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엄브렐러의 사설 용병)] ||<-4>
{{{#white '''{{{+2 U.S.S.}}}'''[br]'''Umbrella Security Service'''}}} || ||<-4> [[파일:바이오하자드uss로고.jpg|width=100%]] || ||<-4> {{{#white '''작중 로고'''}}} || || {{{#white '''좌우명'''}}} ||<-3>'''Failure is not an Option.''' '''"실패는 용납할 수 없다."'''|| [목차] [clearfi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ident-Evil-2-USS.jpg|width=100%]]}}}|| ||<-2> {{{#white '''U.S.S.의 핵심 인물 [[헝크]]'''}}} || ||<-4> [[파일:qX-fBrqmRTPGuNlsb3ZPRnc9VwsPUYwqZuRqQqfFxe0.webp|width=100%]] || ||<-2> {{{#white '''[[바이오하자드 RE:2 #s-12.5.3|유령생존자]] 모드에 등장하는 J.마르티네즈'''[* [[윌리엄 버킨]]을 쏜 대원이다.]}}} || ||<-4> [[파일:883710_screenshots_20190216203925_1.jpg|width=100%]] || ||<-2> {{{#white '''[[바이오하자드 RE:2]] 에서의 U.S.S 대원들의 복장[* 기본적으로 [[헝크]]와 같은 모델링을 공유한다.]'''}}} || ||<-4> [[파일:바이오하자드 데스 아일랜드 USS.jpg|width=100%]] || ||<-2> {{{#white '''[[바이오하자드: 데스 아일랜드]] 에서의 U.S.S 대원들의 복장'''}}} || == 개요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에 등장하는 부서(혹은 부대). 대략 Umbrella Security Service의 약자로, ~~USS[* 미 해군 함선은 USS로 시작한다. 예 [[USS 미주리]]]~~[[엄브렐러]] 보안 부서 정도가 된다. 유사 부대인 [[U.B.C.S.]]의 목적이 아웃브레이크 현장에 무력으로 개입해서 엄브렐러의 만행 증거를 소멸시키는 것인데, 이쪽은 그와 달리 엄브렐러 내부의 적을 찾아서 제거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는 일이다. 즉 첩보/정보전 및 내사를 담당하는 쪽. 현재까지 밝혀진 정보에 의하면 [[특수부대]]처럼 여러부대가 있으며 작중에서는 알파 팀과 델타 팀만 등장했다. == 작중 행적 == 작중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것이 [[바이오하자드 2]]. 작전명 "네스트레커(Operation: NESTWRECKER)"로, 1998년 9월 23일 [[라쿤 시티]] 네스트 연구소의 책임자인 [[윌리엄 버킨]]이 독자적으로 완성한 G 바이러스 확보를 위해 알파 팀 25명이 투입되었지만, 스스로 G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괴물이 된 버킨의 공격으로 인해 24명이 사망하고 [[헝크|단 한 명의 생존자]]만 바이러스 샘플을 갖고 헬기에 탑승하여 탈출했다. 이 알파 팀은 아웃브레이크 오프닝에서 G 버킨에게 신나게 학살당하는 모습으로 다시 나온다.[* 오프닝을 보면 거의 다 처참한 시신이 되었고, 중상을 입은 채 숨만 붙은 대원도 T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들에게 산 채로 물어 뜯긴다.] 바이오하자드 2 리메이크에서도 등장한다. 기록을 보면 지하 연구소의 인원들을 사살하였다.[* 헝크 모드에서 본편에서 버킨에게 사망한 대원들이 좀비로 변이하는걸 볼 수 있는데, 아웃브레이크과 마찬가지로 T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들에게 물어 뜯긴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에는 바이오하자드 제로에서 T 바이러스에 감염된 거머리 떼에게 다굴당해 사망하는 델타 팀 소속 2명과 회상장면에서 1988년 간부양성소에서 [[오즈웰 E. 스펜서|스펜서]]의 명령을 받은 [[알버트 웨스커|웨스커]]와 [[윌리엄 버킨|버킨]]이 [[제임스 마커스|마커스 박사]]를 제거할 때 데려온 2명이 나온다. 평소의 활동 모습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2편에서 등장했을땐 대원 전원이 헝크와 마찬가지로 검은 SWAT풍 차림에 [[방탄복]]과 [[프로텍 헬멧]][* 작화 때문에 잘 안 보이지만 확실히 작화가 개선된 엄브렐러 크로니클즈에서부터는 [[군장/미군#s-4.3|PASGT]] 방탄헬멧을 착용한 모습으로 나온다.] 그리고 SF-10[* 70년대부터 [[SAS(특수부대)|SAS]]가 사용하면서 특수부대가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해진 방독면으로 기존의 S-10을 개량한 방독면이다. 특징으로 파편과 핵섬광을 포함한 여러섬광으로부터 보호하는 연한빛깔의 렌즈덮개 장착, S-10의 음용장치 제거, 무전기와 개인용 확성기와 연결되는 마이크로폰 장착, 안면부에 여분의 정화통 및 산소공급 자리를 마련하는 개량이 가해졌다.] [[방독면]]과 방독면 주머니를 착용하고, 기관단총을 소지한 모습이었다. 정보/첩보요원이라기 보단 진짜 [[경찰특수부대|경찰특수부대]]나 [[SAS(특수부대)|SAS]]에 가까운 모습이었는데, 아무래도 임무상 좀비가 우글대는 지역을 헤매야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IF 세계관인 [[바이오하자드: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에선 무장상황이 제일 좋았는데, '''클로킹 장비'''[* 심지어 적으로 변장할 수 있는 홀로그램까지 나온다.]는 물론이고 당시 막 [[독일 연방군|독일군]]에게 보급되던 [[H&K G36]]으로 무장하고 1998년 당시엔 있지도 않았던 MOLLE 장비를 차고 나오기도 한다.[* 대원들 마다 장비가 다르고 전투복도 다른데 루포 와 포 아이즈만 얼굴이 반쯤 보이는 방독면 혹은 마스크를 착용하였지만 벨트웨이, 버사, 스펙터, 벡터는 아예 방독면을 착용하였으며 바이저 색은 전부 파랑색으로 되어있다.] [[바이오하자드 RE:2]] 이후로는 ALICE 시스템이 적용된 SOE사의 Rallyman Vest를 착용하고, [[H&K MP5]]를 들고 나오는등, 무장 측면에서 시대에 맞게 변경되었다. 이 부대에서 제일 잘 알려진 인물이 바로 '사신' [[헝크]]인데, 코드 베로니카 이후로는 정식 스토리 라인에 등장하지 않는다. 아마도 엄브렐러가 파산하면서 같이 해산되었거나, [[세르게이 블라디미르]] 밑으로 이동하기라도 한 것 같아 보인다. 2012년에 발매된 IF 스핀오프 작품인 [[바이오하자드: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에서 플레이어가 [[울프팩(바이오하자드 시리즈)|'울프팩' 팀]]으로 플레이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반대로 DLC로 나온 정부 측, 스펙 옵스 미션에선 이쪽이 적으로 나온다. 복장은 방독면 쓴 일반 U.S.S 병사의 그것과 동일. 같은 사병 부대인 [[U.B.C.S.]]와 사이가 어떤지는 자세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오퍼레이션 라쿤 시티를 해 보면 확실하게 자기들보다는 아래로 보고 있는 것 같다. 일단 첫 미션부터가 U.B.C.S.를 쓸어버리고 바이러스를 탈취하는 미션이니. 물론 엄브렐러 경영진 입장에선 '''결국 둘 다 소모품.''' 2023년 영화 [[바이오하자드: 데스 아일랜드]]에서 U.S.S.가 등장한다. 엄브렐러 임원들을 구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한다. 다만 딜런과 J.J.를 제외한 전원이 T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등 취급이 영 좋지 않다.[* 무전 내용을 잘 들어보면 예외는 없다는것을 보면 결국 이들은 죽은 목숨이나 다름이 없었다.] 결국 J.J.도 감염되고 딜런만 유일하게 살아남는다. == 복장 == [[파일:ussbio2.png|width=100%]] [[바이오하자드 2]] 시네마틱 영상에서의 U.S.S. 알파팀 대원 [[파일:Classic_Hunk (1).png|width=100%]] [[바이오하자드 아웃브레이크]]에서의 U.S.S. 대원의 복장 전체적으로 [[바이오하자드 2]]의 디자인을 계승하였으며, 큰 차이는 없다. [[파일:Resident_Evil_0_GCN_USS_concept_art.webp|width=100%]] [[바이오하자드 제로]]에서의 U.S.S. 대원의 복장 컨셉아트 [[파일:883710_screenshots_20190216203925_1.jpg|width=100%]] [[바이오하자드 RE:2]] 에서의 U.S.S. 대원의 복장 FM12 방독면, Rallyman 전술조끼,PT계열 바디아머와 케블라 헬멧으로 무장하였다. [[파일:바이오하자드 데스 아일랜드 USS.jpg|width=100%]] [[바이오하자드: 데스 아일랜드]] 에서의 U.S.S. 대원의 복장 2편 리메이크와 완전히 다른 복장으로 Rallyman 전술 조끼 와 PT 바디아머가 아닌 제대로된 방탄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방독면을 안쓰고 맨 얼굴 혹은 발라클라바 와 진압 방패를 착용 한것을 보면 이들은 진압부대 인걸로 보인다.헬멧은 케블라 헬멧 그대로 나오며 전술 고글까지 쓰고 있다. == 무장 == 작품에 따라 소지한 무기가 계속 달라지는데, 제로와 2편 영상에서는 [[H&K MP5]]가 등장하지만 정작 게임에서는 [[MAC-10]]이 나온다. 이후 엄브렐러 크로니클즈와 다크사이드 크로니클즈에서는 각각 [[슈타이어 TMP]]와 [[MAC-10]]으로 등장한다. [[파일:LE_5.webp]] 2의 리메이크인 RE:2에서는 MP5에 에임포인트 COMPM1 [[도트 사이트]]를 달았다. 시대(1998년)상 당시엔 미군 특수부대들이 쓰는 고급장비였는데, 엄브렐라 입장에서도 정예 병력이니 U.S.S. 무장에 신경써준듯. == 관련 인물 == * 알파 팀 * '''[[헝크]]''' * J. 마르티네즈(J. Martinez): [[윌리엄 버킨]]을 쏜 대원. 사망. [[바이오하자드 RE:2]] 공식 설정집 BIOHAZARD RE:2 Official Complete Guide에 의하면 유령 생존자에서 등장한 이름 불명의 대원(Ghost)이 J. 마르티네즈라 한다. [[바이오하자드 RE:2]]에서 [[G 바이러스]] 회수 밑 [[윌리엄 버킨]] 박사의 생포작전에 투입된 알파팀 대원중 한명으로 본편에서 사망했으나 가상의 시나리오인 유령 생존자에서는 [[G 바이러스]]에 감염되 괴물화된 윌리엄 박사에게서 살아남아 연구소를 배회하다가 [[레온 S. 케네디]]가 떨어뜨린 G 바이러스 샘플을 회수하고 자폭직전의 연구소를 탈출하기위해 케이블카로 향했으나 케이블카 안에 숨어있던 [[에이다 웡]]에게 총구가 겨눠진 후로 생사불명. 마지막 장면에서 헬멧이 벗겨져 있는 것을 보아선 에이다가 죽이고 다시 벗겨주었을리는 없을테니 탈출하면서 집어던졌을 가능성이 높다. * A. 커크패트릭(A. Kirkpatrick): 알파 팀의 오퍼레이터. 사망. * 미구엘(Miguel): 사망. * 데렉(Derek): 사망. * 루크(Luke): 사망. * 고블린 6: 여성 대원. 엄브렐러 크로니클즈에서 헝크가 탈출할 때 무전으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얼마 안 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 * 나이트호크(NIGHTHAWK): [[UH-60]] 조종사. * 로드리게즈(Rodriguez): 아웃브레이크에서 등장한 생존자. 알파 팀과는 다른 부대의 대장으로, 엄브렐러의 만행을 보고 반 엄브렐러 활동을 하게 된다. * 콘라드(Conrad): 로드리게즈의 부하. 라쿤시티에서 사망. * 딜런 블레이크(Dylan Blake): 데스 아일랜드의 흑막. 오퍼레이터이자 라쿤 시티의 생존자이다. * J. J.: 딜런의 동료이자 오퍼레이터. 사망. * [[울프팩(바이오하자드 시리즈)]](비공식) == [[레지던트 이블(영화)|레지던트 이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S.S.(레지던트 이블))] [[분류:바이오하자드 시리즈/세력 및 단체]][[분류:엄브렐러(바이오하자드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