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704_rb_05.jpg]] [[분류: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의 수록곡]] [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MAX MAXIMIZER]]. [[리플렉 비트 VOLZZA]]의 [[Rebellio]] 이후로 간만에 MAX MAXIMIZER 명의를 사용하였다. 곡의 분위기는 [[Miseria]]와 비슷한 데스메탈풍 분위기에 그로울링이 덧붙여져 있는 곡이다 곡명의 뜻은 [[고문]]. 타 MAX MAXIMIZER 곡과 비슷하게 곡명의 뜻이 어둡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206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8}}} || {{{#orange 11}}} || {{{#red 15}}} || {{{#Magenta 15}}} || || SKILL RATE || {{{#green 35}}} || {{{#orange 53}}} || {{{#red 88}}} || {{{#Magenta 88}}} || || 오브젝트 || {{{#green 322}}} || {{{#orange 482}}} || {{{#red 884}}} || {{{#Magenta 987}}} || || MAX COMBO || {{{#green 452}}} || {{{#orange 615}}} || {{{#red 1081}}} || {{{#Magenta 1277}}} || || JUST REFLEC || {{{#green 12}}} || {{{#orange 13}}} || {{{#red 25}}} || {{{#Magenta 28}}} || || 수록버전 ||||||||<#fff995>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리플렉 비트 {{{#02baff 유}}}{{{#0f80ff 구}}}{{{#8624ff 의}}} {{{#ff21d8 리}}}{{{#a41cda 플}}}{{{#8624ff 레}}}{{{#0f80ff 시}}}{{{#02baff 아}}}]] || [youtube(jwPTdCq2nY0)] WH 채보 영상 도입부는 2줄 스위치롱 롱잡으로 무난하게 시작하나 이후 치는 타이밍이 모두 다르고 떼는 타이밍이 같은 스위치롱 4개가 나오다가 이어 3TOP 체인이 섞인 [[DEADLOCK(BEMANI 시리즈)|끝이 갈라진 트릴]], 상하트릴, 한 쪽이 체인이 풀린 트릴, 롱노트 잡고 체인 풀린 16비트, 스위치롱이 끼어들어간 동시치기와 버티컬 계단으로 유저들의 체력을 빼놓는다. 이후 쉬는 구간이 주어지다가 위 영상 기준 1:26부터 체인 풀린 16비트와 16비트로 나오는 끝이 갈라진 트릴, 버티컬 계단 등이 난잡하게 얽혀 들어오는 발광 구간이 승부처. 이런 난해한 채보로 인해 등장 초기에는 이 곡이 [[Catastrophic Dance]] 화이트 하드나 [[Rebellio]] 등 기존 최종보스곡을 뛰어넘는다는 의견도 간혹 있었으나, 거품이 빠진 현재로서는 뛰어넘지는 않고 대등하다는 의견이 대세. [youtube(TShH5lUnrSA)] HARD 채보 영상 하드는 화이트 하드에서 스위치 롱으로 나오던게 일반 롱노트나 일반 오브젝트로 옮겨졌다는 것만 빼면 화이트 하드와 거의 동일한 채보와 난이도이다. 그리고 하드, 화이트 하드 공통으로 최후에 나오는 매우 느린 일반 오브젝트 1개가 풀콤 방지 및 낚시용으로 나오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