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milet의 음반, rd1=visions(milet))] ||<#000> '''{{{#fff Visions의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esident Adviso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52)] ---- ||<#FFFFFF><:>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70]]]] ||<#FFFFFF,#1F2023>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000,#fff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br]{{{+5 50위}}}'''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최고의 40대 댄스 앨범)]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36)]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8)]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90)]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6)] ---- [include(틀:AllMusic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Northern Transmissions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5)] ---- [include(틀:Gorilla vs. Bear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 || |||| '''{{{+1 ''Visions''}}}'''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그라임스 Visions.jpg|width=100%]]}}} || || '''아티스트''' || [[그라임스]] || || '''발매일''' || [[2012년]] [[2월 21일]] || || '''장르''' || [[신스팝]], [[드림 팝]], [[아트 팝]] || || '''길이''' || 48:04 || || '''곡 수''' || 13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2년 1월 31일 발매된 [[그라임스]]의 3집 정규 음반. 1집 Geidi Primes와 2집 Halfaxa가 좋은 평을 받으면서 그라임스는 많은 리스너들이 주목하는 아티스트가 되었고, [[리케 리]] 등 가수들의 투어에서 오프닝 무대를 맡는 등 점점 인지도를 높혀간다.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그라임스는 2011년 8월 3주 동안 집에 틀어박혀서 이 음반을 작업했고, 이 음반은 "정신적 고통에서의 한 걸음"이자 "희망을 바라보고 있는 음반"이라고 한다. [[GarageBand]]로 이 앨범을 만들었다고 한다.--장인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 평가 == ||
<#000000>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50]]]] || || '''[[https://www.metacritic.com/music/visions|{{{#FFFFFF 스코어 80/100}}}]]''' || ||<:><#fff,#191919>{{{#!folding [ 상세 리뷰 ] ||[[AllMusic]]||4/5|| ||The A.V. Club||A−|| ||Entertainment Weekly||B+|| ||[[더 가디언]]||4/5|| ||[[NME]]||8/10|| ||[[피치포크 미디어]]||8.5/10|| ||[[롤링 스톤]]||3/5|| ||[[스핀(잡지)|스핀]]||7/10|| }}}|| [[메타크리틱]]에서 총 80점을 받았으며, 짧은 작업 기간에 비해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하면서 많은 평론가들로 부터 극찬을 받는다. 이 음반의 자연스러운 전개와 특유의 아방가르드함은 엄청난 찬사를 받았으며, 매체에서는 그라임스는 이 음반이 끝이 절대 아니며, [[Art Angels|앞으로도 끝없는 성장이 가능한 뮤지션]]이라고 평가한다. 2010년대 아트 팝, 드림 팝 부분에서 명작으로 손꼽히며, 수록곡 Oblivion은 PopMatters와 [[피치포크 미디어]]에서 2012년 올해의 싱글 부문에서 1위에 선정하기도 한다. == 트랙 리스트 == ||<-2><#000>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 1 || Infinite ♡ Without Fulfillment || || 2 || Genesis || || 3 || Oblivion || || 4 || Eight || || 5 || Circumambient || || 6 || Vowels = Space and Time || || 7 || Visiting Statue || || 8 || Be a Body (侘寂) || || 9 || Colour of Moonlight (Antiochus) (Feat. Doldrums) || || 10 || Symphonia IX (My Wait Is U) || || 11 || Nightmusic (Feat. Majical Cloudz) || || 12 || Skin || || 13 || Know the Way || ||||<#000> {{{#FFF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 || || 14 || Christmas Song (Feat. Jay Worthy) || ||||<#000> {{{#FFF 일본판 보너스 트랙}}} || || 14 || Life After Death || || 15 || Ambrosia || ||||<#000> {{{#FFF 아마존 보너스 트랙}}} || || 14 || Angel || [[분류:그라임스]][[분류:2012년 음반]][[분류:캐나다의 팝 음반]][[분류:일렉트로니카 음반]][[분류:신스팝]][[분류:드림 팝]][[분류:아트 팝]][[분류:일렉트로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