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The Star-Spangled Banner)] [include(틀:미국 관련 문서)] [include(틀:국가(노래))] [목차] == 개요 == [[The Star-Spangled Banner]]의 각종 영상 모음. == 버전 == === 합창 버전 === || [youtube(g-7IqWCSKHA)] || || 원곡인 To Anacreon in Heaven의 제창 방식으로 부른 국가. 또한 3절을 온전히 다 부른 몇 안되는 버전이다. 마지막 가사를 두번 반복한것이 특징. || || [youtube(_a39wmWbm-8)] || || 껄끄러운 내용인 3절을 건너뛰고 1, 2, 4절만 부른 버전이다. || || [youtube(M1wLtAXDgqg)] || || 마찬가지로 껄끄러운 내용인 3절이 5절로 대체된 버전이다. || || [youtube(BlfI2AcI4nA)] || || 평양에서 연주된 미국 국가. [[로린 마젤]]이 지휘하는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방북하여 [[북한 국가]]와 함께 연주했고 [[MBC]]가 방송까지 했다. 공연장 안에는 양 옆에 [[성조기]]가 [[인공기]]와 나란히 게양되었다. || === 독창 버전 === || [youtube(aQkY2UFBUb4)] || || [[1968년 월드 시리즈]]에서 [[푸에르토리코]]계 미국 가수인 '''호세 펠리시아노'''[* [[캐롤]]의 대표주자인 [[Feliz Navidad]]를 부른 가수이다.]가 부른 [[포크송|포크]] 버전.[br]국가를 반전(反戰) 음악 장르인 포크 식으로 편곡함으로서 은연중에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고 있다.[br]가수가 국가를 자신만의 방식대로 해석해서 부르는 추세는 이 버전이 원조 격이다. || || [youtube(QRvVzaQ6i8A)] || || 1983년 [[NBA 올스타전]]에서 [[마빈 게이]]가 부른 [[소울 음악|소울]] 버전.[br]게이는 다음 해 갑작스럽게 사망해서 그의 마지막 TV 퍼포먼스 중 하나가 되었다. || || [youtube(N_lCmBvYMRs)] || || 1991년 [[슈퍼볼 XXV]]에서 [[휘트니 휴스턴]]이 부른 버전.[br] 휘트니 휴스턴 최고의 라이브 퍼포먼스이자 역대 최고의 미국 국가 퍼포먼스라는데 이견이 없다.[br]나무위키에 아예 별도의 문서가 만들어져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Star-Spangled Banner(휘트니 휴스턴))] || [youtube(g3gcGJhfYFE, start=175)] || || 1995년 [[스미소니언 재단]]의 기념관에서 전설적인 [[포크송|포크]]가수 [[피트 시거]]가 부른 [[떼창]] 버전.[br]고음을 부르기 쉽게 키를 낮추다 보니 이젠 저음이 너무 낮다.[br]이 노래의 음역이 얼마나 넓은지, 부르기 얼마나 어려운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퍼포먼스. || || [youtube(Stkup89ArUo)] || || 2002년 [[슈퍼볼 XXXVI]]에서 [[머라이어 캐리]]가 부른 버전. 복귀 무대였다. || || [youtube(9ETrr-XHBjE)] || || 2005년 [[슈퍼볼 XXXIX]]에서 각군 사관학교생들이 부른 버전.[br]후렴구에 [[미 공군]]의 [[F-22]] 2대와 [[미 해군]]의 [[F/A-18E/F|F/A-18F]] 2대가 [[플라이오버]]를 선보인다. || || [youtube(-DGHtAv11-w)] || || 2009년 [[슈퍼볼 XLIII]]에서 [[제니퍼 허드슨]]이 부른 버전. 이게 정말 국가인지 구분이 안갈정도. || || [youtube(tXWi26VWi0g)] || || 2011년 [[슈퍼볼 XLV]]에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가 부른 버전. 대표적인 폭망 케이스 1.[br]과장된 기교에다 가사까지 까먹어서 상당히 평이 안좋았다. || || [youtube(GbXSZBnBOQ4)] || || 2016년 [[슈퍼볼 50]]에서 [[레이디 가가]]가 부른 버전.[br]라이브로 불렀음에도 탑스타다운 여유로움을 자랑한다. 후반부에 [[블루 엔젤스]]의 [[F/A-18]] 편대가 [[플라이오버]]를 펼친다. || || [youtube(CMA2iF6RuXk)] || || 2018년 [[NBA 올스타전]]에서 [[퍼기]]가 부른 버전. 대표적인 폭망 케이스 2.[br]카바레 [[재즈]]풍으로 편곡 방향을 잡은 듯 한데, 나라의 국가를 굳이 섹시하게 불렀어야 했는지 의문을 자아냈다.[* 물론 이 버전을 듣은 사람들의 평은 좋지 못했고, 심지어 올스타 전 참가 선수인 [[스테판 커리]]와 [[드레이먼드 그린]]은 웃음을 참지 못하였다.] || || [youtube(M7Fw2cxQspM)] || || 2021년 [[조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식에서 [[레이디 가가]]가 부른 버전.[br]슈퍼볼과는 분위기가 상반되는 자리인 만큼 최대한 기교를 절제하며 점잖게 부른 것을 느낄 수 있다. || || [youtube(wA0fUymAFp0)] || || [[박정현]]이 모교 [[컬럼비아 대학교]] 졸업식에서 졸업생 대표로 부른 것이 컬럼비아 대학 공식 계정으로 올라왔다.[* 참고로 마지막 가사 틀렸다.(o'er the home(X) and the home(O) 아마도 앞에 나오는 o'er the land of the free처럼 o'er로 시작한다고 헷갈린 듯.] || || [youtube(lInNHY-FRKw)] || || 2002 월드컵 당시 한국인 소프라노 정경주가 미 대사관의 제안으로 불러서 화제가 된 미국 국가. || || [youtube(uCyBusfiO2I)] || || 2014년 3월 1일, [[NBA]] [[LA 클리퍼스]]와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의 경기 시작 전에 [[소향]]이 부른 버전. 1절만 부른 버전이며, 마지막 구절의 of the brave를 한번 더 임팩트 있게 부르며 마무리했다. 당시 관중들도 좋은 반응을 보냈고 [[크리스 폴]]이 지금까지 들어본 미국 국가 중 최고였다며 소향과 악수를 청한 것은 유명한 일화 || === 기악 버전 === || [youtube(sjzZh6-h9fM)] || || 1969년에 열린 [[우드스탁 페스티벌]]에서 [[지미 헨드릭스]]가 기타로 연주한 [[록 음악|록]] 버전.[br]'''폭격, 총소리, 울음소리, 군대나팔 등을 연상케하는 소음'''으로[br][[베트남 전쟁]]의 참상을 묘사한 반전 메시지라는 해석이다.[br]지미 헨드릭스는 인터뷰에서 왜 그런 연주를 했냐는 질문에[br]"미국을 위해서였다. 나는 연주가 아름답다고 생각했다."라고 대답했다. || || [youtube(w5x_9KEogM8)] || || 악기 버전. || || [youtube(AVNBzZbijQ0)] || || 또다른 기악 버전이다. || || [youtube(zEqEVl_y29k)] || ||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연주되었던 올림픽 국가 버전. || || [youtube(WRKSs0g35Oo)] || || [[2012 런던 올림픽]]부터 연주되고 있는 올림픽 국가 버전. || || [youtube(JWZS7LduSMo)] || || 2008년 2월 26일,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북한]] [[평양시|평양]] [[동평양대극장]]'''에서 연주한 버전.[* 북한 정권 수립 이후 북한에서 처음 악단에 의해 직접 연주된 미국 국가다. 특히 이 연주는 [[조선중앙텔레비죤]]을 통해서도 북한 내에 생중계되었다. 당시 촬영은 [[MBC]]가 담당했으며, MBC를 통해 대한민국에도 생중계되었다. MBC 중계에서는 [[애국가(북한)|북한 애국가]]도 생략 없이 방송되었다.] || || [youtube(XSWJuvrKdis)] ||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편곡. 원곡을 거의 그대로 옮긴 느낌이면서도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넓은 화음이 보인다. || || [youtube(M28_lCCqRw8)] || || [[레오폴드 고도프스키]]의 피아노 편곡. 고도프스키 답게 매우 화려하게 편곡했으며, 극적인 느낌이 무지 강하다. || || [youtube(xbHnDs8W36E)] ||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관현악 편곡. || === 영화/미디어 버전 === || [youtube(UsoYwysCdfY)] || || 가끔 영화 등에서는 [[미국]]의 애국심과 영웅심에 대한 안티테제의 상징으로서 쓰이기도 한다. [[다크 나이트 라이즈]]에서도 한 아이가 풋볼경기 시작 전에 부르고 노래 뒤에 경기가 시작하자 [[베인(다크 나이트 트릴로지)|베인]]이 심어둔 폭탄들을 폭파시킨다. 또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의 [[슈퍼볼]] 광고에서도 매우 미묘한 장면에서 쓰였는데, [[http://youtu.be/BEaJhAZLXSA|이 영화의 의미에 대해 알게 된다면 굉장히 아이러니한 곡 선정이다.]] || || [youtube(O4CDo9dywUY, start=50)] || || 나치가 세상을 지배하게 된 대체역사를 그린 액션 게임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의 등장인물 'J'가 '내 평생 잠자코 숨어 지냈지만, 나의 마지막만은 시끌벅적하게 하고 싶다'며 주인공을 탈출시키고 자신은 제3제국의 수도인 게르마니아의 라디오들을 해킹한 이후 이 음악을 연주하다 최후를 맞는다. J라는 인물 자체는 바로 위의 지미 헨드릭스의 오마주격 캐릭터. || || [youtube(hI9s4kYh5J8) ] || || 1942년 뉴스영화 버전,프레드 워링과 [[펜실베이니아]]주민 합창단이 불렀다. || || [youtube(T8TaxcrYnuk)] || || 1944년 뉴스영화 버전. [[성조기]]의 별 개수가 48개이다. || || [youtube(MlC2CBSbGrw)] || || 1945년 5월 10일 대독전 승전 직후 버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지휘와 얀 피어스 선창의 조국의 찬가(hymn of the nations)에 수록된 국가다. 원래는 앞에 당시 소련 국가였던 [[인터내셔널가]]도 있었으나 냉전 시기에 [[검열삭제]]되었다. || || [youtube(jFwzM9E5G88)] || || 내 사랑 컬리 수(Curly Sue, 1991)에서 주인공 컬리 수가 불렀다. || === 패러디 버전 === || [youtube(VUT80JVy3v4)] || || [[SNL]] 마야 루돌프의 패러디. || || [youtube(DHLlwiLebkc)] || || '''총으로 연주하기.'''[* 미국이 총기소지가 자유롭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참으로 천조국적인 발상이 아닐 수 없다(...) 특정 음을 내는 쇳조각을 과녁에 매단 뒤 사격해서 음을 냈다. 처음에는 쇳조각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소음기를 단 총으로 시작했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소리가 점점 커지더니 기타 소리에 완전히 묻히고, 나중에는 아예 과녁을 통째로 폭파시켜버린다.][* 나온 총은 순서대로 [[SIG MPX]], [[베넬리 M4]], [[B&T MP9]], [[STI 인터내셔널]] 스타카토, [[FN SCAR]] 17, [[AR-15]], [[바렛 M82]]A1, [[KRISS Vector]], VSKA([[AKM]] 카피), [[SIG MCX]].] || === 커버 버전 === || [youtube(M_PtnvVQhqA)] || || [[단조(음악)|단조]] 버전. || || [youtube(SkfGClpS_oc)] || || 미국 국가의 아카펠라 버전이다. [[Gaither Vocal Band|게이더 보컬 밴드]]가 불렀다. || === 방송국 버전 === || [youtube(Cnchea6LHN0)] || || [youtube(7wMHE7BBbN8 )][* 흔히 유튜브에 알려진 [[http://youtu.be/QMZ_rQKAy7c|이 영상]]은 [[서브리미널]] 음모론을 주제로 메세지를 삽입한 [[아날로그 호러]] 영상이다. 즉 편집이라는 얘기. 재생속도를 늦추고 자막을 자세히 보면 자막이 페이드아웃 되고 다음 가사가 표시되는 과정에서 특정 메세지가 표시되는 걸 볼 수 있다. 'Trust The US Government(미국 정부를 신뢰하라)', 'Rebellion Will Not Be Tolerated(반란은 용납되지 않는다)', 'GOD IS ALWAYS WATCHING(신께서는 항상 보고계신다)'등의 내용이다.] || || 미국 역시 한국처럼 TV 송출 종료시엔 국가를 틀어주었으나 24시간 방송이 시작된 뒤 대부분의 방송사들은 더이상 방영하지 않는다. 다만 최근 아래 사례처럼 국가를 방영하는 방송국이 다시 생겼다. || || [youtube(dvVYksvBQZA)] || || 2019년 10월부터 [[CBS(미국 방송)|CBS]]의 직영국(O&O)과 Gray Television, [[Nexstar]] 소속 가맹국들에서 TV 송출 시작 시에 틀어주는 국가로 Reina Ozbay가 불렀다. 위 영상은 CBS [[뉴욕]]의 직영국인 WCBS-TV. || === 군악대 버전 === || [youtube(LZUfxknQXdU,start=332)] || || 1988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소련]] 방문당시 연주된 장면. || || [youtube(SbFzCz57kQ0,start=757)] || || 1988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영국]] 방문당시 연주된 장면. || || [youtube(cgFo5CP5H5U,start=106)] || || 1994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사우디 방문중에 [[사우디]] [[군악대]]가 연주장면.[[빌 클린턴]]의 표정이 영 좋지 않다. || || [youtube(u2lnCuWNuLY)] || || [[미군]] [[합참의장]] [[마틴 뎀프시]]와 육군 군악대의 버전이다. || || [youtube(OrZQspOakss)] || || 러시아 [[알렉산드로프 앙상블]]이 부른 미국 국가.[br]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냉전 종식]] 시기에 미국 순회 공연에서 부른 버전으로 알려져 있다.[br]댓글에는 [[아이러니]]등 여러가지 드립이 넘쳐난다. || || [youtube(BJzD-2RuKH4, start=4)] ||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했을때 연주된 영상. || || [youtube(NDYZ8ZA63rM, start=416)] || ||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모스크바]]를 방문했을때 연주된 미국 국가. || || [youtube(qOlSp1jSviU, start=98)] ||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했을때 연주된 영상. || || [youtube(z8_2ryNj-oo, start=106)] || || 인도군이 연주한 영상.[[버락 오바마]]와 [[미셸 오바마]]의 표정이 그리 좋지않다. || || [youtube(YbOofaQbQqg)] || || 프랑스 군악대가 연주한 영상.앞부분이 조금 잘려있다. || || [youtube(xOLXGk0Ojlg)] || || 사우디아라비아 군악대의 연주장면. 사람들의 반응은 대체로 이집트에서 한번 연주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트럼프가 오만상을 찌푸리고 있다. 게다가 이것들은 [[푸틴]]앞에서도 이랬다. || || [youtube(j7JJ7kDLzCA)] || || 팔레스타인에서 연주된 연주영상. 더 가관이다. || || [youtube(TQaiRq6jnws, start=22)] || || 일본에서 연주된 장면. || || [youtube(ryjZK2eqtTU)] || || 한국군 군악대의 연주장면. || || [youtube(NiRNZyyN5FU)] || || [[중국군]] [[군악대]]의 연주장면. 2017년 [[베이징]]을 공식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문]]을 환영하면서 연주된다.그 이후에는 [[의용군 진행곡]]이 연주되기도 하였다. || || [youtube(S8l7V-zW2CA)] || || [[인도군]] [[군악대]]의 연주장면. 2020년에 인도 대통령 관저인 라슈트라파티 바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문]]을 환영하면서 연주가 되었는데 음정박자가 가관이다.--자세히 보면 인도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 눈치를 보고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푸틴도 딱 저 자리에 서서 엉터리로 연주된 [[러시아 연방 국가]]를 들었다(...). 뭔가 쌍욕을 내뱉으려고 입을 열다가 가까스로 참고 눈을 감고 명상하는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와 울상이 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압권. || [[분류:국가(노래)]][[분류:미국의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