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엘튼 존 음반]][[분류:1970년 음반]][[분류:1971년 음반]][[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영국의 팝 음반]][[분류:컨트리 록]][[분류:루츠 록]] [include(틀:엘튼 존)] ||<-5><#fff,#191919> '''[[엘튼 존/음반 목록|{{{#373a3c,#fff '''엘튼 존/음반 목록'''}}}]]''' || || {{{-2 1970년 4월 10일}}}[br]{{{-2 2집}}} [[Elton John(음반)|{{{#373a3c,#fff '''Elton John'''}}}]] || → || {{{-2 1970년 10월 30일}}}[br]{{{-2 3집}}} {{{#373a3c,#fff '''Tumbleweed Connection'''}}} || → || {{{-2 1971년 3월 5일}}}[br]{{{-2 사운드트랙}}} [[Friends(엘튼 존)|{{{#373a3c,#fff '''Friends'''}}}]] || ||<-5><#fff,#191919> '''판매량 인증 및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03,순위=463,연도2=2012,순위2=458)]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455, 연도=1998, 순위2=393, 연도2=2000)]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444)] ---- }}} || ||<-2><#fff>[[파일:R-13940010-1564512125-1629.jpg|width=100%]]|| ||'''발매일'''||[[1970년]] [[10월 30일]] {{{-3 (UK)}}}[br][[1971년]] [[1월 4일]] {{{-3 (US)}}}|| ||'''녹음 기간'''||[[1970년]] [[3월 20일]] ~ [[8월 6일]]|| ||'''녹음실'''||[[영국]] [[런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장르'''||[[컨트리 록]], [[루츠 록]]|| ||'''재생시간'''||46:56|| ||'''프로듀서'''||거스 더전|| ||'''발매사'''||DJM (UK), Uni (US)|| [목차][clearfix] == 개요 == [[엘튼 존]]의 3번째 정규 앨범이다. [[컨트리 뮤직]]과 [[서부개척시대]]를 주제로 삼은 [[콘셉트 앨범]]이며, 컨트리 록과 루츠 록 계열의 음악을 시도했다. == 녹음 == 1969년 정규 1집 [[Empty Sky]] 발매 이후,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소속했던 영국의 음반사 DJM 레코드에서 일했던 송 플러거이자 《Empty Sky》에서 프로듀싱을 맡은 스티브 브라운(이후 1995년까지 엘튼 존의 관리팀에서 코디네이터로 일했다)은 엘튼 존과 작업할 전문적인 편곡자와 프로듀서를 고용하려고 여러 인물들을 알아보았다. 최종적으로 편곡자 폴 벅마스터와 프로듀서 거스 더전을 고용했고, DJM 레코드에서 엘튼 존과 함께 협업을 이루었던 세션 뮤지션들도 대거 참여하면서 1970년 1월에 정규 2집 [[Elton John(음반)|Elton John]]을 작업한 다음 동년 4월 10일에 발매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95~98 페이지[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117 페이지] 얼마 지나지 않아 후속 앨범 《Tumbleweed Connection》 녹음을 시작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엘튼 존의 어머니 실라 페어브라더와 의붓아버지 프레드 페어브라더가 1962년부터 1971년까지 거주했던 런던 노스우드 힐스 프롬 코트의 8가구 아파트에서 지내며 수많은 곡들을 작업했고, 1969년 9월부터 12월까지 40곡 이상 작곡한 것으로 전해졌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 페이지] 엘튼 존은 약 3장의 앨범에 넣을 만큼의 곡들을 비축해두었고, 그중에서 완성도가 높은 곡들을 《Elton John》과 《Tumbleweed Connection》 두 앨범으로 나눠서 수록했다고 밝혔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Tumbleweed Connection》을 작업하기 시작했을 때 대부분의 곡들은 이미 1969년 여름과 겨울 사이에 완성한 상태였고, 1970년 녹음 기간 동안 추가로 작곡한 곡들도 수록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ej50-part-1|50 Years On: Remembering the ‘Elton John’ Album – Part 1]][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6~118 페이지] 영국 런던의 소호 지역에서 운영되었던 스튜디오이자 《Elton John》을 녹음했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1970년 3월 20일부터 8월 6일까지 녹음했다. 그해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신속히 녹음한 《Elton John》과 달리, 《Tumbleweed Connection》은 4개월 반 동안 녹음했다. 엘튼 존은 3월 25일 영국 런던부터 8월 14일 웨스트요크셔까지 밴드와 함께 영국과 유럽에서 첫 번째 순회공연을 30차례 정도 진행했고, 다른 사람들도 각자의 일정 때문에 스튜디오에 매번 모이지 않았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paul-buckmaster:-in-his-own-words|Paul Buckmaster: In His Own Words]][br][[https://www.setlist.fm/search?page=8&query=elton+john+1970|엘튼 존의 1970년 공연들]]] 녹음 첫날 3월 20일에는 "Ballad of a Well-Known Gun"과 "Come Down in Time", [[Rock and Roll Madonna]]까지 3곡을 녹음했으며 재즈 간주를 추가하여 7분 정도 녹음한 "Come Down in Time"은 폐기했고, "Rock and Roll Madonna"는 그해 6월에 싱글로 발매하고 앨범에 수록하지 않았다. 3월 23일에는 "Son of Your Father"와 "My Father's Gun"을 녹음했고 싱글 B면에 수록한 "Into the Old Man's Shoes"도 이날 녹음했다. 4월 15일에 "Talking Old Soldiers" 녹음을 시도했으나 포기하고 5월 11일에 녹음했으며, 이날 레슬리 덩컨 커버곡 "Love Song"도 녹음했다. 5월 18일에는 "Madman Across the Water"를 녹음했지만 앨범에 수록하지 않았다. 6월 2일에는 "Burn Down the Mission"을 녹음했고, 6월 11일에는 "Come Down in Time"을 재녹음하면서도 "Country Comfort"도 녹음했다. 이날 "Amoreena" 녹음을 시도했으나 포기하고 8월 6일 녹음했으며, "Where to Now St. Peter?"도 같은 날 녹음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얼마 지나지 않아 세션이 종료되었다. 편곡자 폴 벅마스터와 프로듀서 거스 더전을 포함하여 1965년부터 협업을 이루었던 기타리스트 케일럽 퀘이와 싱어송라이터 레슬리 덩컨, 록 밴드 '블루 밍크'의 드러머 배리 모건과 베이시스트 허비 플라워스, 보컬리스트 매들린 벨 등 《Elton John》의 백업 뮤지션들이 대부분 참여했다.[* Elton John / Tumbleweed Connection 라이너 노트] 케일럽 퀘이를 포함하여 녹음에 참여한 베이시스트 데이비드 글로버와 하모니카 연주자 랜 덕, 드러머 로저 포프는 케일럽 퀘이가 1969년부터 1974년까지 이끌었던 록 밴드 '후크풋'의 멤버들이었고, 로저 포프는 엘튼 존과 함께 1968년부터 수년간 협업을 이룬 동료이기도 했다.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케일럽 퀘이와 함께 [[엘튼 존 밴드]]에 잠시 소속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44 페이지] 그 밖에도 녹음에 참여한 뮤지션들 중에서 [[더스티 스프링필드]]와 [[칼 젠킨스]]가 있고, 1967년과 1968년부터 엘튼 존의 데모 작업에 참여하며 협업을 이루었던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베이시스트 디 머리도 참여했다. 디 머리는 1967년 11월부터 1968년 5월까지 녹음했으나 2021년에 정규 34집으로 발매하기 전까지 53년간 보류되었던 [[Regimental Sgt. Zippo]] 이후로 참여한 첫 앨범이자 첫 번째 공식 앨범이 되었으며, 그해 봄 결성한 엘튼 존 밴드에 나이절 올슨과 함께 합류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엘튼 존은 《Tumbleweed Connection》 녹음 기간이던 1970년 3월 말부터 8월까지 중순까지 유럽에서 엘튼 존 밴드와 함께 첫 순회공연을 돌았고, 1968년부터 동료 뮤지션들의 음반에 백 보컬과 건반 연주로 참여한 세션 뮤지션 활동도 1970년 8월 미국에서 첫 번째 순회공연이 열리기 전까지 꾸준히 하고 있었다. 당시 싱글 차트에서 큰 성공을 거둔 각종 팝 히트곡들을 커버하면서도 [[닉 드레이크]]를 포함한 작곡가들의 곡들을 (공식 발매되지 않은) 데모로 녹음하기도 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 발매 == 컨트리 록과 루츠 록 음악을 시도하면서도 서부개척시대에 대한 환상과 요소를 영국적인 관점에서 나타내고, 하나의 중심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묘사했다. 어렸을 때부터 미국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은 버니 토핀은 가사를 쓰는 데 많은 자료들을 참고했다. 이 앨범을 제작했을 당시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미국 땅을 밟기 전이었고 미국에 방문한 건 그해 8월 말부터였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br]Elton John: The Biography, 118~119 페이지[br][[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이러한 음악을 시도하는 데 [[더 밴드]]와 [[리언 러셀]], 덜레이니 & 보니 등 뮤지션들의 영향도 받았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영국에서는 1970년 10월 30일 DJM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고, 미국에서는 1971년 1월 4일 유니 레코드를 통해 발매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영국 2위, 미국 [[빌보드 200]] 5위, 캐나다 4위, 호주 4위, 네덜란드 4위, 스페인 7위, 일본 30위를 기록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10위권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평단으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고, 가장 우수한 엘튼 존의 앨범들 중 하나라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https://www.allmusic.com/album/tumbleweed-connection-mw0000650322|올뮤직 리뷰]],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album-reviews/tumbleweed-connection-deluxe-edition-191246/|롤링 스톤 리뷰 (2008년 디럭스반)]]][* [[https://ultimateclassicrock.com/elton-john-tumbleweed-connection/|관련 자료: Revisiting Elton John's Old West Album, 'Tumbleweed Connection']]] [[RIAA]] 기준으로 미국에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se=tumbleweed+connection#search_section|RIAA - 플래티넘]]] 전 세계 동시 발매한 싱글이 단 한 곡도 없는 몇 안 되는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 1971년 프랑스에서 싱글로 발매한 곡이자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레슬리 덩컨의 곡을 커버곡 "Love Song"과 1971년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에서 싱글로 발매한 "Country Comfort"가 전부이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10180081-Elton-John-Love-Song-Empty-Sky|Love Song 싱글]], [[https://www.discogs.com/ko/release/13011187-Elton-John-Country-Comfort|Country Comfort 싱글]]] 이 곡들은 싱글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1995년 머큐리 레코드와 2001년 로켓 레코드에서 발매된 리마스터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Into the Old Man's Shoes"와 "Madman Across the Water"의 1970년 원곡이 수록되었다. 2008년 디럭스반에는 기존의 보너스 트랙들과 수록곡들의 데모, 1970년부터 1971년까지의 공연 실황 등 수록되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4228823-Elton-John-Tumbleweed-Connection|Tumbleweed Connection (CD, 1995)]][br][[https://www.discogs.com/ko/release/5545251-Elton-John-Tumbleweed-Connection|Tumbleweed Connection (CD, 2008)]]] 앨범 표지는 영국 서식스의 셰필드 파크 기차역에서 촬영되었다.[* [[https://twitter.com/popspotsnyc/status/693314598624190464|셰필드 파크 기차역 사진]]] 버니 토핀이 기차역에 서있는 사진은 앨범 뒷면에 사용했다.[* [[https://weareclassicrockers.com/sites/classicrockers.rock.tools/files/styles/site_width_image/public/2019-10/john-tumbleweedfull.jpg?itok=SgiL5h5i|Tumbleweed Connection 뒷면과 앞면]]]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어쿠스틱 기타, 보컬, 작사/작곡(Love Song), 백 보컬 - 레슬리 덩컨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리드 기타 - 케일럽 퀘이 * 어쿠스틱 기타, 12현 어쿠스틱 기타 - 레스 대처 * 어쿠스틱 기타 - 마이크 이건 * 스틸 기타 - 고든 헌틀리 * 베이스, 백 보컬 - 디 머리 * 베이스 - 데이브 글로버, 허비 플라워스 * 어쿠스틱 베이스 - 크리스 로렌스 * 드럼 - 배리 모건 * 드럼, 퍼커션 - 로저 포프 *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 탬버린, 콩가 - 로빈 존스 * 오르간 - 브라이언 디 * 하프 - 스카일라 캉가 * 오보에 - 칼 젠킨스 * 하모니카 - 랜 덕 * 바이올린 - 조니 밴 데릭 * 백 보컬 - 케이 가너, 타미 헌트, 토니 버로우즈, 토니 하자드, 더스티 스프링필드(1, 5번 트랙), 매들린 벨, 헤더 휘트먼, 유본 휘트먼 * 금관악, 관현악 편곡 - 폴 벅마스터 * 프로듀싱 - 거스 더전 == 트랙 리스트 == === Side 1 === ==== Ballad of a Well-Known Gun - 4:59 ==== 강렬한 연주를 담은 컨트리 록 곡이며, 가사는 붙잡힌 도망자에 대해 묘사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4 페이지] "There Goes a Well-Known Gun"이라는 제목의 초기 곡도 존재하는데 최종 곡의 4분의 2박자와 달리 4분의 4박자로 구성되었고, 편곡도 다르게 했다. 초기 곡은 2008년 CD 디럭스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tJu4nwPXvo|There Goes a Well-Known Gun]]] "Come Down in Time", "Son of Your Father", "Talking Old Soldiers" 등과 더불어 1969년에 쓴 곡이면서도 1969년 정규 1집 [[Empty Sky]] 이후로 작곡한 첫 곡들 중 하나이다. 1969년 DJM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밴드 데모는 "Come Down in Time"의 2020년 10인치 싱글 B면에 수록되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br]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18 페이지] 1970년과 1971년, 2007년, 2010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Ballad+of+a+Well-Known+Gun|Ballad of a Well-Known Gun 라이브 목록]]] ==== Come Down in Time - 3:25 ==== 관현악을 바탕으로 한 재즈 풍의 잔잔한 곡이다. [[칼 젠킨스]]가 이 곡에서 오보에를 연주했다. 이전 앨범 《Elton John》에 참여한 하피스트이자 엘튼 존의 [[왕립음악원]] 동문 스카일라 캉가가 하프를 연주했고, 이후 1983년 정규 17집 [[Too Low for Zero]]에도 하프 연주로 참여했다.[* Too Low for Zero 라이너 노트] 앨범 작업을 시작했을 때 재즈 연주를 담은 7분 정도의 곡으로 1970년 3월 20일 녹음하기도 했으나, 해당 곡은 2020년 10월 30일에 5,000장 한정 10인치 싱글로 발매되기 전까지 미공개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i_xEALXGTfc&feature=emb_title|Come Down in Time 재즈 버전 (1970)]]]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25주년을 기념한 1991년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스팅(가수)|스팅]]의 커버곡이 수록되었고 엘튼 존이 '낸시 트레드라잇'이라는 필명으로 피아노 연주를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7OJt917_Tk0|스팅 - Come Down in Time (1991)]]] 1990년대 공연들에서 스팅과 함께 이 곡을 가끔씩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imUWHT7s1Y|엘튼 존/스팅 - Come Down in Time (1997년 9월 14일 An Audience with Elton John)]]] 1971년부터 2016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ome+Down+in+Time|Come Down in Time 라이브 목록]]] ==== Country Comfort - 5:06 ==== 푸근한 분위기의 컨트리 곡이다. 가사는 외양간을 고치는 여든 살의 할머니를 주제로 삼았고 편안한 전원생활의 행복을 묘사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4 페이지] 엘튼 존의 친구이기도 한 [[로드 스튜어트]]가 커버한 적 있는데, 《Tumbleweed Connection》보다 4개월 먼저 발매된 로드 스튜어트의 정규 2집 《Gasoline Alley》에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ukM1mgMqao|로드 스튜어트 - Country Comfort (1970)]]] 영국의 자매 그룹 '챈터 시스터즈'는 1970년 앨범 《Birds of a Feather》를 작업했을 때 이 곡을 포함하여 1970년 곡들 [[Take Me to the Pilot]], [[Border Song]], [[Bad Side of the Moon]]을 커버했으며, 엘튼 존이 피아노를 연주했다. 거스 더전이 프로듀싱을 맡았고 케일럽 퀘이가 편곡을 맡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oBeZa3EuIlw&list=PLAHBcNilnj86krEZdFkKE5RPrtOti6F2I&index=1|챈터 시스터즈 피처링 엘튼 존 - Birds of a Feather (1970)]]] 2001년에는 미국의 밴조 연주자 얼 스크럭스가 밴조 연주를 맡고 엘튼 존이 노래와 피아노 연주를 맡으며 재녹음했으며, 그의 앨범 《Earl Scruggs and Friends》에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MNp9D59iWE|엘튼 존/얼 스크럭스 - Country Comfort (2001)]]] 1971년 브라질과 오세아니아에서 싱글로 발매했지만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13011187-Elton-John-Country-Comfort|Country Comfort 싱글]]] 1970년부터 2001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Country+Comfort|Country Comfort 라이브 목록]]] ==== Son of Your Father - 3:48 ==== 금관악 연주와 함께 경쾌한 분위기를 이끄는 컨트리 록 곡이며, 케일럽 퀘이의 록 밴드 '후크풋'의 멤버 랜 덕이 이 곡에서 하모니카를 연주했다. 가사는 미국 동부 버지니아의 한 농장에서 언쟁하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는 두 남성에 대해 묘사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5 페이지] 1969년 스튜디오 공연들에서만 몇 차례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Son+of+Your+Father|Son of Your Father 라이브 목록]]] ==== My Father's Gun - 6:20 ==== 피아노와 기타로 조용히 시작하다가 후렴부터 웅장해지는 록 곡이다. 엘튼 존은 앨범을 작업했을 때 마지막으로 작곡한 곡이라고 밝혔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가사는 [[남북전쟁]]을 묘사했다. 한 젊은 남성이 자신의 아버지가 전쟁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듣자 아버지를 남부에 묻은 다음, 아버지의 총을 들고 전쟁에 참전한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5 페이지] [[미란다 램버트]]가 커버했다. 2018년 1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열린 공연이자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그래미 헌정 공연에서 불렀고, 정식 음원은 동년 4월 발매된 헌정 앨범 [[Restoration: Reimagining the Song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에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ZTdBC1tfDw|미란다 램버트 - My Father's Gun (2018)]]] 1970년과 1971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My+Father's+Gun|My Father's Gun 라이브 목록]]] === Side 2 === ==== Where to Now St. Peter? - 4:11 ==== 피아노로 잔잔히 시작한 다음, 이펙터에 연결한 일렉트릭 기타를 바탕으로 풍성한 분위기를 이끄는 록 곡이다. 가사는 총에 맞아 죽어가면서도 천국과 지옥 둘 중 어디로 가야 하는지 [[성 베드로]]에게 간청하는 남북전쟁 군인의 시점을 묘사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5 페이지[br]Elton John: Fifty Years On: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al Geniu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 29 페이지] 2007년에는 [[하트(밴드)|하트]]의 멤버 앤 윌슨과 함께 부른 곡으로 재발매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UBnW4m1Zrk|앤 윌슨/엘튼 존 - Where to Now St. Peter? (2007)]]] 1971년부터 2007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Where+to+Now+St.+Peter?|Where to Now St. Peter? 라이브 목록]]]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엘튼 존 밴드]]의 퍼커셔니스트 레이 쿠퍼와 함께 진행한 2인조 순회공연에서는 원키 나장조(B 장조)에서 2키 내린 가장조(A 장조)로 불렀으나, 밴드와 함께 진행한 2007년 순회공연에서는 다시 원키로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zjaGQpuBmW4|나장조: Where to Now St. Peter? (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br][[https://www.youtube.com/watch?v=zwV0TVTR7uc|나장조: Where to Now St. Peter? (1982년 7월 7일 미국 캔자스시티)]][br][[https://www.youtube.com/watch?v=I-raaPazRA4|가장조: Where to Now St. Peter? (1993년 12월 10일 남아프리카 선 시티)]][br][[https://www.youtube.com/watch?v=eyFbBIpuf1o|가장조: Where to Now St. Peter? (1994년 12월 1일 영국 런던)]][br][[https://www.youtube.com/watch?v=n3pUirhNfms|나장조: Where to Now St. Peter? (2007년 3월 2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 Love Song - 3:41 ==== 어쿠스틱 기타를 바탕으로 한 발라드 곡이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이 쓰지 않은 유일한 수록곡이며, 《Elton John》에서 백 보컬로 참여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레슬리 덩컨이 쓴 곡을 커버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YelRP3MzEw|레슬리 덩컨 - Love Song (1971)]]] 레슬리 덩컨은 이 커버곡에서 기타 연주와 백 보컬을 맡았다. 1971년 프랑스에서 싱글로 발매했으나 차트 진입에 실패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10180081-Elton-John-Love-Song-Empty-Sky|Love Song 싱글]]] 1974년 5월 18일 영국 런던의 로열 페스티벌 홀 공연과 1974년 11월 28일 미국 뉴욕주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 실황을 담은 1976년 라이브 앨범 [[Here and There]]를 발매했을 때 런던 공연 실황을 1976년 싱글로 발매했다. 이 싱글은 미국 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8위, 캐나다 85위를 기록했다.[* [[http://www.45cat.com/record/1938us2|Love Song 1976년 싱글]]] 엘튼 존은 이 곡을 1971년부터 1992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lesley-duncan-3d4a537.html?song=Love+Song|Love Song 라이브 목록]]] 대부분의 공연들에서는 엘튼 존이 혼자서 불렀지만 1974년 5월 18일 영국 런던의 로열 페스티벌 공연에서는 레슬리 덩컨과 함께 불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5Um_tislUU|엘튼 존/레슬리 덩컨 - Love Song (1974년 5월 18일 영국 런던)]]] 1976년 순회공연과 1986년 순회공연에서는 피아노 대신 기타를 연주하면서 불렀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9: Louder Than Concorde (But Not Quite As Pretty)[br][[https://www.youtube.com/watch?v=GXKEpwJQFuE|Love Song (1986년 8월 21일 캔자스시티)]]] 엘튼 존이 기타를 연주하면서 부른 유일한 곡이기도 하다. 1992년 11월 1일 캘리포니아 공연에서 이 곡을 불렀을 때 [[닐 영]]과 [[제임스 테일러]] 등 가수들도 참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bQlO3gJnoQ|Love Song (1992년 11월 1일 캘리포니아)]][br][[https://www.setlist.fm/setlist/elton-john/1992/shoreline-amphitheatre-mountain-view-ca-33d59ca9.html|1992년 11월 1일 캘리포니아 공연 셋리스트]]] 레슬리 덩컨의 원곡과 함께 [[알렉스 가랜드]]의 [[2022년]] 영화 [[멘]]에 삽입되었다. 엘튼 존 버전이 엔딩 주제가다. ==== Amoreena - 5:00 ==== 시원스러운 분위기를 담은 컨트리 록 곡이다. [[엘튼 존 밴드]]의 초기 멤버들이자 1967년과 1968년부터 협업을 이룬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베이시스트 디 머리가 엘튼 존과 같이 연주한 첫 번째 공식 발매 곡이다. 가사는 밭에서 일하는 유유자적한 여성 '애모리나(Amoreena)'와 애모리나를 사랑하는 남성을 묘사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119 페이지[br]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6 페이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자신들을 작사/작곡 듀오로 이어지게 만든 기획자이자 초기 매니저였던 레이 윌리엄스에게, 만약 딸이 생기고 이름을 '애모리나'라고 지어준다면 그 이름으로 곡을 쓰겠다고 말했다. 이후 레이 윌리엄스는 장녀 이름을 애모리나로 지었고, 엘튼 존은 애모리나 윌리엄스의 대부가 되어 주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68 페이지[br][[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1970년과 1971년 순회공연에서만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Amoreena|Amoreena 라이브 목록]]] [[알 파치노]], [[존 카제일]] 주연의 1975년 영화 [[뜨거운 오후]] 오프닝에 삽입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piREeCLeFk|뜨거운 오후 오프닝 장면]]] ==== Talking Old Soldiers - 4:06 ==== 보컬과 피아노만 구성된 잔잔한 발라드 곡이며, 시를 읊는 듯한 분위기로 진행한다. 가사는 전쟁에서 친구들을 모두 잃고 [[PTSD]]를 겪으며 쓸쓸히 남아있는 노병과 술집에서 대화하며 노병의 이야기에 매료한 젊은이를 묘사했다.[*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26 페이지] 보컬과 피아노만 구성된 몇 안 되는 곡들 중 하나이며, 엘튼 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데이비드 애클스의 영향을 크게 받은 곡이라고 설명했다. 《Tumbleweed Connection》의 가사 책자에서 "To David with love"라는 문구를 넣기도 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1971년부터 1999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Talking+Old+Soldiers|Talking Old Soldiers 라이브 목록]]] ==== Burn Down the Mission - 6:22 ==== 피아노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후렴부터 밴드 연주와 함께 한층 거세지고, 브리지에서 박자가 바꿔지며 가스펠 풍의 현란한 연주로 이어지다가 다시 도입부로 돌아가 반복하는 실험적인 록 곡이다. 엘튼 존은 곡의 전체적인 리듬과 다양한 코드 진행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로라 니로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Spectacle: Elvis Costello with... Elton John (2008)] 1970년부터 공연들에서 자주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Burn+Down+the+Mission|Burn Down the Mission 라이브 목록]]] 솔로 공연에서는 피아노 즉흥 연주를 후반부에 덧붙여 짧게는 7분, 길게는 10분까지 연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G33MUqQCZY|Burn Down the Mission (1992년 3월 15일 미국 내슈빌)]][br][[https://www.youtube.com/watch?v=Hy2a6J2y4EM|Burn Down the Mission (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 1970년부터 1971년까지 밴드의 베이시스트 디 머리와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함께 진행한 3인조 순회공연에서는 미국의 블루스 가수 아서 크루덥의 곡 "My Baby Left Me"와 [[비틀즈]]의 곡 [[Get Back]]을 연결하여 15분 정도 화려하게 연주했다. 1970년 11월 17일 뉴욕 라디오 공연 실황을 담은 1971년 라이브 앨범 [[17-11-70]]에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IafEGE_jhg|Burn Down the Mission/My Baby Left Me/Get Back (1970년 11월 17일 미국 뉴욕)]]] 1991년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에는 [[필 콜린스]]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토토(밴드)|토토]]가 커버하여 2002년 정규 11집 [[Through The Looking Glass(토토)|Through the Looking Glass]]에 수록했으며,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과 나이절 올슨이 백 보컬로 참여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xrw2gSy5Tg|필 콜린스 - Burn Down the Mission (1991)]][br][[https://www.youtube.com/watch?v=qBj--YNocDk|토토 - Burn Down the Mission (2002)]]] === 보너스 트랙 === ==== Into the Old Man's Shoes - 4:02 ==== 피아노로 잔잔히 시작하다가 밴드 연주와 관현악이 가세하면서 웅장한 분위기를 이끄는 발라드 곡이다. 가사는 미국 애리조나주 툼스톤의 한 소년이 영웅으로 칭송받는 죽은 아버지와 비교되는 것에 싫증 나 툼스톤을 떠나는 내용이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1 페이지] 당시 엘튼 존이 애착한 곡들 중 하나이기도 했다.[*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2: Tumbleweed Connection (1970)] 1971년 1월 발매된 [[Your Song]] 영국 싱글 B면과 《Tumbleweed Connection》의 1995/2001년 리마스터반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4228823-Elton-John-Tumbleweed-Connection|Tumbleweed Connection (CD, 1995)]]] ==== Madman Across the Water (Original Version) - 8:50 ==== 9분에 달하는 길이를 가진 대곡이며, 어쿠스틱 기타로 조용히 시작하다가 점점 거세지는 록 곡이다. 1971년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의 타이틀 트랙으로 발매한 곡이지만 원래는 《Tumbleweed Connection》을 작업했을 때 녹음한 곡이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 [[데이비드 보위]]와 작업한 걸로 알려진 영국의 기타리스트 믹 론슨과 기타리스트 마이클 채프먼이 참여했다.[* [[https://daily.bandcamp.com/features/michael-chapman-feature|The Half-Century Road to Michael Chapman’s “50”]][br][[https://web.archive.org/web/20150119212528/http://www.mickronson.com/mrsessions.shtml|믹 론슨 세션들 목록]]] 가사는 추상적인 내용을 담았는데, 1972년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한 [[리처드 닉슨]]을 가리킨다는 주장이 있었다. 하지만 해당 사건이 일어나기 2년 전에 만들어진 곡이라서 버니 토핀은 그런 주장을 부정했고, 오히려 자신도 생각해 내지 않은 멋진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84 페이지[br]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9: ‘We Literally Played in Our Overcoats’] 《Tumbleweed Connection》 작업 시기인 1970년 5월 18일 영국 런던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녹음했지만 앨범에 수록하지 않았다. 1971년 8월 14일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6분 정도의 길이로 단축하고 심포닉 록으로 편곡하여 재녹음한 곡을 《Madman Across the Water》에 수록했다.[* [[https://www.eltonjohn.com/stories/tumbleweed50|Tumbleweed Connection at 50]][br][[https://www.eltonjohn.com/stories/madman-across-the-water:-in-the-studio|Madman Across The Water: In the Studio]]][* [[https://www.youtube.com/watch?v=SwzSFwUNO_Y|Madman Across the Water (1970)]][br][[https://www.youtube.com/watch?v=nq4J_n6vMYo|Madman Across the Water (1971)]]] 22년간 보류되었던 원곡은 1992년 컴필레이션 앨범 [[Rare Masters]]에 수록했고, 《Tumbleweed Connection》의 1995/2001년 리마스터반에도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했다.[* [[https://www.discogs.com/ko/release/4228823-Elton-John-Tumbleweed-Connection|Tumbleweed Connection (CD, 1995)]]] 1971년부터 2012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Madman+Across+the+Water|Madman Across the Water 라이브 목록]]] 1971년 재녹음곡처럼 편곡했으나 1970년 원곡처럼 절과 후렴 사이에 간주를 추가하고 코다를 확장하면서 연주했다. 대체로 9분에서 13분 정도 연주했고 20분 정도 연주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2LUWFptNCM|Madman Across the Water (1971년 11월 11일 BBC)]][br][[https://www.youtube.com/watch?v=dEVNqLYgGk4&t=2170s|Madman Across the Water (1973년 10월 7일 미국 블루밍턴)]][br][[https://www.youtube.com/watch?v=0D1yIIrjMEM|Madman Across the Water (2009년 1월 17일 브라질 상파울루)]][br][[https://www.youtube.com/watch?v=oNatved09Hk|Madman Across the Water (2011년 11월 4일 리투아니아 빌뉴스)]]] 6~7분 정도 연주한 경우는 1986년과 2007년 순회공연 등 손에 꼽힌다.[* [[https://www.youtube.com/watch?v=ECsprVjpjSQ|Madman Across the Water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br][[https://www.youtube.com/watch?v=_5xOPV7ZCR4|Madman Across the Water (2007년 3월 25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 1970년 녹음한 원곡은 1973년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1975년 [[We All Fall in Love Sometimes/Curtains]], 1981년 [[Carla/Etude-Fanfare-Chloe]] 같은 접속곡들과 10분 정도의 길이로 확장한 리믹스 곡들을 제외하면 단일 곡으로써 가장 긴 엘튼 존 곡이기도 하다. 2022년에는 《Madman Across the Water》 50주년 박스 세트 발매 기념으로 뮤직비디오가 제작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E8x4Gbc2iw|Madman Across the Water 뮤직비디오 (2022)]]] == 세션 기간 작곡된 다른 곡들 == === Sisters of the Cross - 4:38 === 미드 템포 발라드 곡이다. 녹음 기간 때 작곡한 미발매곡이었고, 2008년 발매된 디럭스반에 보컬/피아노 데모가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이 곡은 버니 토핀이 먼저 발매한 적 있는데 1971년 정규 1집이자 스포큰 워드 앨범 《Taupin》에 수록했다. 해당 앨범에는 1970년 곡 [[The Greatest Discovery]]도 수록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OJsUQw8Scc|Taupin (1971)]]] === Rolling Western Union - 3:54 === 경쾌한 록 곡이다. 비슷한 시기에 작곡한 "Sisters of the Cross"와 달리 이 곡은 2020년 11월 발매된 8CD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수록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Ballad of a Well-Known Gun, version=36, title2=Come Down in Time, version2=41, title3=Country Comfort, version3=34, title4=Son of Your Father, version4=26, title5=My Father's Gun, version5=32, title6=Where to Now St. Peter?, version6=36, title7=Love Song(엘튼 존/레슬리 덩컨 노래), version7=55, title8=Amoreena, version8=42, title9=Talking Old Soldiers, version9=33, title10=Burn Down the Mission, version10=35, title11=Into the Old Man's Shoes, version11=24, title12=Madman Across the Water(노래), version1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