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V6G6d8qqMfI)] 음원. 장르는 '[[마키나]]'이며, 동 명의로 수록된 뮤제카의 곡인 Nostalgia Contrast와 분위기가 비슷하다.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 ''' Twinkle wink'''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winkle_wink.png|width=300]] || ||<#eee> 작곡 |||||| Sanaas & Hurce || ||<#eee> BPM ||||||<:> 180 || ||<#eee> ||<#6ce> Easy ||<#f9a> Hard ||<#fe7> Special || ||<#eee> 레벨 ||<:> 3 ||<:> 12 ||<:> '''15''' || ||<#eee> 노트 수 ||<:> 210 ||<:> 435 ||<:> 762 || 2016년 6월 2일 업데이트 된 VOEZ의 수록곡이다. ===== Easy ===== [youtube(1HxiJrJ0Nw8)] AP 영상. 플레이어는 Resolver. 양 쪽 라인에서 노트가 번갈아 내려오는 것이 반복되며, 중반의 덥스텝 부분만 주의하면 평이한 채보다. ===== Hard ===== [youtube(nYgcccobHOg)] AP 영상. 플레이어는 Resolver. 전체적으로 저속 트릴이 라인을 골고루 분산하여 내려오며 기묘하게 이동하는 홀드 노트와 연타, 밀도 높은 슬라이드 패턴에 주의를 요한다. ===== Special ===== [youtube(nOaEcvjC3EM)] AP 영상. 플레이어는 Jerry. Hard의 트릴 패턴이 대부분 강화되었고 <, >, 지퍼 모양 등 다채롭게 움직이는 등 슬라이드 패턴이 메인 급으로 비중이 늘었다. 또한, 중반의 레이저 신스[* 스크리치라고도 한다. 전에는 이 구간이 덥스텝 구간이라고 설명이 되어 있었으나 수정되었다.]발광 구간은 상상 이상으로 강화되면서 안 그래도 짧은 길이의 라인의 장난을 이용해 함정을 만들어 가독성을 흐려뜨리고 짧은 홀드 노트, 플립-슬라이드 조합이 있는 등 평범한 15레벨에 비해서는 조금 어려운 상당한 난이도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표기 레벨에서의 상위권 정도의 난이도를 지녔다. 전체적으로 중반부의 짧은 라인으로 판정을 낮추고 가독성을 흐려트리는 발광으로 인해 15레벨 상위곡이 된 케이스. ==== 기타 ==== * 일러스트의 왼쪽 위를 주목하면 [[Mandora]]를 찾을 수 있다. * 채보가 한번 변경되었다. 영상기준 40초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파란색 넓은 라인이 좌우의 이웃한 라인과 겹쳐지는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좌우의 라인을 누를때 파란라인과 같이 눌릴 수 있는 구조라 파란라인의 노트가 OK가 자주 뜨는 편이였고 패드는 화면이 넓어서 자각하지 못하지만 휴대폰은 화면이 작기때문에 AP로 넘어가기 쉽지 않은 구간이였다. 버그였는지 의도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은 파랑라인이 좌우의 라인과 겹치지 않도록 수정된 상태다. [[분류:VOEZ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