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최근 이적시장, rd1=VCT Pacific 스토브리그/2023)] [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국제 리그)] ---- [include(틀: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 ||<-3> [[파일:600px-VCT_2023_Pacific_League_full_allmode.png|width=330]] || ||<-3> {{{+1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퍼시픽 리그'''}}}[br]{{{-1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 || '''정식 명칭''' ||<-2>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2023~ )^^''' || || '''출범 연도''' ||<-2> 2023년 ^^([age(2023-03-25)]주년)^^ || || '''지역''' ||<-2> [[아시아-태평양 지역]] || || '''운영 주체''' ||<-2> [[라이엇 게임즈]] || || '''컬러''' ||<-2> {{{+5 {{{#01D2D7 ■}}} {{{#000 ■}}}}}} || || '''약칭''' ||<-2> {{{#01D2D7 '''PAC'''}}} || || '''경기장''' ||<-2>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 ^^(2023 ~)^^ || || '''최근 우승팀''' ||<-2> [[Paper Rex/발로란트|Paper Rex]] ^^(2023)^^ || || '''최다 우승팀''' ||<-2> [[Paper Rex/발로란트|Paper Rex]] ^^(1회)^^ || || '''최다 우승자''' ||<-2> [[미정|[[파일:TBD_LOL.png|width=25]]]] [[미정]] || ||<#fff><-3> [[https://valorantesports.com/|[[파일:VCT_lastchance.png|width=20]]]] [[https://www.youtube.com/@VCTkr|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valorant_kr|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bj.afreecatv.com/valorant|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vctpacific|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vctpacific/|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ter.com/vctpacific|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GeIFpzH7rE)]}}} || || {{{+1 {{{#fff '''#MakeWaves'''}}}}}} ||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고 주관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발로란트]] 프로 1군 리그이며, [[발로란트 챔피언스 투어]] 국제 4대 리그에 속한다. == 참가팀 == [include(틀:VCT 퍼시픽 리그 참가팀)] === [[/참가팀 로스터|참가팀 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참가팀 로스터)] ==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역대 기록|역대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역대 기록)] === 역대 대회 === [include(틀:VCT Pacific League 역대 대회)] === 역대 우승팀 및 순위 === [include(틀:VCT Pacific 역대 우승팀)] ||<-5> [[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white VCT Pacific League (2023 ~ )}}}''' || || '''역대 대회'''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2023''' || [[Paper Rex]] || [[DRX VS/발로란트|DRX]] || [[T1/발로란트|T1]] || [[Gen.G Esports/발로란트|Gen.G]] || || '''2024 S1''' || || || || || ||<-20>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파일:valorant_asia_pacific_league_심볼.png|width=25]]]] '''{{{#fff VCT Pacific League 시즌 별 순위}}}''' || || '''{{{#fff 순위}}}''' ||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fff 2023}}}]]''' || '''{{{#fff 2024}}}''' || || 1 || '''[[Paper Rex|{{{#FFF PRX}}}]]''' || || || 2 || '''[[DRX VS/발로란트|{{{#FFF DRX}}}]]''' || || || 3 || '''[[T1/발로란트|{{{#fff T1}}}]]''' || || || 4 || '''[[Gen.G Esports/발로란트|{{{#aa8a00 GEN}}}]]''' || || || 5 || '''[[ZETA DIVISION/발로란트|{{{#FFF ZETA}}}]]''' || || || 6 || '''[[Team Secret/발로란트|{{{#000 TS}}}]]''' || || || 7 || '''[[Rex Regum Qeon/발로란트|{{{#131313 RRQ}}}]]''' || || || 8 || '''[[Global Esports/발로란트|{{{#fff GES}}}]]''' || || || 9 || '''[[Talon Esports/발로란트|{{{#fff TLN}}}]]''' || || || 10 || '''[[DetonatioN FocusMe/발로란트|{{{#2462ff DFM}}}]]''' || || || 11 || || || === 역대 우승자 === [include(틀:VCT Pacific 우승 선수)] [include(틀:VCT Pacific 우승 스태프)] === 역대 MVP === [include(틀:VCT Pacific 역대 정규시즌 MVP)] ---- [include(틀:VCT Pacific 역대 파이널 MVP)] === 역대 결승전 === [include(틀:VCT Pacific 역대 결승전)] ||<-2> '''{{{#fff 역대 결승전 개최 경기장}}}''' || || '''{{{#fff 시즌}}}''' || '''{{{#fff 경기장}}}''' || || '''[[2023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결승전|{{{#000 2023}}}]]''' || [[장충체육관]] || === 역대 관계자 === ==== 역대 중계진 ==== ===== 자국 ===== ====== 라이엇 코리아 ====== [include(틀:VCT Pacific League 한국중계진)] * [[정용검]] 캐스터(2023 ~) * [[채민준]] 캐스터(2023 ~) * 최광원 캐스터(2023 ~) * [[정인호]] 해설가(2023 ~ ) * [[빈본|김진영]] 해설가(2023 ~ ) * [[유정선(인터넷 방송인)|유정선]] 해설가(2023 ~ ) * [[박동진(해설가)|박동진]] 해설가(2023 ~ ) *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해설가(2023 ~ ) * [[조한규(e스포츠)|윌리엄]] 해설가(2023 ~ ) ===== 글로벌 ===== ==== 역대 인터뷰어 ==== [include(틀:역대 VCT Pacific 인터뷰어)] == 특징 == * 관할 지역은 '''동아시아[* 중국 제외]+동남아시아+남아시아+오세아니아'''로, 해당 지역의 국가 출신이면 로컬 자격을 가진다. 그렇다보니 [[VCT EMEA|EMEA 리그]]보다도 1지역 많은 총 10개 지역에서 챌린저스를 운영 중이며, 각각의 챌린저스가 관할하는 나라까지 합치면 굉장히 다양한 국적의 선수들이 로컬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다. * APAC의 지역별 세부 국가 명단은, [[https://docs.google.com/document/u/0/d/1WEZJT4cQk3rKl0iTcw8VkNepfhEiTvMY/mobilebasic|레드불 홈그라운드 대회 규정집(일본어)]]에서 발췌한 아래 표를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원문은 해당 링크의 별지 5번 참조.] || 대한민국 ||[[대한민국|대한민국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일본 ||[[일본|일본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일본 국기.svg|width=100%]]}}}]] || || 오세아니아 ||[[호주|호주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뉴질랜드|뉴질랜드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100%]]}}}]] | [[괌|괌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괌 기.svg|width=100%]]}}}]] | [[누벨칼레도니|누벨칼레도니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width=100%]]}}}]]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프랑스령 폴리네시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width=100%]]}}}]] | [[피지|피지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피지 국기.svg|width=100%]]}}}]] | [[북마리아나 제도|북마리아나 제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100%]]}}}]] || || 동남아시아 ||[[대만|대만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대만 국기.svg|width=100%]]}}}]] | [[홍콩|홍콩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홍콩 국기.svg|width=100%]]}}}]] |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100%]]}}}]] | [[마카오|마카오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마카오 국기.svg|width=100%]]}}}]] |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100%]]}}}]] | [[필리핀|필리핀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100%]]}}}]] | [[싱가포르|싱가포르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100%]]}}}]] | [[태국|태국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태국 국기.svg|width=100%]]}}}]] | [[베트남|베트남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100%]]}}}]] || || 남아시아 ||[[인도|인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인도 국기.svg|width=100%]]}}}]] | [[파키스탄|파키스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100%]]}}}]] | [[스리랑카|스리랑카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100%]]}}}]] | [[방글라데시|방글라데시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100%]]}}}]] | [[몰디브|몰디브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100%]]}}}]] | [[네팔|네팔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네팔 국기.svg|width=100%]]}}}]] | [[부탄|부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부탄 국기.svg|width=100%]]}}}]] | [[아프가니스탄|아프가니스탄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5px; padding:1px;background:rgba(45,47,52,.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100%]]}}}]] || 다만 해당 리스트는 라이엇 측에서 직접 밝힌 리스트가 아니기에 일부 국가가 빠져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브루나이]], [[동티모르]], [[파푸아뉴기니]] 등이 빠져 있다. 오세아니아 리그에서 파푸아뉴기니 국적의 M1ST 선수가 참가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보아([[https://liquipedia.net/valorant/VALORANT_Oceania_Tour/2021/Championship|Dire Wolves 로스터 참조]]) 이들 국가도 정황상 로컬 자격을 적용받을 것으로 보이나, 로스터 규정집에 따르면 세부적인 국가명은 언급되지 않은 채 "리그 영토"(League Territory)라고만 정의하고 있기에([[https://www.dropbox.com/sh/xfy0lbve0hdr0ju/AAAp3V0Ly-Jia7Utpbd-RE0Sa/Rules%20and%20Policies%202024?dl=0&preview=VCT24+Roster+Construction+Rules.docx.pdf&subfolder_nav_tracking=1|2.2.1 단락 참조]]) 공식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알려진 바는 없다.] 라이엇 측에서는 국가별로 어느 지역의 로컬에 해당하는지 공식적인 리스트를 발표한 적이 없어, 해당 리스트는 국가별 로컬 자격에 대한 윤곽을 잡기 위한 참고 자료로만 보는 것이 좋다. * 지역별 프랜차이즈 팀 분배는 크게 동남아 5팀([[Global Esports/발로란트|GE]][* GE의 연고지 인도는 엄밀히 분류하면 남아시아 소속이나, 3대 국제리그로 개편 이전 챌린저스 체제에서 동남아시아 챌린저스에 참가했기 때문에 편의상 여기로 분류하였다.], [[Paper Rex|PRX]], [[Rex Regum Qeon/발로란트|RRQ]], [[Talon Esports|TLN]], [[Team Secret/발로란트|TS]]), 한국 3팀([[DRX VS/발로란트|DRX]], [[Gen.G Esports/발로란트|GEN]], [[T1/발로란트|T1]][* 다만 T1의 경우 내부적으로 영어를 사용하며, 23년 스토브리그에서 인도네시아 국적의 [[케빈 수산토|xccurate]]를 영입하는 등 다른 2팀에 비해 다국적 팀 노선에 조금 더 가깝다.]), 일본 2팀([[ZETA DIVISION/발로란트|ZETA]], [[DetonatioN FocusMe|DF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북미 5팀+브라질 3팀+LATAM 2팀으로 프랜차이즈 팀이 구성된 [[VCT Americas|아메리카스 리그]]와 유사한 부분이다. * 동남아 팀들의 경우 [[ASEAN-5]] 국가에서 베트남을 빼고 인도가 들어가면 각 팀별 연고 국가와 일치한다.[* GE - 인도, PRX - '''말레이시아'''+싱가포르, RRQ - '''인도네시아''', TLN - '''태국''', TS - '''필리핀'''. 볼드체는 ASEAN-5 소속 국가이다.] === 장점 === === 단점 === == 역사 == == '''방송 플랫폼/다시 보기''' == * [[https://www.youtube.com/channel/UCv1tOT645xHOJrwdGlzjMaA|VCT 공식 유튜브]] * [[http://bj.afreecatv.com/valorant|아프리카TV]] * [[https://www.twitch.tv/valorant_kr|트위치TV 한국어 해설]] * [[https://www.twitch.tv/valorant_pacific|트위치TV 영어 해설]] * [[https://game.naver.com/esports|네이버 e스포츠]] == BGM == == 여담 == * 역대 캐치프레이즈 2023 Pacific League: '''MakeWaves''' == 관련 리그 및 대회 == [include(틀:발로란트 e스포츠 국제 대회)] ---- * [[VALORANT Masters]] * [[발로란트 챔피언스]] * [[VALORANT Challengers Korea]] == 관련 문서 == * [[e스포츠]] * [[라이엇 게임즈]] * [[발로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