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1년 노래]][[분류:hololive 프로덕션/노래]] ||<-2> {{{+2 Virtual Medley Lagu Daerah }}} || || '''가수''' ||[[hololive INDONESIA]]|| || '''노래''' ||[[아윤다 리스]], [[무나 호시노바]],[br][[아이라니 이오피프틴]], [[쿠레이지 올리]],[br][[아냐 멜핏사]], [[파볼리아 레이네]]|| || '''편곡''' ||Farhan Sarasin|| || '''영상''' ||Eveninglights|| || '''기타''' ||Raditya Mahendra|| || '''베이스''' ||Aubrey Situmorang|| || '''원곡''' ||원곡 문단 참조|| [목차] [clearfix] == 개요 == [[hololive INDONESIA|홀로라이브 ID]]가 2021년 8월 17일 [[인도네시아]] 독립 기념일을 맞이해서 전통민요 5개를 현대적으로 편곡한 곡이다. 각 노래가 특정 지역에서 불려지는 [[민요]]인 게 특징이다. == 영상 == [youtube(lFQW5S_xH1o)] == 원곡 == || {{{+2 {{{#fff Sik sik sibatumanikam}}}}}}[* [[북수마트라]]의 바탁어 민요다.][br]{{{#fff 자아 자아 춤추자}}} || {{{+2 {{{#fff Kicir Kicir}}}}}}[* [[자카르타]] 인근 지역 민요다.][br]{{{#fff 키치르 키치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hge8vfBrcQ)]}}}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0wTJULU2REc)]}}} || || {{{+2 {{{#fff Cublak Cublak Suweng}}}}}}[* [[자바 섬|자와]] 민요다.][br]{{{#fff 보석 상자}}} || {{{+2 {{{#fff Bungong Jeumpa}}}}}}[* [[아체어]] 민요다.][br]{{{#fff 붕옹즘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GXA4B8zlHM)]}}}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fZxIR9vRmk)]}}} || ||<-2> {{{+2 {{{#fff Apuse}}}}}}[* [[서파푸아]]의 비악어로 된 민요다.][br]{{{#fff 아푸세}}}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0uoKS7r78U)]}}} || == 가사 == [[로마자]] 가사는 자막 기준, [[한글]] 표기는 실제 [[발음]]을 위주로 썼으며, 혹시 영상이나 발음에서 틀린것이나 특이점이 있다면 주석으로 표기된다. || {{{#fff Sik sik sibatumanikam diparjoged}}} || || {{{#fff 식 식 시바투마니캄 디파르조겟}}} || || {{{#fff 자 자 춤꾼들과 춤을 추고}}}[* 이 부분 [[한국어]] 가사는 [[영어]]를 [[중역]]한 번역인데, 이는 바탁어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 {{{#fff sonamanigotam}}} || || {{{#fff 소나마니고탐}}} || || {{{#fff 즐거운 시간을 갖자}}} || || {{{#fff Dimanganginani[* 이건 본 영상 자막에서 나온 철자법이며, 원래 철자법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simambangkar jula-jula}}} || || {{{#fff 디망이나니[* "디망앙이나니"가 옳은 표기이나 발음상 "앙"이 생략 되었다.] 시맘방카르 줄라-줄라}}} || || {{{#fff 모임에서, 모두 앞에서}}} || || {{{#fff Simambangkar jula-jula}}} || || {{{#fff 시맘방카르 줄라줄라}}} || || {{{#fff 모두 앞에서}}} || || {{{#fff Kicir kicir ini lagunya}}} || || {{{#fff 키치르 키치르 인[* "이니"가 옳은 발음이나 실제 발음에서는 뒤에 모음이 생략 되었다.] 라구냐}}} || || {{{#fff 키치르 키치르가 이 노래의 이름}}} || || {{{#fff Lagu lama ya tuan dari Jakarta}}} || || {{{#fff 라구 라마 야 투안 다리 자카르타}}} || || {{{#fff 자카르타의 옛 노래입니다, 여러분}}} || || {{{#fff Saya menyanyi ya tuan memang sengaja}}} || || {{{#fff 사야 머냐니 야 투안 메망 성아자[* [[인니어]]에서 e는 상황에 따라서 ᅟᅥ 발음과 ᅟᅦ 발음을 오간다.]}}} || || {{{#fff 제 여러분들 위해 이 노랠 부르고 싶었죠}}} || || {{{#fff Untuk menghibur menghibur hati yang duka}}} || || {{{#fff 운툭 멍히부르 멍히부르 하티 양 두카}}} || || {{{#fff 슬퍼하는 마음을 위로해 주려고}}} || || {{{#fff Burung dara burung merpati}}} || || {{{#fff 부룽 다라 부룽 머르파티}}} || || {{{#fff 비둘기랑 맷비둘기}}} || || {{{#fff Terbang cepat ya tuan tiada tara}}} || || {{{#fff 터르방 처팟 야 투안 티아다 타라}}} || || {{{#fff 다 날라가버려 사라지네요}}} || || {{{#fff Bilalah kita ya tuan suka menyanyi}}} || || {{{#fff 빌랄라 키타 야 투안 수카 머냐니}}} || || {{{#fff 만약 여러분이 노래 하는게 좋으시다면}}} || || {{{#fff Badanlah sehat ya tuan hati gembira}}} || || {{{#fff 바단라 세핫 야 투안 하티 검비라}}} || || {{{#fff 몸도 건강 하시고 마음도 행복하시길}}} || || {{{#fff Cublak-cublak suweng}}}[* 이 부분은 전반적으로 자막과 실제 곡이 서로 미묘하게 안맞는데, 댓글에 [[인도네시아인]]들의 말로는 특히 이 부분에 [[쿠레이지 올리|올리]]가 유별나게 자와 지역 억양이 심했다고 하는데 이것과 연관된듯 하다.] || || {{{#fff 춥락-춥락 수웡}}} || || {{{#fff 아름다운 보석함}}} || || {{{#fff Suwengé teng gelèntèr}}} || || {{{#fff 수웡야[* 수웡에가 옳은 가사인데 왠지 수웡야로 발음 되었다.] 텡 겔렌테르}}} || || {{{#fff 보석을 흩어졌네}}} || || {{{#fff Mambu ketundhung gudèl}}} || || {{{#fff 맘부 커툰둥 구델 }}} || || {{{#fff 물소가 냄새를 맡고}}} || || {{{#fff Pak Empong léra-léré}}} || || {{{#fff 팍 엄퐁 레라 레레 }}} || || {{{#fff 이빠진 노인이 두리번거리네}}} || || {{{#fff Sapa ngguyu ndhelikaké}}} || || {{{#fff 사파 응구유 은델릭아케}}} || || {{{#fff 웃는 건 숨긴 사람}}} || || {{{#fff Sir, sir pong dhelé kopong}}} || || {{{#fff 시르 시르 퐁 덜레 코퐁}}} || || {{{#fff 빈 콩깍지 같은 영혼}}} {{{#B18904 '''X2'''}}} || || {{{#fff Bungong Jeumpa Bungong Jeumpa}}} || || {{{#fff 붕옹 즘파 붕옹 즘파}}}[* 이 부분 전반적으로 [[아체어]]의 'eu' 발음이 올바른 ᅟᅳ가 아닌 ᅟᅦ 발음과 ᅟᅮ 발음등을 오가곤 하는데, 이는 홀로ID의 멤버들 중에 [[아체]] 출신이 없어서 이를 지적해 줄 사람이 없어서인듯 하다. 여기에서는 상기된 원칙에 예외로 실제 발음과 상관없이 해당 발음을 ᅟᅳ 로 통일 표기한다.] || || {{{#fff 챰파카 꽃이여 챰파카 꽃이여}}} || || {{{#fff Meugah di Aceh}}} || || {{{#fff 므가 디 아체}}} || || {{{#fff 유명한 아체의 꽃}}} || || {{{#fff Bungong teuleubeh teuleubeh}}} || || {{{#fff 붕옹 틀르베 틀르베}}} || || {{{#fff 아름답고 멋진 꽃}}} || || {{{#fff Indah lagoina}}} || || {{{#fff 인다 라고이나}}} || || {{{#fff 정말 매력적이구나}}} || || {{{#fff Puteh kuneng meujampu mirah}}} || || {{{#fff 푸테 쿠넹 므잠푸 미라}}} || || {{{#fff 하양과 노랑, 붉은색이 뒤섞인}}} || || {{{#fff Bungong si-ula indah lagoina}}} || || {{{#fff 붕옹 시-울라 인다 라고이나}}} || || {{{#fff 정말 아름다운 한 송이 꽃}}} || || {{{#fff Apuse kokondao}}} || || {{{#fff 아푸세 코콘다오}}} || || {{{#fff 할머니 할아버지 전 갑니다}}}[* 이 부분 [[한국어]] 가사는 [[영어]]를 중역한 번역인데, 이는 비악어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 {{{#fff Yarabe soren doreri}}} || || {{{#fff 야라베 소렌 도레리}}} || || {{{#fff 머나먼 도레리 만으로}}} || || {{{#fff Wuf lenso bani nema baki pase}}} || || {{{#fff 우프 렌소 바니 네마 바키 파세}}} || || {{{#fff 손수건 흔들면서, 제 손으로, 할머니 할아버지 위해}}} || || {{{#fff Arafabye aswarakwar}}} || || {{{#fff 아라파볘 아스와라콰르}}} || || {{{#fff 아쉽구나 내 손자야}}} || || {{{#fff Arafabye aswarakwar}}} || || {{{#ffffff 아라파볘 아스와라콰르}}} || || {{{#ffffff 아쉽구나 내 손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