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X 플래닛 시리즈)]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include(틀:아몬 가람 덱 관련 문서)] [[파일:TheDespairUranus-JP-Manga-GX.jpg]] || 한글판 명칭 ||<-4>'''The despair [[천왕성|URANUS]]'''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The despair URANUS, ruby=ザ・ディスペア・ウラヌス)]'''|| || 영어판 명칭 ||<-4>'''The Despair Uranu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불명 || 불명 || 2900 || 2300 || ||<-5>자신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1장당 공격력은 300P 올린다.|| [[유희왕 GX(코믹스)|유희왕 GX 코믹스판]]에서 [[아몬 가람]]이 소유한 [[플래닛 시리즈]] 카드로 등장. 작중에서는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으며, 마법 / 함정 카드가 3장 있었기에 공격력을 3800까지 올리고 [[마스크드 히어로|마스크드 히어로 더스크 크로우]]를 공격해 쥬다이의 LP를 패배 일보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하지만 마법 카드 더블 어택에 의해 [[마스크드 히어로#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의 합체 공격을 받고 전투로 파괴되었다. 공격명은 '웨일 오브 디스페어(Wail Of Despair)'. 직역하면 절망의 울부짖음. 원본에서는 weil이었으나, 영문판에서 wail로 변경. 하지만 공격 모션이 얼굴이 상하로 열리며 가운데 숨겨진 주포가 드러나며 충격파를 발사하는 형태라 작가가 원래 의도한 뜻도 wail이지만 실수한 것으로 보인다. 모티브는 [[천왕성]].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800_1.jpg]] || 한글판 명칭 ||<-4>'''The despair [[천왕성|URANUS]]'''|| || 일어판 명칭 ||<-4>'''[ruby(The despair URANUS, ruby=ザ・ディスペア・ウラヌス)]'''|| || 영어판 명칭 ||<-4>'''The Despair Uranu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암석족]] || 2900 || 2300 || ||<-5>①: 자신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존재하지 않고,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카드의 종류(지속 마법 / 지속 함정)를 선언한다. 자신은 덱에서 선언한 종류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에 세트한다.[br]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수 × 300 올린다.[br]③: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마법 & 함정 존 앞면 표시의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OCG화되면서 덱에서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1장을 세트하는 효과가 추가되었는데, 정작 종류는 상대가 지정하므로 지속 마함 양쪽을 모두 활용하는 덱이 아니면 쓰기 힘들다. 게다가 [[염성(유희왕)|염성]]과 같이 [[염무-「천기」|전개 과정에 마법 & 함정 존을 먹기 시작하는 덱]]은 이 카드의 효과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쓰기가 힘들다. 그나마 어드밴스 소환 + 지속 마법 / 함정 양쪽을 모두 만족하면서도 현실적인 덱 파워를 가진 덱이라면 [[제왕(유희왕)|제왕]] 정도. 다만 능력치도 안 맞고 자체 성능도 무지막지해서 제왕은 이 카드를 안 쓰는 게 더 나은 실정이라, 사실상 전용 덱을 구축하지 않으면 쓰기 힘든 카드. 영원의 혼에 목매다는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덱]]에선 흑의 마도진, 영원의 혼을 서치할 수 있다. 또한 ③의 효과가 이들을 지켜줄 수 있어서 영원의 혼의 페널티를 어느 정도 막아줄 수 있다. 범용 지속 마법은 마땅히 쓸만한 게 없지만, 범용 지속 함정은 [[배너티 스페이스]]와 같이 강력한 것들이 있는 것에 착안해 지속 마법 위주의 덱에 넣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범용 지속 마법은 딱히 메타성을 지니는 게 없지만, 범용 지속 함정은 상대 턴에 상대 움직임을 제약할 수 있기에 보통 마법을 고를 것이라는 것도 문제점. 이것을 역으로 착안해 지속 함정은 지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덱에 지속 마법만 넣는 것도 방법일지도. [[디멘션 가디언]]으로 이 카드를 지정하면 서로 파괴되는 걸 막아주므로 맘대로 지속 마법 / 함정을 전개할 수 있다. 단 주의할 점은 필드 마법은 보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툰 킹덤을 지켜주지 못하고, 빛의 봉인검이 발동한 3턴 후, 파괴되는 것도 못 막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s-3.4|コレクターズパック-閃光の決闘者編-]] || CPF1-JP00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s-3.4|컬렉터즈 팩 -섬광의 듀얼리스트 편-]] || CPF1-KR00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플래닛 시리즈,version=254)] [[분류:유희왕/OCG/암석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