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음반]][[분류:1983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영국의 팝 음반]][[분류:팝 록]] [include(틀:엘튼 존)] ||<-5><#fff,#191919> '''[[엘튼 존/음반 목록|{{{#373a3c,#fff '''엘튼 존/음반 목록'''}}}]]''' || || {{{-2 1983년 5월}}}[br]{{{-2 컴필레이션 [[The Superior Sound of Elton John (1970-1975)|{{{#373a3c,#fff '''The Superior Sound of Elton John (1970-1975)'''}}}]]}}} || → || {{{-2 1983년 5월 30일}}}[br]{{{-2 17집}}} '''Too Low for Zero''' || → || {{{-2 1984년 6월 18일}}}[br]{{{-2 18집}}} [[Breaking Hearts|{{{#373a3c,#fff '''Breaking Hearts'''}}}]] || ||<-5><#fff,#191919> '''판매량 인증'''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1)] ---- }}} || ||<-2><#fff>[[파일:2l40.jpg|width=100%]]|| ||'''발매일'''||[[1983년]] [[5월 30일]]|| ||'''녹음 기간'''||[[1982년]] [[9월]]|| ||'''녹음실'''||[[카리브 해]] [[몬트세랫]] 에어 스튜디오|| ||'''장르'''||[[록 음악|록]], [[팝 록]]|| ||'''재생시간'''||44:06|| ||'''프로듀서'''||크리스 토머스|| ||'''발매사'''||Rocket (UK), Geffen (US)|| [목차][clearfix] == 개요 == [[엘튼 존]]의 17번째 정규 앨범이며,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 이후로 엘튼 존과 [[버니 토핀]] 기존의 협업 방식으로 완전히 돌아온 앨범이다. == 녹음 == 1981년에 순회공연을 하지 않았던 엘튼 존은 1982년부터 순회공연을 다시 시작했고, [[엘튼 존 밴드]]와 함께 3월 6일 뉴질랜드 오클랜드부터 12월 24일 영국 해머스미스까지 [[Jump Up!]] 순회공연을 9개월 동안 세계적으로 진행했다.[* [[http://www.eltonography.com/tours/1982.html|엘튼 존의 1982년 공연들]]] 5월 30일 프랑스 릴 공연과 6월 12일 미국 콜로라도주 모리슨 공연 사이에 2주 정도 순회공연 일정이 없었던 엘튼 존은 버니 토핀과 당시 배우자였던 토니 루소의 남부 캘리포니아 집에 방문했고, 예전처럼 함께 앨범을 작업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24 페이지] 버니 토핀은 당시에 자신들이 이런 방식으로 작업하는 걸 원했다고 깨달았던 시기였던 거 같다고 1983년 6월 [[빌보드]] 인터뷰에서 밝혔고, 엘튼 존은 녹음 작업에 앞서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 또는 1974년 정규 8집 [[Caribou]]를 작업했을 때처럼 몇 주 동안 자신들을 가두고 앨범을 작업할 생각이라고 1982년 6월 22일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인터뷰에서 밝혔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24 페이지]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엘튼 존과 함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던 영국의 작사가 게리 오스본에 의하면, 1980년대 초반에 발매한 음반들의 실적이 대체로 좋지 않다 보니 엘튼 존의 미국 발매사였던 [[게펜 레코드|게펀 레코드]]는 과거 일행을 다시 부르라고 했다고 한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83 페이지] 엘튼 존은 버니 토핀과 작사/작곡 협업을 시작한 1967년부터 10년 가까이 멈춤 없이 전진했던 협업으로 인해 서로에게 자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잠시 갈라섰고,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부터 게리 오스본과 함께 협업을 이루었다. 버니 토핀과는 1979년부터 다시 협업을 시작했지만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부터 1982년 정규 16집 《Jump Up!》까지는 게리 오스본을 포함하여 영국의 펑크 록 가수 톰 로빈슨과 영국의 팝 록 가수 주디 추크, 그리고 작사가 [[팀 라이스]]까지 여러 사람들과 함께 곡들을 작업했다. 그래서 《Too Low for Zero》를 작업했을 때는 외부 작사가를 섭외하지 않고 버니 토핀과 함께 모든 곡들을 작업하기로 결정했고 기존의 협업 방식으로 완전히 돌아왔다. 이후 게리 오스본은 1986년 정규 20집 [[Leather Jackets]]에 참여했고, 이 앨범을 끝으로 엘튼 존과 협업하지 않았다.[* 12집, 14~16집, 20집 라이너 노트] 1982년 《Jump Up!》 순회공연부터 베이시스트였던 디 머리와 드러머 나이절 올슨을 포함하여, 1978년 이후로 4년 만에 재합류한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까지 엘튼 존 밴드의 초기 멤버들로 재구성했고, 새 앨범 《Too Low for Zero》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엘튼 존은 버니 토핀과 밴드 멤버들, 1981년 정규 15집 [[The Fox(음반)|The Fox]]부터 참여한 프로듀서 크리스 토머스와 함께 카리브 해 몬트세랫에서 운영되었던 레코딩 스튜디오이자 [[조지 마틴]]이 창립한 에어 스튜디오로 떠났다. 엘튼 존은 에어 스튜디오에서 1982년 정규 16집 《Jump Up!》을 작업한 적 있었다. 이후 1984년 정규 18집 [[Breaking Hearts]]도 에어 스튜디오에서 작업했다.[* 16~18집 라이너 노트]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과 공동 작곡한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를 제외한 모든 수록곡들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썼다. 앨범은 1982년 9월 몬트세랫의 에어 스튜디오에서 2주에 걸쳐 녹음했고, 크리스 토머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선셋 사운드 레코더스에서 믹싱 작업을 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35 페이지] 녹음에는 백업 밴드를 포함하여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1980년대 초반에는 같이 공연하지는 않았다)와 1975년부터 1981년까지 밴드에 키보디스트로 소속했던 작곡가이자 지휘자 [[제임스 뉴튼 하워드]]는 편곡자로 참여했고, 1970년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과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에 참여한 하피스트이자 엘튼 존의 [[왕립음악원]] 동문이기도 한 스카일라 캉가가 참여했다. 그 밖에도 [[스티비 원더]]와 [[로켓 엔터테인먼트#s-2.1|로켓 레코드 컴퍼니]] 소속 가수였던 키키 디도 참여했다.[* Too Low for Zero 라이너 노트] == 발매 == 뉴 웨이브와 신스팝 음악의 요소를 흡수하면서도 1970년대 전성기에 선보였던 팝/록 음악을 융합했으며, 백업 밴드의 연주와 신시사이저가 바탕을 이루고 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발매한 앨범들은 평단으로부터 대체로 냉담한 평가를 받았지만, 《Too Low for Zero》는 많은 호평을 받았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36 페이지] 1970년대 이후로 발매한 앨범들 가운데 최고 작품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 편이다.[* [[https://www.allmusic.com/album/too-low-for-zero-mw0000190396|올뮤직의 Too Low for Zero 리뷰]]] 엘튼 존은 훌륭한 앨범이라고 평가했고 버니 토핀은 좋아하는 앨범이라고 밝혔다.[* [[http://albumlinernotes.com/EJ_BT_Interview_1990.html|EJ BT Interview 1990]][br][[https://rokritr.com/2019/08/29/bernie-taupin-eltons-write-hand-man/|Bernie Taupin: Elton's “Write” Hand Man]]] 《Too Low for Zero》는 피아노 대신 신시사이저로 작곡한 곡들을 수록한 첫 번째 앨범이기도 하다. 《Too Low for Zero》 이후로 1984년 정규 18집 《Breaking Hearts》를 포함하여 1990년대 초반까지 여러 음반들에는 신시사이저로 작곡한 곡들을 수록했다. 엘튼 존은 기타로 곡을 연주하고 작곡하는 작곡가와 달리, 피아노로 곡을 작곡하는 작곡가는 기타 코드 몇 개로 작곡할 때 한층 활기차고 직접적으로 와닿는 곡도 괜히 정교하게 꾸미고 화음을 많이 사용하려 한다며 아쉬움을 자주 토로한 바 있었다. 하지만 신시사이저를 사용했을 때 부분적으로 기타 같으면서도 코드 몇 개 가지고 곡들을 쉽게 작곡했다고 1984년 인터뷰에서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bHIS-Sa1eVE|폴 감바치니의 엘튼 존 인터뷰 (1984년 1월)]][br]Elton John: The Biography, 168 페이지] 영국 7위, 미국 [[빌보드 200]] 25위, 캐나다 17위, 호주 2위, 뉴질랜드 2위, 스위스 6위, 독일 5위, 프랑스 11위, 노르웨이 6위 등 기록했고 1970년대 중반 이후로 가장 뚜렷한 성공을 거둔 앨범이 되었다. ARIA(호주 음반 산업 협회) 기준으로 호주에서 35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5장 인증을 받으며 특히 호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영국에서는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 이후로 5년 만에 10위권 진입에 성공한 첫 앨범이 되었고, BPI 기준으로 3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7664-2982-2|BPI]]] 미국 빌보드 200에서는 25위에 오르는 데 그쳤지만 54주간 차트에 머물면서 1989년 정규 23집 [[Sleeping with the Past]]와 더불어 가장 오랫동안 빌보드 200에 진입한 1980년대 정규 앨범이 되었고, [[RIAA]] 기준으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Elton+John&ti=Too+Low+for+Zero&format=Album&type=#search_section|RIAA]], [[https://www.billboard.com/artist/elton-john/|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대부분의 싱글들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83년 4월 영국에서 리드 싱글로 발매한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와 미국에서 리드 싱글로 발매한 "I'm Still Standing"은 세계적으로 싱글 차트 10위권 진입에 성공했고, 후속 싱글 "Kiss the Bride"와 더블 싱글로 발매한 "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Crystal"도 싱글 차트 40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https://www.officialcharts.com/artist/21478/elton-john/|엘튼 존의 UK 차트 역사]]] 다만 1984년 2월 발매한 마지막 싱글 "Too Low for Zero"는 40위권 진입에 실패했다. 1998년 머큐리 레코드에서 발매된 리마스터반에는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과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가 작업되었을 때 녹음된 곡들이자 《Too Low for Zero》의 대부분 싱글 B면에 수록된 3곡 "Earn While You Learn", "Dreamboat", "The Retreat"가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discogs.com/release/4559377-Elton-John-Too-Low-For-Zero|Too Low for Zero (CD, 1998)]]] == 싱글 == ||<:>'''A면'''||<:>'''B면'''||<:>'''발매일'''||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Choc Ice Goes Mental ^^(UK)^^[br]The Retreat ^^(US)^^||1983년 4월 ^^(UK)^^[br]1983년 10월 ^^(US)^^|| ||I'm Still Standing||Love So Cold ^^(US)^^[br]Earn While You Learn ^^(UK)^^||1983년 4월 ^^(US)^^[br]1983년 7월 3일 ^^(UK)^^|| ||Kiss the Bride||Choc Ice Goes Mental ^^(US)^^[br]Dreamboat ^^(UK)^^||1983년 7월 ^^(US)^^[br]1983년 10월 ^^(UK)^^|| ||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 / Crystal|| — ||1983년 11월|| ||Too Low for Zero||Lonely Boy ^^(AUS, NZ)^^[br]Religion ^^(DE)^^[br]Dreamboat ^^(NLD)^^||1984년 2월|| == 참여자 == * 보컬, 작곡, 백 보컬, 피아노, 신시사이저,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클라비넷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공동 작곡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 데이비 존스턴 * 베이스, 백 보컬 - 디 머리 * 드럼, 탬버린,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 백 보컬 - 키키 디 * 퍼커션 (Cold as Christmas) - 레이 쿠퍼 * 하프 (Cold as Christmas) - 스카일라 캉가 * 하모니카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 스티비 원더 * 현악 편곡 (One More Arrow) - 제임스 뉴튼 하워드 * 프로듀싱 - 크리스 토머스 == 트랙 리스트 == === Side 1 === ==== 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 - 4:19 ==== 진중한 분위기의 발라드 곡이다. 가사는 부부가 악화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카리브 해로 떠났으나 그마저 실패하고 메말라가는 사랑을 묘사했다. [[제임스 뉴튼 하워드]]가 편곡한 현악을 넣을 예정이었으나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고 한다. 당시 버니 토핀이 가장 좋아한 곡들 중 하나이기도 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72 페이지] 다른 수록곡 "Crystal"와 같이 1983년 11월에 더블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 33위, 아일랜드 16위, 호주 12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도 싱글로 발매하려고 했지만 무산되었다고 한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72 페이지] 1983년 방송 공연들과 1986년 [[Tour De Force]] 순회공연에서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old+as+Christmas+%28In+the+Middle+of+the+Year%29|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 라이브 목록]][br][[https://www.youtube.com/watch?v=0aCSdMxEnIo|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 (1983년 12월 25일 투 로니스 크리스마스 특집)]][br][[https://www.youtube.com/watch?v=uodo1_iUAiw|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 I'm Still Standing - 3:02 ==== 신시사이저와 밴드의 강렬한 연주, 내림나장조(B flat Major)에서 내림나단조(B flat minor)로 번갈아가는 코드 진행을 담은 팝 록 곡이며,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대표적인 히트곡들 중 하나이다. 가사는 연인의 악화된 관계를 묘사했고 버림받은 연인이 실연의 상처를 극복한다는 내용이다. 많은 팬들은 오랫동안 침체를 겪었다가 부활한 엘튼 존의 심리를 노래하는 곡이자 찬가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버니 토핀은 "I'm Still Standing"을 옛 여자친구에게 날리는 작별 인사 식으로 썼지만 사람들이 역경에 맞서는 엘튼 존의 강한 생존본능을 바탕으로 한 찬가로 생각하다 보니 오히려 그게 자신이 처음에 쓴 내용보다 훨씬 흥미롭다고 밝혔다.[* Elton John: Fifty Years On: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al Geniu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 91 페이지] 엘튼 존은 미국 발매사였던 [[게펜 레코드|게펀 레코드]]와 갈등을 겪고 있었는데 이 곡은 다분히 반항적이었다고 밝혔다.[* Elton John: The Biography, 282 페이지] 2013년 [[롤링 스톤]] 인터뷰에서는 일종의 찬가라고 설명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lists/elton-john-my-life-in-20-songs-10473/i-guess-thats-why-they-call-it-the-blues-225537/|Elton John: My Life in 20 Songs]]] 미국에서는 게펀 레코드를 통해 1983년 4월 리드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에서는 로켓 레코드를 통해 그해 7월 싱글로 발매했다. 미국 싱글 B면에는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칼립소 풍의 경쾌한 팝 곡 [[21 at 33#s-8.5|Love So Cold]]를 수록했고, 영국 싱글 B면에는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경쾌한 록 연주곡 "Earn While You Learn"을 수록했다.[* [[http://www.45cat.com/record/729639|I'm Still Standing 미국 싱글]], [[http://www.45cat.com/record/ejs1|I'm Still Standing 영국 싱글]]] 영국 12인치 싱글에는 도입부를 확장한 3분 40초 정도의 리믹스 곡을 대신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hh0xWKPrf0|I'm Still Standing (Extended)]][br][[https://www.discogs.com/ko/release/1370471-Elton-John-Im-Still-Standing-Extended-Version|I'm Still Standing 영국 12인치 싱글]]] 미국 [[빌보드 핫 100]] 12위, 영국 4위, 캐나다 1위, 스위스 1위, 네덜란드 8위, 벨기에 11위, 아일랜드 2위, 독일 10위, 네덜란드 16위, 호주 3위, 남아프리카 9위 등 기록했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10위권에 진입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RIAA]] 기준으로 미국에서 5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골드 인증을 받았다. BPI 기준으로 영국에서 실물 싱글로 25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실버 인증을 받았고, 디지털 싱글로는 6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3247-2982-1|BPI (실물 싱글)]], [[https://www.bpi.co.uk/award/3247-733-1|BPI (디지털 싱글)]],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Elton+John&ti=I%27m+Still+Standing&format=Single&type=#search_section|RIAA]]] 뮤직비디오는 1983년 6월 프랑스 니스와 칸에서 촬영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HwVBirqD2s|I'm Still Standing 뮤직비디오]]] 1981년 정규 15집 [[The Fox(음반)|The Fox]]의 장편 뮤직비디오 〈Visions〉에 참여한 호주의 영화 감독 러셀 멀케이가 뮤직비디오 제작을 맡았다. 러셀 멀케이는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뮤직비디오를 포함하여 1984년 [[Breaking Hearts#s-6.2.5|Sad Songs (Say So Much)]] 뮤직비디오, 1985년 [[Ice on Fire#s-6.2.1|Wrap Her Up]] 뮤직비디오, 1988년 [[Reg Strikes Back#s-7.1.2|A Word in Spanish]] 뮤직비디오, 1989년 [[Sleeping with the Past#s-7.1.2|Healing Hands]] 뮤직비디오 등 엘튼 존의 대부분 1980년대 뮤직비디오들 제작을 맡았다. 뮤직비디오에서 엘튼 존은 복고적인 양복 의상에 화려한 선글라스들을 번갈아 쓰고, 수많은 댄서들과 춤추는 화려한 연출을 담았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im-still-standing-4k|'I'm Still Standing' music video unveiled in digitally restored 4K]]]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의 2016년 장편 애니메이션 [[씽(영화)|씽]]에서 [[조니(씽)|조니]](성우 [[태런 에저턴]])가 이 곡을 피아노로 연주하면서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ETC85CgzTHM|씽 - I'm Still Standing (2016)]]] 씽에서 조니 역을 맡은 태런 에저턴은 2019년 개봉한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에서 엘튼 존 역을 맡으며 이 곡을 다시 불렀고, 1983년 뮤직비디오에 합성하는 방식으로 촬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ZI5cAV0BOo|로켓맨 - I'm Still Standing (2019)]]] 1984년부터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 솔로 공연들에서는 피아노 즉흥 연주를 추가했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I'm+Still+Standing|I'm Still Standing 라이브 목록]][br][[https://www.youtube.com/watch?v=y1gibwtV9tE|I'm Still Standing: 피아노 솔로 (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br][[https://www.youtube.com/watch?v=v4UwqirVdLU|I'm Still Standing: 피아노 솔로 (2003년 6월 20일 독일 본)]][br][[https://www.youtube.com/watch?v=JebMrL1FuUk|I'm Still Standing: 피아노 솔로 (2007년 11월 21일 일본 도쿄)]]] ==== Too Low for Zero - 5:46 ==== 타이틀 트랙은 드럼과 신시사이저, 그리고 피아노가 중심을 이루는 신스팝 곡이다. 가사는 온갖 일에 지친 남성에 대해 묘사한 걸로 해석되었다.[* Elton John: Fifty Years On: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al Geniu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 91 페이지] 1984년 2월 오세아니아와 유럽에서 싱글로 발매했지만 호주에서만 52위에 오르는 데 그쳤다. 호주와 뉴질랜드 싱글 B면에는 1984년 정규 14집 [[21 at 33]]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록 곡 [[21 at 33#s-8.12|Lonely Boy]]를 수록했고, 네덜란드 싱글 B면에는 1978년 곡 "Dreamboat"를 수록했고, 독일 싱글 B면에는 "Religion"을 수록했다.[* [[http://www.eltonography.com/singles/too_low_for_zero.html|Too Low for Zero 싱글]]] 1984년과 1989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공연에서는 드럼을 연주하지 않았고 원곡처럼 드럼 트랙을 반주로 사용했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Too+Low+for+Zero|Too Low for Zero 라이브 목록]][br][[https://www.youtube.com/watch?v=Ka9ffauNAn8|Too Low for Zero (1984년 3월 24일 호주 시드니)]][br][[https://www.youtube.com/watch?v=xO8oKF75vTs|Too Low for Zero (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br][[https://www.youtube.com/watch?v=bVZ6qK36kmw|Too Low for Zero (1989년 4월 4일 독일 베를린)]]] ==== Religion - 4:05 ==== 경쾌한 팝 록 곡이다. 가사는 경건함을 공언하는 사람들의 위선적인 행위와 각종 모순을 다루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26 페이지] ====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 4:41 ==== R&B 풍의 선율을 담은 발라드 곡이며, 가장 인기 있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발라드 곡들 중 하나이다. 간주의 하모니카 솔로는 [[스티비 원더]]가 연주했다. 가사는 서로에게 헌신하는 연인에 대해 묘사했다. 버니 토핀의 당시 두 번째 배우자였던 토니 루소(배우 [[르네 루소]]의 여동생이자 모델)를 위해 쓴 가사이기도 하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0 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 두 사람이서 작업한 수록곡들 중에서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이 공동 작곡으로 참여한 유일한 곡이며, 엘튼 존이 데이비 존스턴에게 공동 작곡을 요청하면서 함께 작곡했다. 데이비 존스턴은 에어 스튜디오에서 엘튼 존이 자신한테 이건 기타 노래인 거 같다면서 가사를 보여주었고, 무척 아름다운 가사라고 생각했다고 2018년 9월 [[롤링 스톤]] 인터뷰에서 밝혔다. 엘튼 존과 데이비 존스턴은 20분 정도 곡을 작곡했고 다음 날 밴드와 함께 녹음했다.[*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news/elton-john-guitarist-davey-johnstone-on-their-history-and-final-tour-720041/|Guitarist Davey Johnstone Looks Back on His Five-Decade Odyssey With Elton John]]] 밴드와 함께 녹음을 하고 있었을 때 간주 부분이 꽤 길어서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까 고민하던 중, 프로듀서 크리스 토머스가 스티비 원더를 데리고 오자는 제안을 했다. 스티비 원더는 하모니카 간주를 첫 테이크 만에 녹음했다.[* Elton John: The Nation's Favourite Song] 1983년 6월 프랑스 칸과 니스에서 촬영된 "I'm Still Standing"의 뮤직비디오와 마찬가지로 호주의 영화감독 러셀 멀케이가 뮤직비디오 제작을 맡았으며, 영국 런던의 리볼리 볼룸에서 촬영되었다. 이 뮤직비디오에서 엘튼 존은 1983년부터 1984년까지의 의상([[보터 햇]] + 정장)을 입으면서도 1950년대 풍 의상에 리젠트 가발을 착용했고, 볼룸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노래 부르는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6KYAVn8on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뮤직비디오]]] 영국에서는 로켓 레코드를 통해 1983년 4월 리드 싱글로 발매했고 미국에서는 게펀 레코드를 통해 그해 10월 싱글로 발매했다. 영국 싱글 B면에는 몬트세랫에서 앨범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부기우기 연주곡 "Choc Ice Goes Mental"을 수록했고, 미국 싱글 B면에는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발라드 곡 "The Retreat"를 수록했다.[* [[http://www.45cat.com/record/xpres91|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영국 싱글]][br][[http://www.45cat.com/record/729460|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미국 싱글]]] 영국 5위, 미국 [[빌보드 핫 100]] 4위, 캐나다 9위, 아일랜드 5위, 짐바브웨 1위, 남아프리카 4위, 호주 4위 등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76년 곡 [[Don't Go Breaking My Heart]] 이후로 7년 만에 영국과 미국에서 10위권 진입에 성공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곡이 되었다.[* [[https://www.officialcharts.com/artist/21478/elton-john/|엘튼 존의 UK 차트 역사]], [[https://www.billboard.com/artist/elton-john/chart-history/hsi/|엘튼 존의 빌보드 핫 100 차트 역사]]] BPI 기준으로 영국에서 25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실버 인증을 받았고, RIAA 기준으로 미국에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면서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bpi.co.uk/award/15623-733-1|BPI]],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ar=Elton+John&ti=I+Guess+That%27s+Why&format=Single&type=#search_section|RIAA]]] 1984년부터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I+Guess+That's+Why+They+Call+It+the+Blu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라이브 목록]]] 1984년 순회공연에서는 1982년 곡 [[Jump Up!#s-6.2.1|Blue Eyes]]와 연결한 "Blue Ey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접속곡으로 불렀고, 1985년과 1986년 순회공연에서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리언 러셀]]의 1970년 곡 "A Song for You"를 추가하여 3곡을 차례대로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h1q9DBdAvAw|Blue Ey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br][[https://www.youtube.com/watch?v=90eIZz3HkhQ|A Song for You/Blue Ey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1986년 순회공연 이후로 접속곡으로 부르지 않았다. 다만 2000년 10월 18일 펜실베이니아주 윌크스배리 공연에서는 "Blue Ey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접속곡으로 딱 한차례 부른 적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2LFA7rud09M|Blue Ey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2000년 10월 18일 펜실베이니아)]]] 1990년대 후반부터 수년간 진행한 솔로 공연들에서는 현란한 피아노 연주를 덧붙여서 연주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X8Q-UcKZ0g|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 2000년 10월 21일 미국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Elton John One Night Only - The Greatest Hits|One Night Only]] 공연에 [[메리 제이 블라이즈]]가 참여하여 이 곡을 함께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l0QQAul3NKA|엘튼 존/메리 제이 블라이즈 -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2000년 10월 21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메리 제이 블라이즈의 2006년 컴필레이션 앨범 《Mary J. Blige & Friends》에는 스튜디오에서 함께 부르며 재녹음한 곡이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SeXQu9-Z7k|엘튼 존/메리 제이 블라이즈 -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2006)]]]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작사/작곡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2018년 헌정 앨범 [[Revamp: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알레시아 카라]]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cOLhcz-tEQ|알레시아 카라 -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2018)]]] === Side 2 === ==== Crystal - 5:05 ==== 역동적인 신시사이저 연주를 바탕으로 한 팝 록 곡이며, 다음 곡 "Kiss the Bride"로 이어진다. 다른 수록곡 "Cold as Christmas (In the Middle of the Year)"와 같이 1983년 11월에 더블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 33위, 아일랜드 16위, 호주 12위를 기록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3274569-Elton-John-Cold-As-Christmas-In-The-Middle-Of-The-Year-Crystal|Cold as Christmas / Crystal 더블 싱글]]] 1984년 오세아니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rystal|Crystal 라이브 목록]]] ==== Kiss the Bride - 4:22 ==== 경쾌한 록 곡이며, 이전 수록곡 "Crystal"이 끝나고 바로 이어진다. 미국에서는 게펀 레코드를 통해 1983년 7월 싱글로 발매했고 영국에서는 로켓 레코드를 통해 10월 싱글로 발매했다. 미국 싱글 B면에는 에어 스튜디오에서 《Too Low for Zero》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부기우기 연주곡 "Choc Ice Goes Mental"을 수록했고, 영국 싱글 B면에는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소울 곡 "Dreamboat"를 수록했다.[* [[http://www.45cat.com/record/725968|Kiss the Bride 미국 싱글]], [[http://www.45cat.com/record/ejs2|Kiss the Bride 영국 싱글]]] 영국 20위, 미국 빌보드 핫 100 25위, 캐나다 37위, 아일랜드 17위, 뉴질랜드 32위, 호주 25위 등 기록했다. 뮤직비디오는 영국의 록 밴드 10cc의 전 멤버들이자 록 듀오 '고들리 앤 크림'이 제작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kmwVDLMZNk|Kiss the Bride 뮤직비디오]]] 호주의 댄스 뮤직 그룹 파나우가 제작하고 [[두아 리파]]가 참여한 2021년 히트곡 [[The Lockdown Sessions#s-6.1|Cold Heart]]에 사용된 4곡 중 하나이다. 나머지 3곡은 1972년 곡 [[Rocket Man]], 1976년 곡 [[Blue Moves#s-7.4.1|Where's the Shoorah?]], 1989년 곡 [[Sleeping with the Past#s-7.2.2|Sacrifice]]가 있다. "Kiss the Bride"는 후렴 선율만 가져왔고 두아 리파가 새로 녹음한 보컬을 덧붙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CAip3qvq2Dw|Cold Heart 제작 과정]]] 1984년부터 1989년까지 공연들에서 불렀다. "I want to kiss the bride, Yeah!"에 맞춰 밴드와 함께 점프했고 관객들도 따라 했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Kiss+the+Bride|Kiss the Bride 라이브 목록]][br][[https://www.youtube.com/watch?v=ZB_Ux5Y-DKI|Kiss the Bride (1984년 6월 30일 웸블리 스타디움)]][br][[https://www.youtube.com/watch?v=C-EadTzS0CM|Kiss the Bride (1989년 4월 26일 이탈리아 베로나)]]] ==== Whipping Boy - 3:43 ==== 경쾌한 록 곡이다. 1988년 정규 21집 [[Reg Strikes Back]]의 두 번째 싱글 [[Reg Strikes Back#s-7.1.1|Town of Plenty]] B면에 수록되었다.[* [[http://www.45cat.com/record/ejs17|Town of Plenty 영국 싱글]]] ==== Saint - 5:17 ==== 신시사이저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후렴에서 밴드 연주가 가세하면서 힘찬 분위기를 이끄는 팝 록 곡이다. 두 번째 싱글 "I'm Still Standing"에 이어 후속 싱글로 발매할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고 한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90 페이지] 이후 1988년 정규 21집 [[Reg Strikes Back]]의 두 번째 싱글 "Town of Plenty"의 CD 싱글에 다른 수록곡들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Whipping Boy"와 같이 수록되었다. 해당 CD에서는 곡 제목이 "My Baby's a Saint"로 표기되었다.[* [[https://www.discogs.com/Elton-John-Town-Of-Plenty/release/1211571|Town of Plenty CD 싱글]]] ==== One More Arrow - 3:34 ==== 진중한 분위기의 발라드 곡이다. 엘튼 존의 가성 보컬과 피아노 연주, 제임스 뉴튼 하워드가 편곡한 현악으로 잔잔히 이어지다가 후반부에서 백업 밴드의 연주와 하모니 보컬이 가세한다. 가사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Elton John: Fifty Years On: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al Geniu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 94 페이지] 버니 토핀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용사이기도 한 아버지 로버트 토핀에게 바치는 2013년 곡 [[Oceans Away]]를 설명했을 때 "One More Arrow"처럼 자신이 썼던 많은 곡들에서 찾을 수 있는 주제들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MGQhqTL9PQ|Bernie Taupin - On the 'Oceans Away' Lyrics]]] 1984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엘튼 존은 가장 좋아하는 버니 토핀의 가사들 중 하나라고 밝혔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One+More+Arrow|One More Arrow 라이브 목록]][br][[https://www.youtube.com/watch?v=Qo6lFBIDApo|One More Arrow (1984년 8월 31일 미국 워싱턴주 타코마)]]] === 보너스 트랙 === ==== Earn While You Learn - 6:46 ==== 엘튼 존 작곡. 1978년 정규 [[A Single Ma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곡이며, 7분에 달하는 록 연주곡이다. 엘튼 존이 피아노와 해먼드 오르간, 멜로트론을 연주했고 1980년 백업 밴드에 소속했던 영국의 기타리스트 팀 렌윅이 기타를 연주했다. 엘튼 존과 40년 정도 일했던 전직 음향 기술자이자 전직 프로듀서 클라이브 프랭크스가 베이스를 연주했고,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가 탬버린과 트라이앵글을 연주했고, [[윙스]]의 드러머였던 스티브 홀리가 드럼을 연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jKY--bWEWI|Earn While You Learn]]] 1983년 7월 발매한 "I'm Still Standing" 영국 싱글 B면에 수록했다. 일부 7인치와 12인치 싱글에는 작곡 크레딧에 '초코 아이스 경(Lord Choc Ice)'이라는 필명을 표기했다. 1998년 머큐리 레코드에서 발매된 《Too Low for Zero》 리마스터반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s://www.discogs.com/ko/artist/344806-Lord-Choc-Ice|Lord Choc Ice - 디스콕스]][br][[http://discogs.com/release/4559377-Elton-John-Too-Low-For-Zero|Too Low for Zero (CD, 1998)]]] ==== Dreamboat - 7:34 ==== 엘튼 존/팀 렌윅 공동 작곡, 게리 오스본 작사. 1978년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곡이며, 7분이 넘는 소울 곡이다. 엘튼 존이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와 해먼드 오르간을 연주했고, 공동 작곡으로 참여한 기타리스트 팀 렌윅이 기타를 연주했고, 클라이브 프랭크스가 베이스를 연주했고, 드러머 스티브 홀리가 드럼을 연주했고,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가 탬버린을 연주했고, 1970년대 초기 앨범들에 참여한 편곡자 폴 벅마스터가 관현악 편곡을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vkpYneUHcR8|Dreamboat]]] 1983년 10월 발매한 "Kiss the Bride" 영국 7인치 싱글 B면에는 3분으로 편집한 곡을 수록했고 원곡은 12인치 싱글 B면에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2LB0zphiYs|Dreamboat (Edit)]][br][[http://www.eltonography.com/singles/kiss_the_bride.html|Kiss the Bride 싱글]]] 1998년 머큐리 레코드에서 발매된 《Too Low for Zero》 리마스터반에는 원곡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discogs.com/release/4559377-Elton-John-Too-Low-For-Zero|Too Low for Zero (CD, 1998)]]] 곡을 완성하지 않았을 때 녹음한 데모도 존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SHKnCu9CAB0|Dreamboat 데모 (1978)]]] ==== The Retreat - 4:46 ==== 버니 토핀 작사, 엘튼 존 작곡.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곡이며, 피아노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해먼드 B3 오르간과 신시사이저 등 각종 악기들이 어우러져 진중한 분위기를 이끌어가는 발라드 곡이다. 후반부에서는 신시사이저와 함께 거센 연주로 이어지다가 마지막에 피아노 아르페지오로 조용히 끝난다. 엘튼 존은 이 곡에서 피아노를 연주했고, [[스티브 루카서]]가 기타를 연주했고, [[데이비드 페이치]]가 해먼드 B3 오르간을 연주했고, 베이시스트 레지 맥브라이드가 베이스를 연주했고, 드러머 앨빈 테일러가 드럼을 연주했고, 제임스 뉴튼 하워드가 신시사이저를 연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4ECMvmpZJk|The Retreat]]] 가사는 [[남북전쟁]]에 대해 묘사했다. 1981년 정규 15집 [[The Fox(음반)|The Fox]]에 수록할 예정이었으나 게펀 레코드의 회장 데이비드 게펀이 반대하면서 수록하지 못한 곡들 중 하나였다고 한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8 페이지] 이후 1982년 정규 16집 [[Jump Up!]]의 세 번째 싱글 [[Jump Up!#s-6.2.3|Princess]] B면에 수록했고, 《Too Low for Zero》의 두 번째 미국 싱글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B면에 수록했다. 《Too Low for Zero》의 1998년 리마스터반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버니 토핀이 가장 애착한 B면 곡들 중 하나이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jewel-box-b-sides|Elton: Jewel Box - The B-Sides]]] == 세션 기간 녹음된 다른 곡들 == === Choc Ice Goes Mental - 2:03 === 리버브를 가득 넣고 요란한 분위기를 이끄는 [[부기우기]] 연주곡이다. 《Too Low for Zero》 작업 시기인 1982년 9월 몬트세랫의 에어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1983년 4월 발매한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영국 싱글 B면과 동년 7월 발매한 "Kiss the Bride" 미국 싱글 B면에 수록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2903375-Elton-John-I-Guess-Thats-Why-They-Call-It-The-Blues|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영국 싱글]][br][[https://www.discogs.com/ko/release/2388692-Elton-John-Kiss-The-Bride|Kiss the Bride 미국 싱글]]]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에 의하면 프로듀서 크리스 토머스가 요란한 리버브를 피아노에 잔뜩 입혔고, 엘튼 존이 피아노로 부기우기를 연주하면서 소리가 스튜디오 전체에 울려 퍼지자 스튜디오에 있던 동료들이 전부 대폭소했다고 한다. 곡 제목 "Choc Ice Goes Mental"은 엘튼 존의 필명 '초코 아이스 경(Lord Choc Ice)'에서 가져왔으며, "I'm Still Standing" 싱글 B면에 수록한 "Earn While You Learn"의 작곡 크레딧에도 이 필명을 표기했다.[* [[https://www.discogs.com/ko/artist/344806-Lord-Choc-Ice|Lord Choc Ice - 디스콕스]][br][[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 A Simple Man - 3:42 === 잔잔한 컨트리 곡이다. 1977년부터 1982년, 1986년까지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던 영국의 작사가 게리 오스본이 작사를 맡았고 엘튼 존이 작곡했다. 1982년 정규 16집 [[Jump Up!]] 발매 이후로 게리 오스본과의 협업을 중단하기 전인 1980년대 초반 경 작곡한 곡을 《Too Low for Zero》를 작업했을 때 녹음했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게리 오스본은 [[크리스토퍼 리브]] 주연의 1978년 영화 [[슈퍼맨(영화)|슈퍼맨]]과 1980년 [[슈퍼맨 2]]가 런던에서 촬영되었을 때 두 영화에 '논' 역으로 출연한 미국의 권투선수/배우 잭 오할로런과 친구가 되었다. 당시 잭 오할로런이 [[존 포드]] 감독의 1935년 영화 [[밀고자]] 리메이크 작업을 하고 있을 때 (이 작업은 무산되었다) 각본을 게리 오스본에게 보여주자, 주역 등장인물을 반영한 가사를 쓸 수 있겠다고 하면서 쓴 곡이 "A Simple Man"이다. 엘튼 존은 게리 오스본의 가사를 받으며 곡으로 작곡했다. '곡 먼저, 가사 나중에 붙이는' 작업으로 게리 오스본과 함께 쓴 곡들 가운데 버니 토핀 협업 방식처럼 작업한 몇 안 되는 엘튼 존/게리 오스본 곡이다.[*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1984년 정규 18집 [[Breaking Hearts]]의 리드 싱글 [[Breaking Hearts#s-6.2.5|Sad Songs (Say So Much)]] B면에 수록했다.[* [[https://www.discogs.com/ko/master/87203-Elton-John-Sad-Songs-Say-So-Much|Sad Songs (Say So Much) 싱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The Retreat, version=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