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3~4분 가량의 TV [[애니메이션]]의 [[오프닝#s-1.2|오프닝]]과 [[엔딩#s-2|엔딩]]곡을 [[텔레비전]] 방송을 위해 오프닝과 [[엔딩]] 영상에 맞게 1분 30여초의 길이로 [[편집]]한 곡을 부르는 호칭. 미국 애니메이션에도 삽입곡으로서의 [[애니메이션 음악]] 개념이 있지만, 대체로 이 TV size란 표기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주제가에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다. == 상세 == 중간 삽입곡과는 다르게 오프닝곡과 엔딩곡은 오프닝과 엔딩의 영상이 흐르는 동안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의 제약이 있다. 90년대까지의 경우에는 90여초의 TV 방영분이 원래 사이즈고 작품의 인기가 높아지면 확장판격으로 3분 이상의 전체 사이즈를 다시 녹음하는 형태였으나, [[타이업]] 형태의 사업구조가 확립된 2000년대 이후로는 3분 이상의 사이즈가 기본 길이고 주제가 부분만을 TV size로 편집하여 송출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기본적으로는 [[1절만 하자|1절부분을 송출하고 있으나]], 곡의 맨 앞부분 + 맨 뒷부분이라든지, 1기 1절, 2기 2절등의 편집도 많이 보이는 추세. 조이드 제네시스의 첫번째 오프닝곡을 비롯한 몇몇 오프닝곡은 TV 사이즈가 풀사이즈보다 좋아서 '''승리의 편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른 예로는 '2X2=시노부전'에서는 오프닝 중간 중간 주인공 시노부가 추임새를 넣는데 이게 엄청나게 인기가 있어서, 이것이 삭제된 풀버젼보다 TV 사이즈가 더 인기있었다. 정식 음원의 공개는 주제가 싱글의 보너스 트랙의 형태나 애니메이션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나, TV size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비슷하게도 국내 대표적인 [[리듬게임]]인 [[리듬스타]]에서도 곡길이가 기본 3~5분 또는 그 이상 되는 클래식 음악이나 가요들을 1분 30초 전후 정도의 길이로 짤라서 공식 음원으로 송출하였다. 리듬스타뿐만 아니라 타 리듬게임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Geometry Dash]]의 공식맵의 음원 곡 길이도 약 1분 30초 가량 된다. 이 게임의 전작인 [[The Impossible Game]]도 마찬가지. == 특이한 방식으로 사용된 TV 사이즈 오프닝/엔딩곡 == ※ 별도 표기가 없는 것은 최초 방영국[* 일본 애니메이션 - 일본 현지, 한국 애니메이션 - 한국 최초방영시]의 사례. * '''1기에 1절. 2기에 2절을 사용''' * [[나루토(애니메이션)|나루토 질풍전,,(한국판 1~2기),,]] - [[나루토/주제가#s-1.1.2.1|오프닝 '풍운']]과 [[나루토/주제가#s-1.1.2.2|엔딩 '나비']] 모두 1기에는 1절 부분을, 2기에는 2절 부분을 방송하였다. 3기부터는 시즌이 바뀌어도 1절 부분만을 송출하였다. * [[스트라토스4]] - TVA는 1절, OVA는 2절 * [[용자왕 가오가이가]] - Z01전까지는 1절, Z마스터까지는 2절. 다만, 조누다 전인 49화에선 1절. 오프닝곡 자체가 삽입곡 수준으로 작중에 자주 삽입된 특징도 있다. * [[용자왕 가오가이가 파이널]] - 마찬가지로 1,2절을 적당히 섞었다. 정확히는 2절 자체가 후반 등장기체&무기 까발리기였는지라 2절은 등장이후부터 사용했다. * [[우에키의 법칙]] - 31화~32화 한정으로 falco 2절을 사용했다. * [[천원돌파 그렌라간]] * [[풀 메탈 패닉!(애니메이션 1기)|풀 메탈 패닉! 1기]] - 오프닝 곡과 엔딩곡이 각각 전반부 1절, 후반부 2절로 방송되었다. * [[하야테처럼!]] 3~4기 op "칠전팔기☆지상주의" * [[해적전대 고카이저]] - 매화마다 1~3 소절이 번갈아 나온다. 1절은 고레인저 ~ 라이브맨, 2절은 터보레인저 ~ 타임레인저, 3절에서는 가오레인저 ~ 고세이저가 소개된다. * [[Go! 프린세스 프리큐어]] - 1쿨은 1절 가사, 2쿨은 2절 가사를 사용했다.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1절과 2절을 오프닝과 엔딩으로 사용''' * [[나루토 SD 록리 청춘 풀파워 인전|나루토 SD 록 리의 청춘 닌자전,,(한국판),,]] - 일본의 첫 번째 오프닝 'Give Lee Give Lee Rock Lee'만이 국내에 번안되었는데, 1절부분을 오프닝으로, 브릿지부분 이후를 엔딩으로 사용하였다. * [[MAGIC KAITO#s-7.1.2|명탐정 코난,,(괴도키드 스페셜-투니버스판),,]] - 주제곡으로 [[Hello Mr. my yesterday]]이 사용되었는데, 오프닝에 1절을 엔딩에 브릿지 부분 이후를 사용하였다. * [[꼭두각시 서커스/애니메이션|꼭두각시 서커스]] - 같은 곡 月虹에 대해 1절은 첫 번째 오프닝으로, 2절은 세 번째 엔딩으로 사용하였다. * '''맨 앞부분과 맨 뒷부분을 조합''' * [[유희왕]] 5D's * [[나루토 질풍전]] - [[シルエット]]의 1절을 따오고 후렴구부턴 마지막 후렴구~아웃트로를 조합했다. * '''중간중간에 편집''' * [[조이드 제네시스]] [[쏙독새의 꿈]] - 특이한 편집으로 인해 [[바쁜 사람들을 위한 시리즈]]수준으로 노래의 의미 자체가 왜곡되었다. TV 사이즈는 그냥 평범하게 여행하는 느낌으로 이름 모를 마을을 위해 F-117이 정의의 이름으로 분투하는 내용으로 그려진다. 반면 풀 사이즈를 들어보면 '''그 이름 모를 마을을 F-117이 폭격으로 파괴한다'''는 참혹한 내용을 담고있다. 정의를 위해서 라는 변명은 덤. 쏙독새가 [[F-117]] 전투기의 별명인 걸 고려하면 어느 정도 노린 가사로 보인다. * [[AIR(게임)|AIR]] 등 * '''오프닝이 2분 30여초간 삽입되는 경우''' * [[메타제트]]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국내 방영#s-3.6.1.2|명탐정 코난,,(투니버스판 3기),,]] - [[君と約束した優しいあの場所まで#s-3|꿈을 향해]]의 경우 국내 번안시 2절 없이 1절에서 바로 브릿지로 넘어가는 2분 30여초의 형태로 편곡되었는데, 이 전체곡이 광고 전의 오프닝과 본편 후의 엔딩으로 삽입되었다. 이 당시 투니버스가 엔딩을 본편과 광고 사이에 송출했던 관계로 이 당시의 회당 편성시간이 길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같은 곡을 사용한 애니맥스판 5기의 경우 브릿지 부분을 적절히 편집하여 1분 30여초의 곡으로 송출하였다. * [[원피스(애니메이션)|원피스]] - [[원피스(애니메이션)/주제가#s-2.1.2|8번째 오프닝]]부터 오프닝에 2분 30여초를 할애한 대신 엔딩을 없앴다. * '''TV판과 음반판의 구성이나 편곡이 다른 경우'''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 - 4번째 엔딩 I will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 - 29번째 엔딩 [[雪どけのあの川の流れのように]] * [[쁘띠쁘띠 뮤즈]] - TV 방송분 오프닝에 삽입된 랩이 음원판에는 빠져있다. * '''방영 도중 구성이나 편곡이 바뀐 경우'''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명탐정 코난]] - 4번째 오프닝 [[運命のルーレット廻して]]의 경우 두 차례 편곡이 바뀌었고, 이마저도 앨범 발매판과 다르다. *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국내 방영#s-3.6.3.2|명탐정 코난,,(투니버스판 10기),,]] - 오프닝/엔딩 [[Hello Mr. my yesterday]]이 최초 방영시에는 [[사비#s-3|후렴구]]로 브릿지 이후의 3절 부분(내 전부를 걸고 ~ 맞이하러 가겠어)을 사용하였으나, 방영 도중 1절의 후렴구 부분(희망을 말하는 ~ 미소 짓고 있나요?)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동일한 곡이 삽입된 투니버스판 X파일 3기 오프닝/엔딩이나 괴도키드 스페셜 오프닝은 1절 부분이 삽입되었다. [[분류:애니메이션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