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목차] == 개요 == [[파일:866b6caaade038ecc72c2d74bbe40165.jpg]] '''USS O'Bannon''' [[플레처급 구축함]]으로 [[1차 바르바리 전쟁]] 당시 전공을 세운 [[미 해병대]]의 '프레슬리 오베넌' 중위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942년 2월 19일 건조되어 1970년 1월 30일 퇴역하였고, 1972년에 스크랩 처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종군훈장 17개를 수여받아 종군훈장 순위에서 전체 4위에 이르렀다. 플레처급 네임쉽인 플레처와 마찬가지로 종전 당시까지 승무원을 하나도 잃지 않은 행운함이었다. 종전 이후 [[베트남 전쟁]] 시기까지 제7함대에 소속되어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아폴로 계획]] 당시 귀환하는 우주 비행사를 탐지하고 구출하는 임무에 배정되었다. == 감자 격침 사건 == 하지만 USS 오베넌이 인터넷 상에서 유명한 진짜 이유는, [[1943년]] [[4월 5일]] '''[[감자]]로 [[일본 해군]] 잠수함 [[로-34|ロ-34]]를 격침시켰기 때문이다!''' 작전 중 수십 m 전방에 부상해 있는 ロ-34를 발견하자 야간이었기 때문에 [[충각]] 공격으로 격침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기뢰부설함일 수도 있다는 이유로 충각공격을 중지했고, ロ-34의 승조원들은 갑판 위로 뛰쳐나와 함포를 조준하려고 했다. 그걸 막으려고 이것 저것 집어던지던 와중에 감자도 집어던졌는데, ロ-34의 승조원들이 어두운 밤이라 감자를 [[수류탄]]으로 착각했다. 감자를 배 밖으로 버리느라 ロ-34의 승조원들은 함포를 운용하지 못했고, 오베넌은 포격과 [[폭뢰]]로 ロ-34를 승조원 66명 총원과 함께 격침시켰다. 또한 감자가 지역 명물이던 [[메인주]] [[농부]]들이 이 소식을 듣고,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USS_O%27Bannon;PotatoPlaque.gif#mw-jump-to-license|오베넌 함 승조원들의 창의성을 찬양하는 기념패]]를 보냈다고. 이 부분은[[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피소드/2018년#s-1|2018년 1월 7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하지만 위 일화는 사실이 아니다. 상식적으로 [[수류탄]]과 [[감자]]를 구분못할 정도로 어두운 상황에서 감자를 되받아 던질 형편이 될리도 만무하거니와, 애초에 잠수함 선원들이 해치를 열고 밖으로 나와있을 이유도 없다. 결정적으로 오베넌의 함장이 직접 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심지어 이쪽에서 감자를 던진 일도 없다고 한다. 선내 요리사가 "잠수함이 감자를 던져도 맞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까지 접근했다." 라고 말한 것이 와전된 듯. 다만 기자들이 이를 진실인 양 보도했고, 아마도 감자를 홍보하고 싶었던, 농부들이 기념패를 증정한 것은 사실이다. 참고로 위 이야기를 사실이 아니라고 증언한 당시 USS 오베넌의 함장은 도널드 맥도널드(Donald MacDonald)였다. 그 [[맥도날드]]와는 딱 한 글자 차이.[[https://en.wikipedia.org/wiki/Donald_MacDonald_(army_officer)|#영문 위키백과]] == 제원 == |||| [[파일:866b6caaade038ecc72c2d74bbe40165.jpg]] || || 전체길이 ||114.7m|| || 전체 폭 ||12.1|| || 출력 ||35노트(65km/h, 40mph)|| || 최대속력 ||30.8kt|| || 승조원 ||320명|| || 주 엔진 ||60,000 shp(45 MW), 프로펠러 2개|| || 무장 ||5 × 5 in(127 mm)/38 cal. 곡사포 10 × 40 mm AA 포 7 × 20 mm AA 포 10 × 21인치(533 mm) 어뢰관 6 × 폭뢰 충전 프로젝터 2 × 폭뢰 충전 트랙||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플레처급 구축함, version=300)]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