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40%, #a09e90)" '''{{{#!html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의 주요 수상·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1980년~1999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13)]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1~1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14,연도2=2020,순위2=10)]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1978~199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24)]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1위~15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20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40대 원 히트 원더 명반)]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2)]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89)]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683, 연도=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420)] ---- [include(틀: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대 음반)]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30)]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50대 힙합 데뷔 명반, 순위=3)]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42)]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 || ||<-2> ''{{{+1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 Miseduction Of Lauryn Hill.jpg|width=100%]]}}}|| || '''아티스트''' || [[로린 힐]] || || '''발매''' || [[1998년]] [[8월 25일]] || || '''장르''' || [[네오 소울]], [[컨템퍼러리 R&B|R&B]], [[힙합 음악|힙합]] || || '''길이''' || 77:39 || || '''트랙''' || 14 + 2 ||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 루프 하우스 || || '''프로듀서''' || [[로린 힐]]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린 힐]]이 푸지스를 나오고 혼자서 만든 첫 솔로 앨범이자 마지막 앨범. 전곡을 프로듀싱 및 작사작곡 했다. Ex Factor, [[Doo Wop (That Thing)]], Everything Is Everything 세 곡이 [[빌보드 핫 100]] 상위권에 오르는 성적을 냈으며 특히 [[Doo Wop (That Thing)]]은 피쳐링 없이 여성 래퍼 단독으로 핫 100 1위에 오른 최초의 곡이 된다. 이는 [[카디 비]]가 20년 가까이 지난 [[Bodak Yellow]]로 깨기 전까지 유일한 기록이었다. == 배경 == 당시 앨범 제작 상황은 꽤 복잡한 스토리가 있었다. 로린 힐이 속해있던 [[푸지스]]의 앨범 [[The Score(음반)|The Score]]가 크게 성공하고 로린 힐 본인은 [[휘트니 휴스턴]] 등 유명 가수들에게 프로듀싱을 제공하기도 하며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당시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으로는 별 문제가 없는 듯 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상업적 성공으로 인해 푸지스 멤버들과의 사이도 틀어지고 와이클리프 진과의 연애도 어긋나기 시작했다. 이후 로린 힐은 밥 말리의 아들 로한 말리와 연애를 시작하고 아이를 임신하는데, 주변에서는 아이 출산이 로린 힐의 음악 경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출산을 만류했으나 로린 힐은 출산을 감행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푸지스 멤버들에 대한 원망, 혼란스러운 상황, 그리고 모성애라는 감성은 앨범 작업을 위한 풍부한 원천이 되어줬다. 시기 또한 앨범 발매에 있어 아주 적정의 시기였는데 [[All Eyez on Me|96,]] [[Life After Death|97년]] [[투팍]]과 [[비기]]라는 힙합계의 두 거물이 안타깝게 사망한 이후 동부와 서부간의 긴장감이 옅어지고 흑인 음악은 대중적으로 꽃을 피우던 시기였다. [[퍼프 대디]], [[자 룰]], [[넬리]], [[아웃캐스트]], [[에미넴]]과 같은 전국구 힙합 스타들이 등장하며 힙합이 음악시장의 주류가 된 시기는 로린 힐에게도 절호의 기회로 다가왔던 것이다. == 평가 == 래퍼로서의 랩 실력과 디바로서의 가창력을 모두 갖췄다고 평가받는 로린 힐의 재능을 극대화시켜 제작한 앨범으로 감미로운 보컬 사운드와 몽환적인 R&B 사운드가 합쳐진 트랙들과 정통적인 힙합 송, 남성에게 휘둘리지 말라는 여성을 위한 사회적 메시지까지 모두 들을 수 있는 명반. 다만 [[붐뱁]]과 같은 딱딱한 정통 힙합만을 기대했던 사람들은 실망할 수 있는 앨범으로 힙합 송 보다는 상대적으로 R&B, 소울의 비중이 훨씬 높다. 제목과 앨범 인트로에서는 '학교 교육 없이도 나는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는데 앨범 발매 당시 23세의 로린 힐이 음악적 재능만으로 이런 명반을 발매하며 스스로 자신감을 증명해냈다. 당시 [[갱스터 랩]], [[G-funk]] 등 힙합은 남성들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릴 킴]], [[미시 엘리엇]], [[Da Brat|다 브랫]]과 함께 바꿔버려 리스너들에게 큰 충격을 줬을 뿐 아니라 자신의 가장 독특한 장점인 '가창력을 갖춘 래퍼'라는 점을 활용해 R&B와 힙합을 결합한 결과물을 대중들에게 선보이게 되었다. 푸지스에서의 상업적 성공이 어떤 위기를 불러왔는지 설명하는 인트로곡 Lost Ones, 젊은이들에게 충고하는 [[Doo Wop (That Thing)]], 어쿠스틱 기타소리가 인상적이며 자신의 아들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담긴 To Zion, 푸지스의 멤버였고 자신의 전 남자친구였던 와이클리프 진을 원망하는 감미로운 이별 이야기 [[Ex-Factor]] 등의 곡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있어 여유로운 감상이 가능하다. 어떤 이들은 [[Illmatic]]이 힙합의 교과서라면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은 [[:분류:힙합 소울|힙합 소울]], [[컨템퍼러리 R&B|알앤비]]의 교과서라고 극찬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로린 힐은 [[나스]]의 대표곡 중 하나인 If I Ruled the World (Imagine That)에 피쳐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사실상 힙합 송이라 부를 곡이 많지는 않지만 정통적 붐뱁 곡인 Final Hour에서는 붐뱁 특유의 묵직한 드럼 비트 위에서 여타 래퍼들만큼 뛰어난 랩스킬을 보여주기도 했다.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더 고평가를 받는 이유는 '''[[컨템퍼러리 R&B|R&B]]와 [[힙합 음악|힙합]]을 잇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해낸 앨범이며[* 그 예시로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2020년 이전에는 314위였으나, 흑인음악과 여성 음악가들의 대우가 보다 좋아진 2020년 개정판에서는 무려 '''10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여성 래퍼로서 선구자였기 때문에 [[니키 미나즈]]와 여성 래퍼들의 대선배가 되었고, 지금 인기를 누리고 있는 [[Drake]], [[The Weeknd]]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장르인 [[얼터너티브 R&B]]의 뿌리가 된 앨범으로 남았기 때문일 것이다. == 성과 == ||<-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Follow the Leader'' {{{-2 {{{#8086a0 Korn}}}}}} || {{{+1 →}}}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2 (3주)}}}^^ '''[[로린 힐|{{{-2 {{{#8086a0 Lauryn Hill}}}}}}]]''' || {{{+1 →}}} || ''[[Mechanical Animals]]'' [[마릴린 맨슨|{{{-2 {{{#8086a0 Marilyn Manson}}}}}}]] || ---- ||<-5> {{{+1 [[빌보드 200]] {{{#b2a529 '''역대 1위 앨범'''}}}}}} || || ''[[Mechanical Animals]]'' [[마릴린 맨슨|{{{-2 {{{#8086a0 Marilyn Manson}}}}}}]] || {{{+1 →}}}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2 (1주)}}}^^ '''[[로린 힐|{{{-2 {{{#8086a0 Lauryn Hill}}}}}}]]''' || {{{+1 →}}} || ''[[Vol. 2... Hard Knock Life]]'' [[JAY-Z|{{{-2 {{{#8086a0 Jay-Z}}}}}}]]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파일:lauryn-hill-grammy.jpg|width=100%]]|| || '''1999년 [[그래미 어워드]]''' || 1999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5개 부문을 싹쓸이하는 성과를 거뒀다. == 트랙 리스트 == === Intro === [Youtube(c5v6s0vUbXY)] === Lost Ones === [Youtube(Yq_3A_8C7Ag)] === [[Ex-Factor]] === [Youtube(r3p3G0tZunE)] === To Zion (featuring [[산타나(밴드)|Carlos Santana]]) === [Youtube(SWz-RU3OtmA)] === [[Doo Wop (That Thing)]] === [Youtube(71rs8r5GXzY)] === Superstar === [Youtube(f_cUk41450w)] === Final Hour === [Youtube(t3PLsgnidpE)] === When It Hurts So Bad === [Youtube(Hmeu3jr5zUs)] === I Used to Love Him (featuring [[메리 제이 블라이즈|Mary J. Blige]]) === [Youtube(doszNz67lmc)] === Forgive Them Father === [Youtube(vpgiIJ_F2Sw)] === Every Ghetto, Every City === [Youtube(73GkHBgQKDM)] === Nothing Even Matters (featuring [[디안젤로|D'Angelo]]) === [Youtube(zASJBw0R0gM)] === Everything Is Everything === [Youtube(g_BMBFR-0nI)]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 === [Youtube(x8QP8S9d4Vk)] == Hidden Track == === [[Can't Take My Eyes off You]] === [Youtube(fgj7UUGSFsM)] === Tell Him === [Youtube(6ceHBq8smJw)] [[분류:로린 힐]][[분류:1998년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네오 소울]][[분류:레게]][[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