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디오헤드)] ||<#569fce><-2> '''{{{+1 {{{#0b6440 The}}}{{{#cd171e re,}}} {{{#11428e The}}}{{{#df5911 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2aH-sluR5s, width=100%, height=200)]}}} || || {{{#1d3129 '''싱글 발매일'''}}} ||[[2003년]] [[5월 26일]] || || {{{#f3efef '''앨범 발매일''' }}} ||[[2003년]] [[6월 9일]] || || {{{#d9e4ef '''녹음일''' }}} ||[[2002년]] [[9월]] – [[2003년]] [[2월]] || || {{{#16562f '''장르''' }}} ||[[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 || {{{#cd2219 '''러닝 타임''' }}} ||5:23 || || {{{#25292d '''작사/작곡''' }}} ||[[라디오헤드]] || || {{{#d16918 '''프로듀서''' }}} ||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 || {{{#1d3129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69fce; font-size: .9em" [[Hail to the Thief|'''{{{#0b6440 Hail}}} {{{#cd171e to}}} {{{#11428e the}}} {{{#df5911 Thief}}}''']]}}} || || '''{{{#f3efef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re there.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569fce>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AQSLozK7aA,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qaTvSJV9J4, height=200)]}}} || || '''{{{#0b6440 뮤직 비디오}}}''' || '''{{{#cd171e 어쿠스틱 버전 라이브}}}''' || ||<#95b0c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617Tj_hyPA,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LHosvVsrGM, height=200)]}}} || || '''{{{#11428e 2003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 || '''{{{#df5911 2012년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라이브}}}''' || 2003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6집 [[Hail to the Thief]]의 아홉 번째 트랙이자 첫 번째 싱글. 부제는 'The Boney King of Nowhere'이다.[* 톰이 어린 아들과 함께 본 애니메이션 시리즈 'Bagpuss'의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인물] == 상세 == [[Hail to the Thief]] 앨범 내에서 가장 평가가 좋으며 라디오헤드 명곡 순위에서 항상 상위권을 차지하는 곡이다. 영국 싱글 차트 4위, 캐나다와 포르투갈에서 1위, [[빌보드 모던 록 차트]]에서 14위를 기록했다. [[캔(밴드)|캔]], [[수지 앤 더 밴시스]], [[픽시즈]]의 영향을 받은 곡으로 클라이맥스까지 타악기가 빌드업을 하는 곡이다. 조니 그린우드와 에드 오브라이언이 연주한 [[톰톰]] 드럼과 리버브가 심한 기타로 특징지어진다.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공들여 만든 곡으로 유명한데 톰은 이 노래의 멜로디가 4개월 동안 머리에서 떠나질 않았다고 한다. 나이젤 고드리치와 함께 [[Kid A]]의 세션 동안에 초기 버전을 녹음했고 200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버전을 녹음했지만, 그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톰은 이 노래를 완성시키지 못할까봐 두려웠지만 영국에서 재녹음한 끝에 만들어진 최종 버전을 나이젤 고드리치가 들려주자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 가사 == ||<-2><#569fce> ---- {{{+2 '''{{{#0b6440 The}}}{{{#cd171e re,}}} {{{#11428e The}}}{{{#df5911 re}}}'''}}} ---- In pitch dark 깊은 어둠 속에서 I go walking in your landscape 난 네 풍경 속을 거닐어 Broken branches 부러진 나뭇가지들이 Trip me as I speak 날 넘어뜨리네, 내가 말하는 동안 Just 'cause you feel it 네가 느낀다고 해서 Doesn't mean it's there 거기 있는 건 아니야 Just 'cause you feel it 네가 느낀다고 해서 Doesn't mean it's there 거기 있는 건 아니야 There's always a siren 언제나 [[세이렌|{{{#11428e 세이렌}}}]]이 있어 Singing you to shipwreck 널 바다에 빠지도록 노래로 유혹하는 (Don't reach out, don't reach out) (손을 뻗지 마, 손을 뻗지 마) (Don't reach out, don't reach out) (손을 뻗지 마, 손을 뻗지 마) Steer away from these rocks 그 바위들에서 멀리 떨어져 We'd be a walking disaster 잘못하면 걸어다니는 재앙이 될 테니까 (Don't reach out, don't reach out) (손을 뻗지 마, 손을 뻗지 마) (Don't reach out, don't reach out) (손을 뻗지 마, 손을 뻗지 마) Just 'cause you feel it 네가 느낀다고 해서 Doesn't mean it's there 거기 있는 건 아니야 (Someone on your shoulder) (네 어깨에 있는 누군가) (Someone on your shoulder) (네 어깨에 있는 누군가) Just 'cause you feel it 네가 느낀다고 해서 Doesn't mean it's there 거기 있는 건 아니야 (Someone on your shoulder) (네 어깨에 있는 누군가) (Someone on your shoulder) (네 어깨에 있는 누군가) There, there 그래, 거기에 Why so green and lonely? 왜 그렇게 부러워하고 외로워하니? And lonely, and lonely 외로워하니, 외로워하니 Heaven sent you to me 하늘이 널 나에게 보냈어 To me, to me 나에게, 나에게 We are accidents waiting 우린 기다리고 있는 우연들이야 Waiting to happen 일어나길 기다리고 있는 We are accidents waiting 우린 기다리고 있는 우연들이야 Waiting to happen 일어나길 기다리고 있는 ---- [[라디오헤드|[[파일:B2A1CB5E-EF1A-4F3A-84D0-A5C10028FB12.png|width=9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ail to the Thief, version=156)] [[분류:라디오헤드 노래]][[분류:2003년 노래]][[분류:2003년 싱글]][[분류:아트 록]][[분류:얼터너티브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