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TRW LMR}}}'''[br]''Low Maintenance Rif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orld.guns.ru/trw_lmr2.jp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odernfirearms.net/trw_lmr1.jpg|width=100%]]}}}|| ||<-2><:> {{{#000,#ddd {{{-1 착검한 사진. [[M14 소총]]에 부착하는 [[M6 총검]]이다.}}}}}} || || '''종류''' ||[[자동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개발''' ||도널드 A. 스토어 || || '''개발년도''' ||[[1971년]] || || '''생산''' ||TRW || || '''생산년도''' ||[[1971년]]~[[1973년]] || || '''생산수''' ||최대 10정 || || '''단가''' ||$ 130[* 1971년 기준.]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 .223 레밍턴]] || || '''급탄''' ||20, 30발짜리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롤러 잠금식 [[오픈 볼트]][br]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 || '''총열길이''' ||493mm || || '''전장''' ||871mm || || '''중량''' ||3.30kg (비장전 시)[br]3.64kg (장전 시) || || '''발사속도''' ||450RPM || || '''탄속''' ||990m/s || || '''유효사거리''' ||460m || || '''최대사거리''' ||2,425m ||}}} || [목차] [clearfix] == 개요 == TRW 사에서 개발한 '''손질이 필요 없는''' 소총. == 설명 == 1960년대에 본격적으로 베트남전에 개입하면서 [[미군]]은 [[M14 소총|M14]]와 [[M16 소총|M16]] 모두 운용하면서 높은 습도를 가진 정글에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고,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L'''ow '''M'''aintenance '''R'''ifle, 즉 직역하면 최소 정비 소총이 된다.] 미국방부는 TRW사에게 최소한의 정비만으로도 운용할 수 있는 소총의 개발을 의뢰했다. 이미 이 시기부터 무분별한 연사로 인한 탄약낭비에 대한 문제가 크게 제기되고 있어서[* 이 문제는 훗날 [[M16A2]]에서 연사대신에 3점사로 [[의도는 좋았다|바꾸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또 이 변경은 훗날 ([[미합중국 해병대|미해병대]]를 제외한) 미군이 [[M4 카빈|M4A1]]같은 단축형 돌격 소총으로 [[결과는 좋았다|전군 채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른 자동소총보다 현저하게 느린 분당 450발에 [[MP40|단발이 없이 자동만으로 제어를 하게]] 설계했다. 또한 장전방식도 특이한게 이 총기가 [[스텐 기관단총]]과 [[스털링 기관단총]]의 [[http://www.forgottenweapons.com/wp-content/gallery/brit-308-prototype/brit%20308%20prototype%201.jpg|7.62 x 51mm 버전]]처럼 비슷한 역할로 싸고 빠르게 만들어낼 목적으로 만들어내다보니 장전 손잡이가 없고 [[M3 기관단총|대신 가스 피스톤 파이프의 뒷부분을 당겨야한다.]] 심지어는 방아쇠뭉치/권총손잡이는 아예 [[M60 기관총]]의 것을 그대로 갖다붙였다. M60도 LMR도 똑같이 오픈볼트식 자동화기다보니, 특별히 수정할 것도 없이 그대로 호환된다. 롤러 로킹 방식을 사용한 것은, 회전노리쇠 방식 같은 것에 비해 가공과 열처리 등의 고난이도 가공 부위가 적고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 싸고 빠르게 만들어내면서 부품구조도 단순해지고 그 덕에 [[닉값|이름처럼]] 최소한의 정비만으로도 튼튼하게 운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은 이 총기를 [[FP45 리버레이터|FP45]]처럼 남베트남을 비롯한 제3세계의 친미세력에 군사개입을 하면서 원조를 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이 소총의 개발은 1973년, 단 10정 내외의 프로토타입만 만들어진채 중단되어 버렸는데, 원인은 바로 미군의 베트남 철수였다. 미군이 [[베트남 전쟁]]에서 손을 떼면서, 많은 양의 [[M16 소총|M16]]이 싼 값에 대량으로 풀려나갔고, 각국의 친미 정권들은 대량으로 풀린 [[M16 소총|M16]]을 대거 구매함으로써 LMR 소총의 원조 계획이 취소됨에 따라, 결국 빛을 보지 못했다. 여러모로 비운의 총기 중 하나인 셈.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