[치요다 트라이브|[[파일:tribe-logo-chiyoda-l.png|width=60]]]] [br]'''CHI[br]YODA''' || [[오오토리 오지로|[[파일:otori_ojiro.png|width=100]]]] || [[오오토리 텐신|[[파일:otori_tenshin.png|width=100]]]] || [[카미키 유이|[[파일:kamiki_yui.png|width=100]]]] || || [[오오토리 오지로|{{{#fff 오오토리 오지로}}}]] || [[오오토리 텐신|{{{#fff 오오토리 텐신}}}]] || [[카미키 유이|{{{#fff 카미키 유이}}}]] || ||<:><|2><#ffffff> [[파일:tribe-logo-other-l.png|width=60]] [br]'''OTHER''' || [[네코마루|[[파일:nekomaru_kamiya.jpg|width=100]]]] || [[저지로봇|[[파일:judge_robot.jpg|width=100]]]] || || [[네코마루|{{{#fff 네코마루}}}]] || [[저지로봇|{{{#fff 저지로봇}}}]] || == 설정 == * '''트라이브''' 사회에 절망한 젊은이들이 모여 집단으로 활동하는 조직들의 통칭. 쉽게 말해, 컬러갱이다. * '''XB''' [ruby(eXtream Baseball, ruby=익스트림 베이스볼)]의 약자. 과격해지는 트라이브의 집단 항쟁의 폭주를 막고자 네오 도쿄 정부가 만들어낸 스포츠. [[듀얼 만능주의|트라이브 간의 항쟁은 모두 이 특수한 야구로 승패를 정해야 한다.]] 언뜻 보면 트라이브들의 항쟁을 건전한 스포츠로 제어하는 정상적인 시스템 같지만 이 특수한 야구 또한 막장이다. 일단 형식적인 룰은 야구랑 비슷하나, 전체적으로 보면 막장 그 자체인 스포츠다. 상대 팀 투수가 공을 던지면 타자가 그 공을 치려고 하며, 각 베이스에 주자가 있으면 뛰는 건 기존 룰과 동일하다. 1~3루를 지나 홈에 들어오면 1점 획득, 1회초~9회말 턴 룰, 삼진 룰 또한 동일하다. 이하는 기존 야구하고 다른 점들. 일반적인 야구에서는 수비수가 공을 잡고 베이스를 밟거나 한 번도 땅에 닿지 않은 공을 잡으면 아웃이나, XB에선 아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XB에선 '''오로지 공을 가진 수비수가 주자를 터치했을 때만 아웃으로 인정된다.''' 홈런 또한 XB 룰 상 존재하지 않으며 2루 너머의 모든 곳은 외야다.[* 파울 관련 룰은 아직 작중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그리고 공을 가진 수비수와 주자가 대치했을 경우 '''몸싸움이 허용'''되며, 이 때 수비수가 공으로 주자를 1번이라도 터치하는 데에 성공했으면 아웃, 주자가 수비수의 공 터치를 피하거나, '''수비수를 힘으로 제압하여''' 공에 닿지 않고 지나 베이스를 밟으면 세이프다. 단, 공을 갖고 있지 않은 수비수가 주자에게 손을 대는 건 반칙이며, 이를 어길 시 저지로봇이 해당 수비수를 구속한다. 근미래 설정답게 배트, 글러브, 볼, 스파이크 통칭 기어는 최첨단 과학 기술을 탑재한 장비이며, 그 어떤 장비라고 해도 저지로봇이 허가했다면 써도 된다. 레일 건 급 강속구를 날릴 수 있는 글러브든, 강력한 타구를 가능케 하는 배트든 전부 허용이다. 경기장은 일반적인 야구 경기장이 아니라 시내에서 벌어지며, 도쿄의 경우 홈 베이스는 아자부 교차점, 1루는 시바 절, 2루는 미나토 타워, 3루는 롯폰기 슈퍼 힐즈에 위치해 있다. 여기서 '''2루와 3루 사이의 거리는 무려 1.41km'''이다.[* 일반적인 야구장에서 각 베이스 사이의 거리가 27.431m다. 즉, 통상적인 야구장보다 구장이 약 4배 정도 넓다는 말이다.] 단, 스파이크가 특수한지 다들 아무렇지 않게 뛰어다니며 심지어 건물 벽 사이를 점프해서 날아가는 공을 잡아채기에 작중에선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1화에서 시나가와 트라이브 리더인 고탄다 유타카가, 미나토 트라이브의 카미야 슌의 타구에 맞고 기절하자 그대로 게임이 끝난 걸 보면[* 점수판에는 다음 시나가와가 뛸 차례인 2회초에 점수 대신 해골 마크가 박히게 된다.] 투수나 리더가 리타이어 하면 게임 끝이라는 룰이 있는 걸로 보인다. 물론 리더도 기절했고 자랑하던 기어도 박살나서 그냥 팀이 항복한 걸 수도 있다. == 주제가 == === O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color:#070e14;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3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background-size:8px 14px; background-position: 0 0, 0 0, 4px 7px, 4px 7px, 0 0, 4px 7px;" '''{{{#!html O}}}{{{#!html P}}}[br]{{{#fff,#fff Strike It Ou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DNokc8a_9jw, width=100%)]}}} || ||<-2> '''{{{#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2rEmvpmGfM, width=100%)]}}} || ||<-2> '''{{{#fff,#fff Full ver.}}}''' || || '''노래''' ||<|2> [[미야비(가수)|MIYAVI]] || || '''작사''' || || '''작곡''' ||<|2> Jeff Miyahara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아오키 유우(青木 悠) || || '''연출''' || || '''원화''' || || '''작화감독''' || 야부모토 요스케(薮本陽輔)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color:#070e14;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30deg, #493e8d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150deg, #373d41 12%, transparent 12.5%, transparent 87%, #493e8d 87.5%, #493e8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linear-gradient(60deg, #3851ad 25%, transparent 25.5%, transparent 75%, #3851ad 75%, #3851ad); background-size:8px 14px; background-position: 0 0, 0 0, 4px 7px, 4px 7px, 0 0, 4px 7px;" '''{{{#!html E}}}{{{#!html D}}}[br]{{{#fff,#fff Infoc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VBoBwZWLoc4, width=100%)]}}} || ||<-2> '''{{{#fff,#fff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W-6QfnCgLk, width=100%)]}}} || ||<-2> '''{{{#fff,#fff Full ver.}}}''' || || '''노래''' || Void_Chords feat.LIO || || '''작사''' || Konnie Aoki || || '''작곡''' ||<|2> 타카하시 료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3> 아오키 유우(青木 悠) || || '''연출''' || || '''작화'''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전화 콘티: 아오키 유우(青木 悠)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魂かけて[br]영혼을 걸고서 ||<|5> [[요코테 미치코]] || 이케다 유키[br](池田ユウキ) || 야부모토 요스케[br](薮本陽介)[br]센코지 카이토[*A 액션][br](千光士海登) || 日: 2022.01.10.[br]韓^^LIVE^^: 2022.01.10.[br]韓^^TV^^: 2022.01.15. || || 제2화 || 壊し屋[br]파괴자 || 토모다 야스시[br](友田 康) || 이토 타이요쿠[br](伊藤大翼)[br]타케우치 아키라[br](竹内 啓)[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1.17.[br]韓^^LIVE^^: 2022.01.17.[br]韓^^TV^^: 2022.01.22. || || 제3화 || 本当の敵[br]진짜 적 || 야마자키 타츠지[br](山﨑立士) || 우라시마 미키[br](浦島美紀)[br]카노 아키라[br](加野 晃)[br]스즈키 아야코[br](鈴木彩子)[br]타케우치 아키라[br]야부모토 요스케[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1.24.[br]韓^^LIVE^^: 2022.01.24.[br]韓^^TV^^: 2022.01.29. || || 제4화 || アイツがいなけりゃ[br]그 녀석이 없으면 || 시라이시 미치타[br](白石道太) || 후루야 리에[br](古谷梨絵)[br]아베 히로키[br](阿部弘樹)[br]호시노 마스미[br](星野真澄)[br]타케우치 아키라[br]시마다 사토시[br](嶋田聡史)[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1.31.[br]韓^^LIVE^^: 2022.01.31.[br]韓^^TV^^: 2022.02.05. || || 제5화 || 見たかったモノ[br]보고 싶었던 것 || 미야케 코타로[br](三宅綱太郎) || 시게마츠 신이치[br](重松しんいち)[br]와다 켄토[br](和田賢人)[br]이시야마 히로시[br](石山 寛)[br]칸바라 토우마[br](柑原豆真)[br]시마다 사토시[br]김대정[br]박미현[br]손길영[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2.07.[br]韓^^LIVE^^: 2022.02.07.[br]韓^^TV^^: 2022.02.12. || || 제6화 || 男の意地[br]남자의 고집 ||<|4> 이케다 린타로[br](池田臨太郎) || 이타비사시 미치루[br](板庇 迪) || 이모토 카즈아키[br](井元一彰)[br]타케우치 아키라[br]시게우치 유키[br](重内悠希)[br]아다치 유스케[br](安達祐輔)[br]우치노 아키오[br](内野明雄)[br]나카무라 카즈요[br](中村和代)[br][[이시가미 히로미]][br]센코지 카이토[*A][br][[키쿠치 카츠노리]][*A] || 日: 2022.02.14.[br]韓^^LIVE^^: 2022.02.14.[br]韓^^TV^^: 2022.02.19. || || 제7화 || ドキッ! トライブだらけの XB 大会[br]두근! 트라이브들로 북적이는 XB 대회 || 토모다 야스시 || 아베 히로키[br]시게쿠니 히로코[br](重国浩子)[br]후루세 노보루[br](古瀬 登)[br]우치노 아키오[br]시마다 사토시[br]양지혜[br]민현숙[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2.21.[br]韓^^LIVE^^: 2022.02.21.[br]韓^^TV^^: 2022.02.26. || || 제8화 || カオスの幕開け[br]카오스의 개막 || 키무라 히로시[br](木村 寛) || 타케우치 아키라[br]오자와 마도카[br](小澤 円)[br]이토 타이요쿠[br]시마다 사토시[br]우라시마 미키[br]칸바라 토우마[br]카메야마 신야[br](亀山進矢)[br]우치노 아키오[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2.28.[br]韓^^LIVE^^: 2022.02.28.[br]韓^^TV^^: 2022.03.05. || || 제9화 || 逆転サヨナラ[br]역전 끝내기 홈런 || 시라이시 타츠야[br](白石達也) || 아베 히로키[br]카메야마 신야[br]와다 켄토[br]이시야마 히로시[br]사노 요코[br](佐野陽子)[br]후루야 리에[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3.07.[br]韓^^LIVE^^: 2022.03.07.[br]韓^^TV^^: 2022.03.12. || || 제10화 || 宣戦布告[br]선전 포고 ||<|3> 요코테 미치코 || 무라야마 키요시[br](むらやまきよし)[br]카와나 카나[br](川奈可奈) || 카노 아키라[br]나리마츠 요시토[br](成松義人)[br][[오오노 츠토무]][br]카마다 히토시[br](鎌田 均) || 日: 2022.03.14.[br]韓^^LIVE^^: 2022.03.14.[br]韓^^TV^^: 2022.03.19. || || 제11화 || 決戦! チヨダトライブ[br]결전! 치요다 트라이브 || 에조에 히토미[br](江副仁美) || 우치노 아키오[br]나카무라 카즈요[br]이모토 카즈아키[br]후루야 리에[br]우라시마 미키[br]이토 타이요쿠[br]이시가미 히로미[br]김대정[br]손길영[br]센코지 카이토[*A] || 日: 2022.03.21.[br]韓^^LIVE^^: 2022.03.21.[br]韓^^TV^^: 2022.03.26. || || 제12화 || PLAY BALL || 이케다 유키 || 야부모토 요스케[br]칸바라 토우마 || 日: 2022.03.28.[br]韓^^LIVE^^: 2022.03.28.[br]韓^^TV^^: 2022.04.02. || == 평가 == 호평과 혹평이 동시에 있었던 [[아쿠다마 드라이브]]와 달리 처참하게 혹평만 받았다. 무엇보다 이전 작품들에 비해 캐릭터들 매력이 전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딱 1화 아니 정확히는 카미야가 죽기 전까지만 그나마 호평 그 뒤론 전부다 혹평 정말 [[OST는 좋았다]]의 표본 == 기타 == * 밤에 화려하게 빛나는 [[대한민국]], [[일본]], [[대만]], [[중국]] 동부와 대비되어 유독 [[북한]]만 새카맣게 묘사된 1화 첫 장면이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 화두가 된 적이 있다.[* [[파일:트라이브 나인.지구 밤모습.png]]] * 북미에서는 [[퍼니메이션]]을 통해서 2022년 1월 31일부터 자국어 더빙이 되어 방영된다. * 본작의 원안이 되는 게임의 출시 날짜는 미정이다. [각주] [[분류:TRIBE NINE]][[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