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이브릴 라빈)] ||<-3><#f28db9> [[에이브릴 라빈|{{{#fff {{{-2 '''에이브릴 라빈'''}}}}}}]]{{{#fff {{{-2 '''의'''}}}}}} [[에이브릴 라빈/음반 목록|{{{#fff {{{-2 '''음반'''}}}}}}]] || || {{{#000 ←}}} ||<|2> {{{#fff '''3집'''}}}[br] {{{#fff ''' ''The Best[br]Damn Thing'' ''' }}} [br]{{{#fff (2007)}}} || {{{#000 →}}} || || {{{-3 2집}}} [br][[Under My Skin|{{{#800000 ''' ''{{{-2 Under My[br]Skin}}}'' '''}}}]][br]{{{-3 '''(2004)'''}}} || {{{-3 4집}}} [br][[Goodbye Lullaby|{{{#234200 ''' ''{{{-2 Goodbye[br]Lullaby}}}'' '''}}}]][br]{{{-3 '''(2011)'''}}} || ||<-2><#f28db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abb9, #ffabb9, #ffa4b3, #f28db9, #f28db9, #f28db9)";" '''{{{+1 The Best Damn Thing}}}'''[br]'''{{{-2 The 3rd Studio Albu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bestdamnthing.jpg|width=100%]]}}} || ||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2007년]] [[4월 11일]] || || '''녹음일''' ||[[2006년]] [[8월]] - [[2007년]] [[1월]] || || '''장르''' ||[[팝 펑크]] • [[팝 록]] || || '''재생 시간''' ||40:48 || || '''곡 수''' ||12[*스탠다드 버전] + 5[*Expanded 버전] || || '''프로듀서''' ||Rob Cavallo, 닥터 루크, 부치 워커, 데릭 위블리 || || '''레이블'''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s-6.2.1|[[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50]]]] || || '''싱글 발매곡''' ||[[Girlfriend]] ,,(2007년 2월 27일),,[br][[When You're Gone]] ,,(2007년 6월 19일),,[br]Hot ,,(2007년 10월 2일),,[br]The Best Damn Thing ,,(2008년 6월 2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f28db9>||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vrilgfriend.gif|width=100%]]}}} || || {{{#f28db9 {{{-2 '''And hell yeah, I’m the motherfucking princess'''}}}}}} {{{-2 그래 맞아, 난 끝내주는 공주님이야}}} {{{-4 ''- [[Girlfriend]] -'' }}} || > '''''2007년 전세계 앨범 판매량 4위''''' The Best Damn Thing은 캐나다 출신의 가수 에이브릴 라빈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앨범은 RCA 레코드를 통해 2007년 4월 13일 발매되었다. 국제음반산업협회에 따르면 The Best Damn Thing은 2007년 당시 소니 BMG의 최고 판매고를 올린 앨범이였고, 세계적으로 4번째로 많이 판 앨범이였다. 앨범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세계적으로 7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 앨범의 한정반과 디럭스 버전은 부모의 조언이 필요함(parental advisory) 표시를 받은 라빈의 첫 앨범이다. 《올뮤직》은 앨범에 대해 가장 의미있는 팝 펑크 노래 중 하나인 "Girlfriend"를 특색으로한 역사상 가장 의미있는 팝 펑크 앨범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 상세 == * 2007년에 라빈은 진한 스모키 화장을 하고, 머리에 핑크색 브릿지를 넣고 스스로를 Motherfucking Princess로 칭하는 등 파격적인 변신을 보이며 3집인 The Best Damn Thing을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1집이나 2집과는 너무 다른 버블검 틴팝 스타일의 앨범이라 팬층이 기존 혼성 청소년 팬층에서 10대 여학생들 쪽으로 바뀌었다. * 리드싱글 [[Girlfriend]]로 빌보드 핫 100 1위를 하면서, 온라인에서 '''최초로 조회수 1억을 찍은 뮤직비디오'''라는 가공할 만할 기네스 기록을 올린다. 마치 싸이의 강남스타일처럼 엄청난 신드롬을 일으키며, 거물급 스타 반열에 오른 것이다. 이 시절이 그녀가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했던 최고의 전성기다. * 앨범 또한 약 700만 장 이상의 총판을 올리면서 성공했지만 (2007년 당시 소속사의 최고 판매고를 올린 제품. [* 이때부터 소속사는 라빈을 자꾸 3집 때의 스타일로 밀어붙이려 한다.] 문제는 이것이 당대에 인기가 많았던 [[틴 팝]] 스타 [[브리트니 스피어스]]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를 "무대 위에서 [[매춘부|뭐같이]] 옷 벗고 버블검팝이나 불러댄다" 라며 디스해댔던 라빈의 데뷔 초 시절 발언에 완벽히 위배된다는 것이었다. [* 그래도 3집 버블검 팝 시절에도 화보 촬영을 제외하고는 위 버블검 팝스타들 혹은 우리나라 아이돌과 달리, 무대 위에서 노출 퍼포먼스를 한번도 한 적이 없다.] 라빈이 돌연 진한 화장을 얼굴에 떡칠을 하고 핑크빛의 화신이 되어 저 멀리 버블검 팝의 세상으로 떠나버린 것에 충격을 받아, '''역대급 팬층의 물갈이'''가 일어났으며, 결국 라빈의 아티스트로서의 인식이 급속도로 안좋아졌다. 때문에 이때부터 안티가 대량양산되기 시작했다. 2집까지는 여성 락커의 칭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3집때부터는 팝 프로듀서 닥터 루크와 콜라보를 하며 콘서트 댄서들까지 고용해 이때부터 그녀는 더 이상 락커라고 불리지 않게 된다. * 아이러니하게도 앨범 장르는 1집보다 더 락의 요소가 가득하다. 데뷔 앨범 Let Go가 팝과 락의 장점을 적절히 섞어 여러 가지 장르를 혼합했다면, 이 앨범은 팝 펑크, 팝 락에 치중하여 전체적인 사운드는 락의 요소를 그대로 따른다. 그렇기에 충격적인 스타일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앨범 자체 퀄리티는 상당히 호평을 받았으며 (에이브릴 라빈 3대 명반에 속한다), 이 앨범에 수록된 발라드 3개는 전집보다 한층 더 음악적으로 성숙해진 그녀를 드러낸다. * 이 앨범의 곡들은 [[blink-182]]의 치어리딩처럼 들렸고 라빈의 [[팝 펑크]] 리프와 [[버블검 팝]] 멜로디를 결합하는 능력을 칭찬했다. 라빈은 이 음반을 "빠르고, 재미있고, 젊고, 건방지고, 공격적이고, 자신감 있고, 장난스러운 건방짐"이라고 묘사했다. 앨범에 수록된 많은 곡들은 라빈에게 깊은 의미를 지니지 않았고, 라빈은 "내가 겪고 있는 개인적인 일 같지 않다. 그냥 노래일 뿐이야"라며 가사의 내용이 대부분 허구임을 밝혔다. 이 곡은 닥터 루크, 부치 워커, 라빈 본인과 당시 라빈의 남편이었던 가수 데릭 위블리가 프로듀싱했다. blink-182의 [[트래비스 바커]]는 라빈과 드럼 일부를 녹음했다. == 성적 == [include(틀:IFPI, 연도=2007, 순위=4)]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2)] ||<-5><#fff,#404040>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앨범 차트]] {{{#b2a529 '''역대 1위'''}}}}}} || || ''Now 24'' {{{-2 {{{#8086a0 Various Artists}}}}}} || {{{+1 →}}} || ''[[The Best Damn Thing]]'' '''{{{-2 [[에이브릴 라빈|{{{#8086a0 Avril Lavigne}}}]]}}}'''[br]{{{-2 (2주)}}} || {{{+1 →}}} || '' Because of You '' {{{-2 {{{#8086a0 [[Ne-Yo]]}}}}}} || ||<-2><#f28db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f28db9, #f28db9);"<#000000> '''판매량'''}}} || ||<#f28db9> '''{{{#fff 국가}}}''' ||<#f28db9> '''{{{#fff 판매량}}}''' || || 캐나다 || 279,000 || || 미국 || 2,000,000 || || 영국 || 491,000 || || 유럽 || 1,000,000 || || 일본 || 1,000,000 || || 호주 || 140,000 || || 멕시코 || 100,000 || || 총 판매량 || '''6,000,000''' || The Best Damn Thing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라빈의 세 번째 앨범이 되었다. 2007년 5월 5일 닐슨 사운드스캔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첫 주 286,000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미국 빌보드 200에서 1위로 데뷔했다. The Best Damn Thing은 2004년 [[Under My Skin]]에 이어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한 라빈의 두 번째 앨범이 되었다. 이 앨범은 발매 2주 만에 12만 1천장이 팔리며 빌보드 200 1위에 올랐다. 2015년 9월 기준으로 이 앨범은 미국에서 170만 장이 팔렸다. 캐나다에서 이 앨범은 [[Under My Skin]]보다 약간 많은 68,000장이 팔리며 1위로 데뷔했다. 둘째 주에는 62%의 판매량 감소로 약 26,000장이 판매되었다. 호주에서 The Best Damn Thing은 ARIA 앨범 차트에서 2위로 데뷔했다. 일본에서는 2위로 데뷔했다. 그리고 발매 2주차에 라빈의 뮤직 스테이션 공연이 끝난 후 12만 장이 팔리며 1위에 올랐다. 이것은 일본에서 그녀의 두 번째 1위 앨범이다. 이 음반은 전 세계 20개국에서 1위로 데뷔했으며, 발매 첫 주에 784,000장이 팔렸다. IFPI에 따르면, The Best Damn Thing은 전 세계적으로 6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소니 BMG의 2007년 최고 판매량을 자랑한 앨범이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The Best Damn Thing은 전세계적으로 600만 장이 판매되었다. == 평가 == The Best Damn Thing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별 5개 중 4.5개를 주면서 "라빈이 거칠게 뛰도록 허락된 앨범이기 때문에 [[Let Go]]보다 훨씬 더 사춘기처럼 느껴진다"고 말했다. 가디언지는 이 앨범에 별 5개 중 4개를 주면서 "성공적인 컴백"이라고 평했다. musicOMH는 이 앨범을 "재미있고 매력적인 음반", "분명히 재미있는 앨범"이라고 불렀고, 이전 앨범 [[Let Go]]와 [[Under My Skin]]의 방향을 즐겁게 반전시킨 앨범이다."라고 평했다.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와 스타일러스 매거진은 이 음반에 "B" 등급을 매겼고, "10대 소녀들이 1년 내내 들을 수 있는 최고의 로큰롤 앨범을 제공했다"고 칭찬했다. 롤링 스톤은 이 음반이 "팝 라디오를 목표로 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 없는 전문가"라고 칭찬했다." 팀 오닐은 "강력한 [[팝 펑크]] 턴"이라고 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싱글 == {{{#!wiki style="word-break:keep-all" ||<-4> [[The Best Damn Thing|[[파일:tbdtlogo.png|width=1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Girlfriend|[[파일:gfsingle.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When You're Gone|[[파일:when you're gone avril.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Hot|[[파일:hotvril.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The Best Damn Thing#s-5.5|[[파일:TBDT single.jpg|width=100%]]]]}}}|| || [[Girlfriend|{{{#f28db9 {{{-2 '''Girlfriend'''}}}}}}]][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28db9; color: #e8e0a5;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정식 싱글'''}}}[br]{{{-4 ''2007. 02. 27.''}}} || [[When You're Gone|{{{#f28db9 {{{-2 '''When You're Gone'''}}}}}}]][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28db9; color: #e8e0a5;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정식 싱글'''}}}[br]{{{-4 ''2007. 06. 19.''}}} || [[Hot|{{{#f28db9 {{{-2 '''Hot'''}}}}}}]][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28db9; color: #e8e0a5;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정식 싱글'''}}}[br]{{{-4 ''2007. 10. 02.''}}} || [[The Best Damn Thing#s-5.5|{{{#f28db9 {{{-2 '''The Best Damn Thing'''}}}}}}]][b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f28db9; color: #e8e0a5; font-size: 0.55em; letter-spacing: -0.1px" '''정식 싱글'''}}}[br]{{{-4 ''2008. 06. 21.''}}} ||}}} == 뮤직 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g59q4puhmg)]}}} || || {{{#2c2c2c '''Girlfriend'''}}}[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433f45 ^^(2007. 2. 2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G3_kG5FFfQ)]}}} || || {{{#2c2c2c '''When You're Gone'''}}}[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433f45 ^^(2007. 6. 1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zb75m8NuMQ)]}}} || || {{{#2c2c2c '''Hot'''}}}[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433f45 ^^(2007. 10.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2i5Jp7mdMc)]}}} || || {{{#2c2c2c '''The Best Damn Thing'''}}}[br]{{{#!wiki style="margin-bottom: -5px" {{{-2 {{{#433f45 ^^(2008. 6. 21.)^^}}}}}}}}} || == 트랙리스트 == ||<-3>
{{{#fff '''The Best Damn Thing'''}}} || || {{{#fff '''트랙'''}}} || {{{#fff '''제목'''}}} || {{{#fff '''길이'''}}} || ||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Girlfriend]] || 3:37 || || 2 || I Can Do Better || 3:17 || || 3 || Runaway || 3:48 || || 4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The Best Damn Thing || 3:10 || || 5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When You're Gone || 3:48 || || 6 || Everything Back But You || 3:03 || || 7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Hot || 3:23 || || 8 || Innocence || 3:52 || || 9 || I Don't Have To Try || 3:18 || || 10 || One of Those Girls || 2:56 || || 11 || Contagious || 2:10 || || 12 || Keep Holding On || 4:00 || ||<-3><#f28db9> {{{#fff '''Expanded Edition'''}}} || || 13 || Alone || 3:14 || || 14 || I Will Be || 4:00 || || 15 || I Can Do Better (Acoustic) || 3:39 || || 16 || Girlfriend (The Submarines' Time Warp '66 Mix) || 3:11 || || 17 || Girlfriend (Dr. Luke Remix featuring Lil Mama) || 3:25 || [[분류:에이브릴 라빈/정규 앨범]][[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2007년 음반]][[분류:캐나다의 팝 음반]][[분류:캐나다의 록 음반]][[분류:팝 펑크]][[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