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0000> {{{#D3D3D3 {{{+1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23)'''}}}[br]''' ''WWE Elimination Chamber (2023)'' '''}}} || ||<|11><:><#000000> [[파일:EC2023.jpg|width=100%]] || ||<-10><:><#000000> '''[[WWE|{{{#0066CC WWE}}}]]''' '''{{{#0066CC 개최}}}'''[br]'''{{{#0066CC C4 에너지 드링크 제공}}}''' '''[[PPV|{{{#0066CC PLE}}}]]''' || ||<-1><:><#000000> {{{#FF0066 '''개최일'''}}} ||<-9><:><#000000> {{{#FF0066 '''2023년 2월 18일 토 20시^^E^^/17시^^P^^'''[br]''韓'' 2023년 2월 19일 일 10시 [[IB SPORTS|[[파일:IB SPORTS_new.png|height=14]]]] [[https://bj.afreecatv.com/wwe1|[[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A [[IB 스포츠]]와의 제휴를 통해 [[IB 스포츠]] 방영분을 동시 재송출]}}} || ||<-1><:><#000000> {{{#0066CC '''경기장'''}}} ||<-9><:><#000000> {{{#0066CC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 [[상트흐 벨|{{{#0066CC 벨 센터}}}]]'''[br]''Bell Centre, Montreal, Quebec, Canada''}}} || ||<-1><:><#000000> {{{#FF0066 '''테마곡'''}}} ||<-9><#000000><:> {{{#FF0066 ''[[스킬렛(밴드)|{{{#ff0066 Skillet}}}]]'' '''"Psycho In My Head"'''}}}[[https://youtu.be/5Ubu_0RvDws|#]] || ||<-1><:><#000000> {{{#0066CC '''관중집계'''}}} ||<-9><:><#000000> '''{{{#0066CC 17,271명}}}''' || ||<-10><:><#FF0066> || ||<-10><:><#000000> {{{#D3D3D3 '''WWE의 PLE'''}}} || ||<-3><:><#000000> [[WWE 로얄럼블(2023)|{{{#FF0066 로얄럼블}}}]] ||<-4><:><#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3)|{{{#0066CC 엘리미네이션 챔버}}}]] ||<-3><:><#000000> [[WWE 레슬매니아 39|{{{#FF0066 레슬매니아 39}}}]] || ||<-10><:><#000000> [[엘리미네이션 챔버|{{{#D3D3D3 '''엘리미네이션 챔버'''}}}]] || ||<-3><:><#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2)|{{{#FF0066 2022}}}]] ||<-4><:><#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3)|{{{#0066CC 2023}}}]] ||<-3><:><#000000>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24)|{{{#FF0066 2024}}}]] || ||<-1><:><#000000> '''{{{#D3D3D3 포스터 모델: [[새미 제인|{{{#D3D3D3 새미 제인}}}]], [[로만 레인즈|{{{#D3D3D3 로만 레인즈}}}]]}}}''' ||<-10><:><#000000> {{{#D3D3D3 ''' ''"THERE IS NO SHELTER FROM THIS STORM"'' '''}}} || [목차] [clearfix] == 개요 ==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 2023은 올해로 13번째를 맞이하는 WWE의 PLE이다. == 대립 배경 == ===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파일:EC2023_WWE_United_States_Championship_Elimination_Chamber_Match_V2.jpg]] [[오스틴 씨어리]] VS [[몬테즈 포드]] VS [[브론슨 리드]] VS [[데미안 프리스트]] VS [[쟈니 가르가노]] VS [[세스 롤린스]] ===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넘버 원 컨텐더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파일:EC2023_WWE_RAW_Women's_Championship_Contender_Elimination_Chamber_Match_V2.jpg]] [[아스카(프로레슬러)|아스카]] VS [[카멜라]] VS [[라켈 로드리게즈]] VS [[니키 크로스]] VS [[나탈리아 네이드하트|나탈리아]] VS [[리브 모건]] 승자는 [[WWE 레슬매니아 39]]에서 RAW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에지(프로레슬러)|에지]] & [[베스 피닉스]] VS [[저지먼트 데이(스테이블)|저지먼트 데이]] === [[파일:EC2023_Mixed_Tag_Team_Match_V2.jpg]] 혼성 태그팀 매치 === [[바비 래쉴리]] VS [[브록 레스너]] === [[파일:EC2023_Lashley_Lesnar.jpg]] > '''The All Mighty vs. The Beast Incarnate''' [[WWE 크라운 주얼(2022)|작년 크라운 주얼]]에서 브록 레스너에게 패한 것을 인정할 수 없는 바비 래쉴리는 브록 레스너에게 허트 락을 걸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브록 레스러는 오스틴 씨어리와의 U.S 챔피언십 매치에 난입해 바비 래쉴리를 패하게 만들어 챔피언 등극에 실패하게 만든다. 이후로 매주마다 둘간의 대립이 이어지며 [[WWE 로얄럼블(2023)|로얄럼블]]에서 바비 래쉴리가 브록 레스너를 탈락시키고, 엘리미네이션 챔버에서 둘간의 3차전이 확정된다. === [[로만 레인즈]] VS [[새미 제인]] === [[파일:EC2023_Undisputed_WWE_Universal_Championship_V2.jpg]] [[WWE 챔피언십|통합 WWE]]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유니버설 챔피언십]] >'''Head Of The Table vs. The Master Strategist''' [[WWE 로얄럼블(2023)|지난 로얄럼블]]에서 우정을 선택한 새미 제인에게 돌아온 것은 로만 레인즈의 처절한 응징이었다. 이후 2월 3일 스맥다운에서 험담을 하고 있는 로만을 급습하여 챔피언십 도전을 선언하였고 로만이 받아들이며 경기가 확정되었다. == 대진표 및 결과 == ||<|3><:>
<#000000> ||<-3><:><#000000> '''{{{#FF0066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FF0066 <4점>}}}'''[br]'''{{{#FF0066 ''승자는 레슬매니아 39에서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000000> ✅'''[[아스카(프로레슬러)|{{{#0066CC 아스카}}}]]''' ||<:><#000000> '''[[카멜라|{{{#0066CC 카멜라}}}]]''' ||<:><#000000> '''[[라켈 로드리게즈|{{{#0066CC 라켈 로드리게즈}}}]]''' || ||<:><#000000> '''[[니키 크로스|{{{#0066CC 니키 크로스}}}]]''' ||<:><#000000> '''[[나탈리아 네이드하트|{{{#0066CC 나탈리아}}}]]''' ||<:><#000000> '''[[리브 모건|{{{#0066CC 리브 모건}}}]]''' || ||<|2><:>
<#000000> ||<-2><:><#000000> '''{{{#FF0066 싱글 매치}}} {{{#FF0066 <2.25점>}}}''' || ||<:><#000000> ✅'''[[바비 래쉴리|{{{#0066CC 바비 래쉴리}}}]]'''[* DQ 승.] ||<:><#000000> '''[[브록 레스너|{{{#0066CC 브록 레스너}}}]]''' || ||<|2><:>
<#000000> ||<-2><:><#000000> '''{{{#FF0066 혼성 태그팀 매치}}} {{{#FF0066 <4점>}}}''' || ||<:><#000000> ✅️'''[[에지(프로레슬러)|{{{#0066CC 에지}}}]] {{{#0066CC &}}} [[베스 피닉스|{{{#0066CC 베스 피닉스}}}]]''' ||<:><#000000> '''[[저지먼트 데이(스테이블)|{{{#0066CC 저지먼트 데이}}}]]'''[* [[핀 밸러]]와 [[리아 리플리]]가 출전한다. [[도미닉 미스테리오]]는 세컨드로, [[데미안 프리스트]]는 남성부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참전으로 불참.] || ||<|3><:>
<#000000> ||<-3><:><#000000>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FF0066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FF0066 <4.5점>}}}'''[br]'''{{{#FF0066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오스틴 씨어리|{{{#0066CC 오스틴 씨어리}}}]]''' ||<:><#000000> '''[[몬테즈 포드|{{{#0066CC 몬테즈 포드}}}]]''' ||<:><#000000> '''[[브론슨 리드|{{{#0066CC 브론슨 리드}}}]]''' || ||<:><#000000> '''[[데미안 프리스트|{{{#0066CC 데미안 프리스트}}}]]''' ||<:><#000000> '''[[쟈니 가르가노|{{{#0066CC 쟈니 가르가노}}}]]''' ||<:><#000000> '''[[세스 롤린스|{{{#0066CC 세스 롤린스}}}]]''' || ||<|2><:>
<#000000> ||<-2><:><#000000> '''[[WWE 챔피언십|{{{#FF0066 통합 WWE}}}]]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FF0066 유니버설 챔피언십}}}]] {{{#FF0066 <4.7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로만 레인즈|{{{#0066CC 로만 레인즈}}}]]''' ||<:><#000000> '''[[새미 제인|{{{#0066CC 새미 제인}}}]]''' || == 여담 == * 2009년 [[WWE 브레이킹 포인트]] 이후 14년 만에 벨 센터에서 개최되는 WWE PLE이며 이 날 벨 센터의 관중들은 매우 뜨거운 반응을 보여줬는데 특히 캐나다 출신인 에지와 새미 제인이 등장할 때는 그들의 등장 음악을 떼창할 정도로 아주 큰 환호를 보냈으며 반대로 도미닉이 링에서 뭔가를 하거나 로만 레인즈가 등장할 때는 FUCK YOU 챈트가 나오기도 했다. 특히 로만은 등장 내내 관중들의 야유가 너무 커서 등장 음악이 들리지 않을 정도였다. 이 때문에 관중들의 적극적인 리액션이 엘리미네이션 챔버를 더욱 재밌게 해줬다는 평이 많다. * 로얄럼블도 열리기 전에 커뮤니티에서 [[https://twitter.com/ItsWrestleWorld/status/1617714966060232704|새미 제인을 모델로 한 포스터가 유출]]되었지만 유출을 의식한건지 정식 포스터는 다른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 엘리미네이션 챔버 경기 중에서는 최초로 [[US 챔피언십]]이 치러지게 되었다.[* 2선급 타이틀로 처음 진행된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는 [[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5)|8년 전]]에 있었던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IC 챔피언십]]이며 이외에도 태그팀 챔피언십이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로 치러진 적이 있다.] 또한 남성부 경기의 참가 멤버들은 전원 NXT 출신이다. * [[우소즈]]는 [[지미 우소]]의 [[음주운전]] 이력으로 [[캐나다]] 입국이 불가한지라 2023년 2월 10일 스맥다운에서 [[케이페이브|우소즈는 집에서 TV로 엘리미네이션 챔버를 보라]]는 로만 레인즈의 지시가 나옴에 따라 불참할듯 보였지만, 심판이 기절해있는 틈에 지미 우소가 나와서 새미 제인을 공격했으며 [[제이 우소]]도 역시 경기 막판에 난입해 로만에게 의자를 받아 새미에게 체어샷을 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주저하다가 새미의 스피어를 대신 맞고 말았다.[* 이에 대해선 엘리미네이션 챔버 개최 일주일 전 [[데이브 멜처]]가 우소즈의 캐나다 입국 제한이 풀렸다는 소식을 전하였다. [[https://www.bodyslam.net/2023/02/12/both-usos-have-been-cleared-to-travel-to-canada-ahead-of-elimination-chamber/|#]]] * US 챔피언십은 RAW 선수들만이 나오는데 비해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도전자 결정전은 스맥다운 선수들도 출전한다. * 국내 중계는 정찬우 캐스터와 조경호 해설이 맡았는데 US 챔피언십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에서 조경호 해설은 롤린스와 가르가노 이후에 나올 선수들을 3번 연속 틀리면서 소소한 재미를 주었고. 정찬우 캐스터는 브론슨 리드의 이전 링네임과 현재 링네임을 활용한 언어 유희로[* "인디 시절 '''조나''' 셌던 '''브론슨'''이 경기를 '''리드'''하고 있다."] 웃음을 선사했고 로만 레인즈가 등장했을 때 "FUCK YOU ROMAN" 챈트가 울려퍼지자 관중들이 로만에게 법규를 지켜라고 외치고 있다고 재치있는 멘트를 남겼다. * [[아스카(프로레슬러)|아스카]]가 여성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에서 승리하며 로얄럼블, 머니 인 더 뱅크, 엘리미네이션 챔버 매치에서 전부 승리한 첫 여성 선수가 되었다.[* 남성 선수로는 [[존 시나]], [[랜디 오턴]], [[에지(프로레슬러)|에지]], [[브록 레스너]]가 있다.] [각주] [[분류:WWE 엘리미네이션 챔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