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유럽의 열차, rd1=Trans-Europe Express)] [include(틀:Kraftwerk 3D Catalogue)] || '''Trans Europa Express의 등재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1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256,연도2=2020,순위2=238)]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81)]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6)]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7)]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94, 연도=1998, 순위2=1004,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47)]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훌륭한 아티스트 입문을 위한 음반)] ---- }}} || ||<-2> '''{{{+1 Trans Europa Express}}}[br]국제 버전 타이틀: Trans-Europe Expres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5099996602058_1500x1500_300dpi.jpg|width=100%]][br]{{{-1 2009년 리마스터 표지로, 리마스터 전의 표지도 들어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리마스터 이전 표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1.kraftwerk_transeuropeexpress_151013.jpg|width=100%]][br]{{{-1 국제 버전 표지로, 가장 많이 사용된 표지다.}}}}}} ||}}}}}}}}} || || '''발매''' ||1977년 3월 21일|| || '''녹음''' ||1976년|| || '''녹음실''' ||[[서독]] [[뒤셀도르프]], 클링 클랑 스튜디오|| || '''장르''' ||[[일렉트로닉]], 프로그레시브 일렉트로닉 || || '''길이''' ||42:45|| || '''곡 수''' ||11곡|| || '''프로듀서'''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레이블''' ||클링 클랑|| [목차] [clearfix] == 개요 == 1977년 발매된 [[크라프트베르크]]의 앨범으로, 지금은 폐선된 [[Trans-Europe Express|유럽 횡단특급(TEE)]][* 1957년부터 1995년까지 존속했다. 리마스터 앨범에 그려진 마크가 바로 실제 TEE 철도망의 마크였다. 한때 유럽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열차 등급이기도 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인터시티 등 새로운 고속철도망들이 하나 둘 생겨나면서 경쟁력 면에서 밀렸으며, 1995년 5월 28일 파리-브뤼셀 운행을 끝으로 폐선했다.]을 주제로 삼고 열차로 하나되는 유럽을 노래하였다. 본격적인 다국어 녹음 앨범으로, 이전까지 앨범들이 제목만 다른 점에 그쳤지만 이번 앨범부터 다국어 녹음을 시작하였다.[* 사실 [[Radio-Aktivität]]는 영어-독일어 혼합 앨범이긴 하다.] 해외 철도사정에 관심있는 철덕후라면 환장을 할 앨범으로, 열차 출발을 알리는 소리, 열차 덜컹거리는 소리, 열차 지나가는 소리, 열차 감속 소리, 열차 통과음의 [[도플러 효과]] 등 열차 소리란 소리를 다 음악적으로 재현한 곡이다. == 트랙 리스트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재생 시간'''}}} || || '''1''' || '''Europa Endlos[br](Europe Endless)'''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랄프 휘터 || 9:40 || || '''2''' || '''Spiegelsaal[br](The Hall of Mirrors)'''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에밀 슐트 || 랄프 휘터 || 7:56 || || '''3''' || '''Schaufensterpuppen[br](Showroom Dummie)''' || 랄프 휘터 || 랄프 휘터 || 6:15 || || '''4''' || '''Trans-Europa Express[br](Trans Europe Express)''' || 랄프 휘터, 에밀 슐트 || 랄프 휘터 || 6:52 || || '''5''' || '''Metall auf Metall[br](Metal on Metal)''' || - || 랄프 휘터 || 2:11 || || '''6''' || '''Abzug''' || - || 랄프 휘터 || 4:53 || || '''7''' || '''Franz Schubert''' || - || 랄프 휘터 || 4:26 || || '''8''' || '''Endlos Endlos[br](Endless Endless)''' || - || 랄프 휘터, 플로리안 슈나이더 || 0:55 || === Europa Endlos (Europe Endless) === [youtube(Ms6kC-3yq0k)] '''"끝없는 유럽"''' {{{#!folding 【영어 가사 펼치기·접기】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Life is timeless''' 인생은 영원해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Life is timeless''' 인생은 영원해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Parks, hotels, and palaces''' 공원, 호텔, 그리고 궁전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Parks, hotels, and palaces''' 공원, 호텔, 그리고 궁전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Promenades and avenues''' 산책로와 거리들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Real life and postcard views''' 현실의 삶과 우편엽서의 그림들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ndless endless, endless endles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legance and decadence''' 우아함과 퇴폐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Elegance and decadence''' 우아함과 퇴폐 '''(Europe endless)''' (끝없는 유럽)||}}} {{{#!folding 【독일어 가사 펼치기·접기】 ||[youtube(P5ZYy7gNTMQ)]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ndlos endlos, endlos endlo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ndlos endlos, endlos endlo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Das Leben ist Zeitlos''' 인생은 영원해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Das Leben ist Zeitlos''' 인생은 영원해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ndlos endlos, endlos endlo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ndlos endlos, endlos endlos)''' (끝없이 끝없는, 끝없이 끝없는) '''Parks, Paläste und Hotels''' 공원, 궁전, 그리고 호텔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Parks, Paläste und Hotels''' 공원, 궁전, 그리고 호텔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Flüsse, Berge, Wälder''' 강, 산과 숲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Wirklichkeit und Postkarten-Bilder''' 현실과 우편엽서의 그림들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leganz und Dekadenz''' 우아함과 퇴폐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Eleganz und Dekadenz''' 우아함과 퇴폐 '''(Europa endlos)''' (끝없는 유럽)||}}}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YOH69TDmV7I)]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곡의 가사, 오선지와 음표와 조명으로 잔잔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앨범 공개 전인 1976년 9월 11일 [[https://youtu.be/olOhlzW_ios|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파라디소 공연]]에서 선공개되었다. === Spiegelsaal (The Hall of Mirrors) === [youtube(_TPAySIthMo)] '''"거울의 방"''' {{{#!folding 【영어 가사 펼치기·접기】 ||'''A young man stepped into the hall of mirrors''' 청년이 거울의 방 안으로 들어가서 '''Where he discovered a reflection of himself'''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Discover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을 발견한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Discover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을 발견한다네 '''Sometimes he saw his real face''' 때론 자신의 진실된 얼굴을 보았고 '''And sometimes a stranger at his place''' 때론 자신의 얼굴에서 낯선 이를 보기도 했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nd their fac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찾는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nd their fac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찾는다네 '''He fell in love with the image of himself''' 그는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게 됐네 '''And suddenly the picture was distorted''' 그러자마자 그 모습이 일그러졌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Dislike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을 싫어한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Dislike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을 싫어한다네 '''He made up the person he wanted to be''' 그는 자신이 원하던 사람을 만들었고 '''And changed into a new personality''' 새로운 사람으로 바뀌었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Change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바꾼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Change themsel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바꾼다네 '''The artist is living in the mirror''' 예술가는 거울 속에서 산다네 '''With the echoes of himself''' 그의 메아리와 함께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ive their li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ive their li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x their face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고친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x their face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고친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ive their li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Even the greatest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ive their lives in the looking glas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folding 【독일어 가사 펼치기·접기】 ||[youtube(90S7qD3ZnqQ)] '''Der junge Mann betrat eines Tages den Spiegelsaal''' 청년이 거울의 방 안으로 들어가서 '''Und entdeckte eine Spiegelung seines Selbst'''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Entdecken sich selbs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을 발견한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Entdecken sich selbs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을 발견한다네 '''Manchmal sah er sein wirkliches Gesicht''' 때론 자신의 진실된 얼굴을 보았고 '''Und manchmal einen Fremden, den kannte er nicht''' 때론 자신의 얼굴에서 낯선 이를 보기도 했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nden ihr Gesi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찾는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Finden ihr Gesi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얼굴을 찾는다네 '''Manchmal verliebte er sich in sein Spiegelbild''' 그는 가끔식 거울 속의 자신에 빠지기도 했네 '''Und dann wiederum, sah er ein Zerrbild''' 그러곤 일그러진 모습을 보았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Mögen sich ni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을 싫어한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Mögen sich ni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을 싫어한다네 '''Er schuf die Person, die er sein wollte''' 그는 자신이 원하던 사람을 만들었고 '''Und wechselte in eine neune Persönlichkeit''' 새로운 사람으로 바뀌었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Verändern sich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바꾼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Verändern sich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바꾼다네 '''Der Künstler lebt im Spiegel''' 예술가는 거울 속에서 산다네 '''Mit dem Echo seines Selbst''' 그의 메아리와 함께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eben ihr Leben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eben ihr Leben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Machen sich zure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고친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Machen sich zurecht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기 자신을 고친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eben ihr Leben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Sogar die größten Stars''' 훌륭한 스타라 할 지라도 '''Leben ihr Leben im Spiegelglas''' 거울을 보며 자신의 삶을 산다네||}}}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4d2Qj_EVKn8)]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오선지와 음표를 입체적으로 회전시켜 곡의 몽환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낸다.||}}} 몽환적인 느낌의 곡, 주제는 이상과 현실 간의 괴리감. [[3-D The Catalogue]]에 수록된 버전은 1977년 당시에 불렀던 랄프 휘터의 보컬에 2017년의 랄프 휘터의 보컬을 합쳐 만들었다. [[수지 앤 더 밴시스]]의 1987년 앨범 [[Through The Looking Glass(수지 앤 더 밴시스)|Through The Looking Glass]]에서 커버되었다. === Schaufensterpuppen (Showroom Dummie) === [youtube(q47EltFPHUU)] '''"쇼윈도 마네킹"''' {{{#!folding 【영어 가사 펼치기·접기】 ||'''Eins, zwei, drei, vier'''^^독일어^^ 아인스, 쯔바이, 드라이, 퓌어 (하나, 둘, 셋, 넷) '''We are standing here''' 우린 여기 서있지 '''Exposing ourselves''' 스스로를 전시하며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re being watched''' 우린 주목되고 있어 '''And we feel our pulse''' 그리곤 우리의 맥박을 느껴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look around''' 우린 주위를 돌아보고 '''And change our pose''' 포즈를 바꾸지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start to move''' 우린 움직이기 시작하고 '''And we break the glass''' 유리를 깨지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step out''' 우린 걸어나와서 '''And take a walk through the city''' 도시를 돌아다니지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go into a club''' 우린 클럽에 들어가서 '''And there we start to dance''' 춤을 추기 시작해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We are showroom dummies''' 우린 쇼윈도 마네킹||}}} {{{#!folding 【독일어 가사 펼치기·접기】 ||[youtube(vUIK9syWWlo)] '''Eins, zwei, drei, vier''' 하나, 둘, 셋, 넷 '''Wir steh'n herum''' 우린 여기 서있지 '''Und stellen uns auss''' 스스로를 전시하며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werden beobachtet''' 우린 주목되고 있어 '''Und wir spüren unsern Puls''' 그리곤 우리의 맥박을 느껴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blicken uns um''' 우린 주위를 돌아보고 '''Und wechseln die Pose''' 포즈를 바꾸지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bewegen uns''' 우린 움직이기 시작하고 '''Und wir brechen das Glas''' 유리를 깨지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treten heraus''' 우린 걸어나와서 '''Und streifen durch die Stadt''' 도시를 돌아다니지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gehen in den Club''' 우린 클럽에 들어가서 '''Und wir fangen an zu Tanzen''' 춤을 추기 시작해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Wir sind Schaufensterpuppen''' 우린 쇼윈도 마네킹||}}} {{{#!folding 【프랑스어 가사 펼치기·접기】 ||[youtube(fdjyv8p8xkk)] '''"Les Mannequins"''' '''Eins, zwei, drei, vier'''^^독일어^^ 하나, 둘, 셋, 넷 '''Nous sommes immobiles''' 우린 여기 서있지 '''dans la vitrine''' 쇼윈도에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On nous observe''' 우린 주목되고 있어 '''Nous sentons vibrer notre pouls''' 우리의 맥박을 느껴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regardons alentour''' 우린 주위를 돌아보고 '''Et nous changeons de pose''' 포즈를 바꾸지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commençons à marcher''' 우린 걷기 시작하고 '''Et nous brisons la glace''' 유리를 깨지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faisons quelques pas''' 우린 조금 더 걸어가 '''À l'intérieur de la ville''' 도시 안쪽까지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rentrons dans un club''' 우린 클럽에 들어가서 '''Et commençons à danser''' 춤을 추기 시작해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Nous sommes les mannequins''' 우리는 마네킹||}}}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Qwjk8yM4ctE)] 1982년에 공개된 뮤직 비디오. 여기 나오는 멤버 4인방의 댄스는 참으로 병맛 난다. [youtube(m029JdLbb3o)]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1982년에 제작된 뮤직 비디오를 토대로 제작되었다. 클럽으로 걸어가는 장면은 있지만 댄스는 ~~아쉽게도~~ 잘렸다.||}}} 자아를 가진 마네킹들이 쇼윈도에서 유리를 깨고 탈출해 도시의 클럽으로 가서 춤을 춘다는 내용의 곡. 1976년 Radioactivity 투어에서 이 곡의 초기 버전인 "The Vampire of Dusseldorf" 라는 곡을 연주했는데, 이후 수정되어 이 앨범에 수록되었다. 1977년 9월 14일에 싱글로 발매되었고, 1982년엔 뮤직비디오가 제작되었다. "Les Mannequins"라는 프랑스어 버전도 녹음되었는데, "Les Mannequins"는 프랑스어로 된 크라프트베르크의 첫 번째 노래였으며 이후 앨범에도 프랑스어로 노래를 녹음하기 시작했다. === Trans-Europa Express (Trans Europe Express)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연도=2021, 순위=304)] [youtube(i_85fUIRlmU)] '''"유럽 횡단특급"''' {{{#!folding 【영어 가사 펼치기·접기】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Rendezvous on Champs-Elysees''' [[샹젤리제]]에서의 [[랑데부]] '''Leave Paris in the morning with T.E.E.''' 아침에 T.E.E.를 타고 파리를 떠나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In Vienna, we sit in a late-night cafe''' 빈에서의 늦은 밤, 카페에 앉아있다가 '''Straight connection, T.E.E.''' T.E.E.로 직행해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From [[Station to Station|station to station]], back to Dusseldorf City''' 역에서 역으로, [[뒤셀도르프]]시로 돌아온 뒤 '''Meet Iggy Pop and David Bowie''' [[이기 팝]]과 [[데이비드 보위]]를 만나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e Express''' 유럽 횡단특급||}}} {{{#!folding 【독일어 가사 펼치기·접기】 ||[youtube(rFCN676Z7uo)]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Rendezvous auf den Champs-Elysees''' [[샹젤리제]]에서의 [[랑데부]] '''Verlassen Paris am Morgen im T.E.E.''' 아침에 T.E.E.를 타고 파리를 떠나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In Wien sitzen wir im Nacht-Café''' [[빈(오스트리아)|빈]]에서의 늦은 밤, 카페에 앉아있다가 '''Direkt-Verbindung, T.E.E.''' T.E.E.로 직행해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Wir laufen ein in Düsseldorf City''' [[뒤셀도르프]]시로 돌아와 '''Und treffen Iggy Pop und David Bowie''' [[이기 팝]]과 [[데이비드 보위]]를 만나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Trans-Europa Express''' 유럽 횡단특급||}}}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xzBVsqCwrYs)] 2004년 5월 부다페스트 공연으로, [[Minimum-Maximum]]에서 공개된 영상. Trans Europa Express / Metal on Metal / Abzug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실제 [[Trans-Europe Express|유럽 횡단특급]]의 운행 영상이 나오며, 곡 마지막엔 클링 클랑 스튜디오의 로고가 등장한다. [youtube(6YZRwTjupbI)] 2009년 스테판 파페 가입 후 3D공연시 틀어주는 Trans-Europa Express / Metall auf Metall / Abzug의 라이브 3D 영상. 3D 모델로 만든 [[독일철도 VT11.5형]] 열차가 등장한다. 이 버전에서도 마지막에 클링 클랑 스튜디오의 로고가 등장한다. 실제 공연장에서는 3D 시각 효과와 [[도플러 효과]]가 어우러져 실제로 기차가 옆으로 지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타이틀곡으로, 앨범 공개 전인 1976년 9월 11일 [[https://youtu.be/olOhlzW_ios|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파라디소 공연]]에서 선공개되었다. 가사 후반부에 뒤셀도르프에 가서 [[이기 팝]]이랑 [[데이비드 보위]]를 만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당시의 데이빗 보위는 독일에 머물면서 베를린 3부작을 발매하던 시절이었다. 실제로 크라프트베르크와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만들어진 베를린 3부작은 크라우트 록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이 가사는 [[The Mix]]와 [[3-D The Catalogue]]에선 잘렸지만, 2019년 라이브부터 다시 부르기 시작했다.] 1977년 4월에 싱글로 발매되었고, [[The Mix]] 앨범에도 리믹스되어 수록되었으며, [[Minimum-Maximum]] 앨범에서는 2004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스포타레나 공연과 라트비아 리가 올림피스카 홀 공연을 녹음한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3-D The Catalogue]]에선 "Metall auf Metall", "Abzug"와 믹스되었다. 이 곡의 중반 시그니쳐 멜로디는 후일 아프리카 밤바타의 Planet Rock(1982)에 샘플링으로도 쓰여서 또 하나의 전설을 만들어낸다. 또한 [[닥터드레]]의 [[https://youtu.be/c80dWbiONqM|Been There Done That]]에도 샘플링 되었다.(4분 14초) === Metall auf Metall (Metal on Metal) === [youtube(fyLh7vFMqL0)] '''"철 위의 철"''' 4번트랙 "Trans-Europa Express"에서 이어지는 트랙. 위의 언급한 전철 소리가 주 멜로디를 이루는 구간이 시작 부분. [[The Mix]] 앨범에도 리믹스되어 수록되었으며, [[Minimum-Maximum]] 앨범에서는 2004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스포타레나 공연에서 녹음되었다. === Abzug === [youtube(5bl9cYEbFgU)] '''"하차"''' 영문반은 "Metal on Metal"에 "Abzug"가 합쳐진 버전이었으나 2009년 리마스터로 분리되었다. 독일어반은 이미 발매때부터 나뉘어져 있었다. [[The Mix]] 앨범에도 리믹스되어 수록되었으며, [[Minimum-Maximum]] 앨범에서는 2004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스포타레나 공연과 라트비아 리가 올림피스카 홀 공연에서 녹음되었다. === Franz Schubert === [youtube(twlZ9t4Gg1E)] '''"[[프란츠 슈베르트]]"''' {{{#!folding 【라이브 영상 펼치기·접기】 ||[youtube(tLFsCKUZNdg)] 2015년 3D 더 카탈로그 투어에서 공개한 3D 영상.||}}} 리마스터판과 최근 라이브에는 1번 트랙 "Europe endless"와 이어붙여서 연주해준다. === Endlos Endlos (Endless Endless) === [youtube(jwwWMkUpfsk)] '''"끝없이 끝없는"''' [[3-D The Catalogue]]에서는 수록되지 않았다. == 크레딧 == * [[크라프트베르크]] * 랄프 휘터 - 음성, 신디사이저, 오케스트론, 신타노르마 시퀀서, 일렉트로닉, 프로듀서 * 플로리안 슈나이더 - 음성, 보코더, 보트랙스, 신디사이저, 일렉트로닉, 프로듀서 * 카를 바르토스 - 일렉트로닉 퍼커션 * 볼프강 플뤼어 - 일렉트로닉 퍼커션 * 디자인 * 모리스 시모어 - 사진 * J. 스타라 - 사진 * 귄터 프뢰링 - 사진 (2009년 리마스터) * 잉크 스튜디오 - 인쇄 디자인 * 요한 잠브리스키 - 아트워크 재구성 (2009년 리마스터) * 추가 인원 * 피터 볼릭 - 엔지니어 * 빌 할버슨 - 엔지니어 (더 레코드 플랜트, 할리우드) * 토마스 커컥 - 엔지니어 (뤼셀 스튜디오, 함부르크) == 기타 == 이 앨범의 커버는 유명해서 여러 군데로 [[오마주]]된 작품이기도 한데, 사진을 잘 보면 이 앨범의 왼쪽에서 오른쪽까지의 멤버는 랄프 휘터를 제외하고 탈퇴한 멤버의 순서와 동일하다.[* 사실 함께 팀을 이룬 엔지니어 등을 제외하고 전면에 나선 사람은 4명이었기 때문에 수학적으로 별 의미는 없다.] [[분류:1977년 음반]][[분류:독일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