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EFA 유로 2008)] || '''{{{+2 {{{#fff UEFA 유로 2008 우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uro2008_Final.jpg|width=100%]]}}} || || [[파일:Spain RFEF 2010.png|height=100]] ||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2 스페인}}}]][br](두 번째 우승)''' || [목차] [clearfix] == 개요 == [[UEFA 유로 2008]]의 결승전을 설명하는 문서. == 경기 전 == == 경기 내용 == ||<-3> [[UEFA 유로 2008|[[파일:UEFA 유로 2008 로고.svg|width=50]][br]'''{{{#000 UEFA}}} {{{#ef0303 EURO}}} {{{#a7a7a7 2008}}} {{{#000 오스트리아·스위스}}}''']] '''{{{#000 결승전[br]2008. 06. 29. (일) 20:45 (UTC+2)}}}''' || ||<-3> '''{{{#fff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fff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오스트리아)|{{{#fff (오스트리아, 빈)}}}]]}}}''' || ||<-3> '''{{{#fff 주심: [[이탈리아|[[파일:UEFA EURO ITA.png|height=20]]]] 로베르토 로세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50%, #fff 5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27%, #000 27%, #000 83%, #dd0000 83%, #dd0000 85%, #ffce00 85%, #ffce00 87%, #fff 87%)" [[파일:Germany DFB 2006.png|height=80]]}}} ||<|2> [[파일: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Trophy.png|height=100]][br]'''{{{#000 {{{+1 0 :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abd00 5%, transparent 5%), linear-gradient(to right, #fabd00 1%, #c60b1e 1%, #c60b1e 99%, #fabd00 99%)" [[파일:Spain RFEF 2010.png|height=100]]}}} ||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EURO GER.png|height=20]] {{{#fff '''독일'''}}}]]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EURO ESP.png|height=20]] {{{#fabd00 '''스페인'''}}}]] || || - ||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 '''{{{#000 33' [[페르난도 토레스|{{{#000 페르난도 토레스}}}]]}}}''' || ||<-3> '''{{{#000 Man of the Match: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EFA EURO ESP.png|height=20]]]] [[페르난도 토레스|{{{#000 페르난도 토레스}}}]]}}}''' || * 결승전 선발명단 ||<-12>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000000 독일 선발명단}}}]]''' || ||<-12> GK [br] [[옌스 레만]] || ||<-3> DF [br] [[아르네 프리드리히]] ||<-3> DF [br] [[페어 메르테자커]] ||<-3> DF [br] [[크리스토프 메첼더]] ||<-3> DF [br] [[필립 람]] || ||<-6> MF [br] [[토어스텐 프링스]] ||<-6> MF [br] [[토마스 히츨슈페르거]] || ||<-4> MF [br]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4> MF [br] [[미하엘 발라크]] ||<-4> MF [br] [[루카스 포돌스키]] || ||<-12> FW [br] [[미로슬라프 클로제]] || ||<-12> '''{{{#ffffff EURO 2008 FINAL}}}''' || ||<-12> FW [br] [[페르난도 토레스]] || ||<-3> MF [br] [[다비드 실바]] ||<-3> MF [br] [[세스크 파브레가스]] ||<-3> MF [br] [[사비 에르난데스]] ||<-3> MF [br]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 ||<-12> MF [br] [[마르코스 세나]] || ||<-3> DF [br] [[후안 카프데빌라]] ||<-3> DF [br] [[카를레스 푸욜]] ||<-3> DF [br] [[카를로스 마르체나]] ||<-3> DF [br] [[세르히오 라모스]] || ||<-12> GK [br] [[이케르 카시야스]] || ||<-12>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f4e929 스페인 선발명단}}}]]''' || [youtube(qRLbzpy1y8Y)] 하이라이트만 보면 스페인이 일방적으로 가둬놓고 두드려팬 경기처럼 보이지만, 풀경기를 보면 반코트까진 아니고 오히려 점유율은 독일 52%: 스페인 48%로 근소하게나마 독일이 앞섰다. 허나 슛 시도 4:13, 유효슈팅수 1:7에서 드러나듯 전반적으로 보면 경기력으로건 기록적으로건 우세한 스페인이 압도한 경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더 세밀하게 분석하면 전반전에는 스페인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으나, 독일의 골키퍼 [[옌스 레만]]이 스페인 공격수 [[페르난도 토레스]]에게 골을 허용한 이후 엄청난 방어력을 보여주며 말그대로 골문을 잠가버렸고, 이에 독일 선수들의 사기가 크게 상승해 후반전 들어선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다. 내로라하는 스페인의 중원 자원들도 [[토마스 히츨슈페르거]], [[미하엘 발락]],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토르스텐 프링스]] 등 피지컬 좋은 독일 중원의 조직적 압박에 꽤나 고전했는데, 물론 독일 역시 세밀함은 매우 떨어져 중원싸움은 그 패스 장인 스페인을 상대로도 제법 비등비등하게 끌고 가면서도 결국 슈팅 장면은 거의 만들지 못해 스페인에 비해 3배 적은 슈팅밖에 기록 못했고, 결국 하이라이트 영상에선 일방적으로 두들겨맞는 모습처럼 연출되었다. 특히 후반전 그렇게 대놓고 묻지마 크로스를 시도했으나 유효슈팅은 0인 극악의 결정력을 보여주었다. 전반전은 중원에서 개싸움이 일어난 가운데 스페인은 2선의 패스플레이가 생각보다 안풀리자 집요하게 토레스의 침투에 스루패스를 넣어주는 그림이었고, 독일은 측면을 통해 스페인의 높게 전진한 뒷공간을 노리는 그림이었다. 결국 집요하게 발빠른 토레스를 이용한 한방을 노린 스페인이 기어코 전반전 스루패스를 성공시키고 이를 받은 토레스가 독일의 뒷공간, [[필립 람]]과 [[옌스 레만]] 사이 종이 한 장 차이를 공략해내 이 날 결승골을 성공시켰다. 이날 독일은 [[미하엘 발락]]의 역할이 애매해지며 중원에서 거의 삭제되었고, 발락 개인도 컨디션이 안좋아 극악의 볼키핑력을 보여주며 볼을 자꾸 잃어대어 1인분도 못할 지경이었다. 피지컬적으로 우월한 발락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크로스나 세트피스 한방이 필요했는데 이 날은 그 부분마저도 신통치 않았다. [[필립 람]]과 [[루카스 포돌스키]]같은 발빠른 측면 자원들을 이용해 후방에서 볼을 뺏어 빠르게 전개하는 것까진 좋았는데, 역습이 중원을 거치면 계속 뺏기고 → 스페인은 높게 전진한 독일 뒷공간을 파고드는 토레스를 향한 롱패스 or 스페인의 측면 전진을 허용하는 양상이 계속되었다. 점유율만 대등하지 영양가가 하나도 없었다는 뜻.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역시 중원과 우측면을 오가며 어떻게든 패스길을 열어주고, 몇 차례 [[호안 카프데빌라]]와 지속적인 경합을 이겨내며 공격의 물꼬를 트려 노력했으나 슈팅까지 연결된 장면은 거의 없었다. 크로스를 배달하면 주구장창 스페인 수비에 차단당하거나 [[이케르 카시야스]]가 끊어냈기 때문이다. 결국 후반 [[요아힘 뢰프]] 감독의 선택은 스페인처럼 한우물을 파기 위해 [[필립 람]] 대신 [[마르첼 얀센]]을, [[토마스 히츨슈페르거]]를 빼고 [[케빈 쿠라니]]를 투입해 중원으로 [[미로슬라프 클로제]], 쿠라니, 발락을 믿고 크로스를 주구장창 올려댔고, 선택 자체는 합리적으로 보였으나 쿠라니는 이날 최악의 폼을 보여주어 별 효과가 없었다. 스페인은 중원에서 고전하던 [[세스크 파브레가스]] 대신 뒷공간을 저격하기 더 좋은 [[샤비 알론소]]를 투입시키며 토레스의 침투 활용을 더더욱 극대화 시켰고, 세트피스 찬스마다 [[세르히오 라모스]]의 오버래핑으로 재미를 보며 후반 60분 경 약 2분만에 골이나 다름없는 슈팅찬스를 3~4회 양산해냈다. 후반 78분 토레스는 임무를 다하고 [[다니엘 귀사]]와 교체됐으며, 독일은 1점차로 밀리는 가운데 골을 더 내주던 동점골을 넣던 사생결단을 하겠다는 생각에 [[마리오 고메스]]를 투입시켜 뚝배기 투톱을 구성한 뒤 메르테사커고 메첼더고 나발이고 라인을 마구마구 높여대기 시작했고, 결국 패착으로 작용했다. 물론 [[루이스 아라고네스]] 감독은 촘촘한 3선을 구성한 뒤 역습으로 맞서는, 매우 상대의 움직임에 효과적인 맞춤 대응으로 응수해 라인을 올려봤자 슈팅은 스페인만 때리는 그림을 만들어주었다. 독일은 이에 반해 크로스 성공률이 0에 수렴하며 원하는 공격작업을 전혀 완수하지 못했다. 결국 후반 막판까지 집중력 있는 수비와 효과적인 역습을 보여준 스페인은 최종 스코어 결과 '''1대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 총평 == 스페인은 [[페르난도 토레스]]의 결승골로 독일을 누르고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1964|1964년]] 이후 '''44년만에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미하엘 발락|콩락]]의 전설은 2008년에도 쭉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부터 시작된 스페인의 황금세대는 유로 2008 우승을 시작으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년 남아공 월드컵]]까지 제패하는데[* 스페인 최초의 월드컵 우승.] 이어, [[UEFA 유로 2012|유로 2012]]에서도 우승함으로써 '''메이저 대회 3연패'''라는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 유로 2008 우승이 스페인 축구 전성기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한 셈이었다. 반면 독일은 확실히 전보단 나아진 모습을 보였으나, 일단 팀의 전술적인 측면에선 아직 가다듬지 못했고 소위 암흑시대를 종료시킨 영웅들인 미하엘 발락과 토르스텐 프링스, 옌스 레만의 노쇠화가 확연하게 드러난 대회라 볼 수 있다. 그러나 2년 뒤 남아공 월드컵에서부터 독일도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데니스 아오고]], [[안드레아스 벡]], [[사미 케디라]][* 케디라는 이미 2007년 [[VfB 슈투트가르트]]를 이끌고 분데스리가 정상에 오르면서 이미 독일 내에선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다.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날리기 시작한 건 월드컵에서의 활약 이후 [[레알 마드리드 CF]]로 이적하면서부터다.] 등 젊은 선수들이 우수수 쏟아져 나오면서 스페인의 전성기를 밀어내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리게 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include(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각주] [[분류:UEFA 유로 2008]][[분류: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결승전]][[분류: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분류:빈의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