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0000> {{{#D3A129 {{{+1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2020)'''}}}[br]''' ''WWE Clash of Champions (2020)'' '''}}} || ||<|11><:><#000000> [[파일:WWE Clash of Champions 2020 Official Poster.jpg|width=100%]] || ||<-10><:><#000000> '''[[WWE|{{{#D3A129 WWE}}}]]''' '''{{{#D3A129 개최,}}}''' '''[[WWE 게임 시리즈#s-3.8|{{{#D3A129 WWE 2K 배틀그라운즈,}}}]]''' '''[[현대자동차|{{{#D3A129 현대자동차}}}]]''' '''{{{#D3A129 제공}}}''' '''[[PPV|{{{#D3A129 PPV}}}]]''' || ||<-1><:><#D3A129> {{{#000000 '''개최일'''}}} ||<-9><:><#D3A129> [[서머타임|{{{#000000 '''(''__*DST__'')'''}}}]] {{{#000000 '''2020년 9월 27일 일 19시^^E^^/16시^^P^^'''[br]''韓'' 2020년 9월 28일 월 09시}}} || ||<-1><:><#000000> {{{#D3A129 '''경기장'''}}} ||<-9><:><#000000> {{{#D3A129 '''플로리다 주 올랜도 [[암웨이 센터|{{{#D3A129 암웨이 센터}}}]]'''[br]''Amway Center, Orlando, Florida''}}} || ||<-1><:><#D3A129> {{{#000000 '''테마곡'''}}} ||<-9><#D3A129><:> {{{#000000 ''The Score'' '''"The Champion"'''}}} || ||<-1><:><#000000> {{{#D3A129 '''관중집계'''}}} ||<-9><:><#000000> '''{{{#D3A129 무관중 (WWE 썬더돔)}}}''' || ||<-10><:><#000000> || ||<-10><:><#D3A129> {{{#000000 '''WWE의 PPV'''}}} || ||<-3><:><#D3A129> [[WWE 페이백(2020)|{{{#000000 페이백}}}]] ||<-4><:><#000000>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20)|{{{#D3A129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3><:><#D3A129> [[WWE 헬 인 어 셀(2020)|{{{#000000 헬 인 어 셀}}}]] || ||<-10><:><#D3A129> {{{#000000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 ||<-3><:><#D3A129>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19)|{{{#000000 2019}}}]] ||<-4><:><#000000>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20)|{{{#D3A129 2020}}}]] ||<-3><:><#D3A129> || ||<-1><:><#000000> '''{{{#D3A129 포스터 모델: [[드류 맥킨타이어|{{{#D3A129 드류 맥킨타이어}}}]], [[베일리(프로레슬러)|{{{#D3A129 베일리}}}]], [[아스카(프로레슬러)|{{{#D3A129 아스카}}}]], [[로만 레인즈|{{{#D3A129 로만 레인즈}}}]]}}}''' ||<-10><:><#000000> {{{#D3A129 ''' ''"GOLD RUSH"'' '''}}} || [목차] == 개요 ==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20)은 기존 PPV인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가 브랜드 분리 이후 이름이 변경된 PPV로, 2018년을 건너뛰면서 올해로 4회차를 맞이했으며 명칭에 어울리게 부킹된 모든 경기가 챔피언십 매치다. == 대립 배경 == === [[드류 맥킨타이어]] VS [[랜디 오턴]] === [[파일:COC2020_WWE_Championship.jpg]] [[WWE 챔피언십]] 앰뷸런스 매치 2020년 8월 31일 RAW에서 열린 트리플 쓰렛 도전자 결정전[* 참가자: 랜디 오턴, 키스 리, 세스 롤린스]에서 오턴이 승리하며 다시 도전권을 획득했으며 9월 14일 RAW에서 WWE PD 애덤 피어스가 랜디 오턴이 어느 정도 심한지 불확실 하여 키스 리가 잠정적인 도전자가 될 수 있다고 발표하였지만 21일에 랜디 오턴이 복귀했다. === [[나이아 잭스]] & [[셰이나 베이즐러]] VS [[라이엇 스쿼드]] === [[파일:COC2020_Women's_Tag_Team_Championship.jpg]]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8월 31일에 라이엇 스쿼드가 아이코닉스([[빌리 케이]] & [[페이튼 로이스]])를 상대로 이기면서 도전권을 얻었지만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당일 WWE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온 속보에서 [[https://www.wwe.com/article/breaking-news-regarding-two-wwe-clash-of-champions-matches|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경기와 함께 경기 취소가 결정]]되었고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경기는 9월 28일자 RAW에서 결정이 될 것이라 밝혔다.[* 경기가 연기된 이유가 최근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나왔고 그중 셰이나는 [[다코타 카이]]랑 함께 지내는것으로 밝혀져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자가격리에 들어가 경기가 취소되었다.] === [[로만 레인즈]] VS [[제이 우소]] === [[파일:COC2020_Universal_Championship.jpg]]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2020년 9월 4일 스맥다운에서 열린 페이탈 4 웨이 넘버원 컨텐더 매치[* 참가자: [[맷 리들]], [[킹 코빈]], [[셰이머스]], 제이 우소]에서 제이가 승리를 거두면서 도전자격을 따냈다. [[아노아이 가문|친척]]끼리 타이틀을 걸고 대결하게 된 셈. === [[베일리(프로레슬러)|베일리]] VS [[니키 크로스]] === [[파일:COC2020_SD_Women's_Championship.jpg]]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2020년 9월 11일 스맥다운에서 열린 페이탈 4 웨이 넘버원 컨텐더 매치[* 참가자: [[알렉사 블리스]], 니키 크로스, [[타미나]], [[레이시 에반스]]]에서 니키 크로스가 승리를 거두면서 도전자격을 얻었지만,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당일 니키의 불참 소식으로 오픈 챌린지가 되었고 아스카가 대타로 경기를 가지게 되었다.[* 오픈 챌린지로 변경된 이유가 최근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들이 대거 나왔고 그중엔 니키의 남편인 [[킬리언 데인]]이 확진자들과 함께 있는걸로 밝혀져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자가격리에 들어가 불참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 [[나카무라 신스케]] & [[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세자로]] VS [[루차 하우스 파티]] === [[파일:COC2020_SD_Tag_Team_Championship.jpg]]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킥오프 경기 === [[아스카(프로레슬러)|아스카]] VS [[젤리나 베가]] === [[파일:COC2020_RAW_Women's_Championship.jpg]]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메인 로스터 승격 이후 줄곧 매니저 역할만 하던 젤리나가 9월 14일 RAW에서 아스카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그 후, 9월 21일 RAW에서 [[미키 제임스]]를 꺾고 도전권을 획득했다. === [[제프 하디]] VS [[AJ 스타일스]] VS [[새미 제인]] === [[파일:COC2020_IC_Championship.jpg]]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래더 매치 >'''The Charismatic Enigma vs. The Phenomenal One vs. The Great Liberator''' 코로나로 인해 활동이 잠시 중단되어버린 새미 제인이 당시 보유하고 있던 인컨챔을 박탈당한 후에도 트위터 등으로 자신은 아직 인컨챔의 자격이 있다며 이후의 챔피언 벨트를 부정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공석이 된 자리를 AJ스타일스가 토너먼트를 통해 승리하며 새로운 챔피언에 올랐지만 이후, 제프하디와의 방어전에서 제프가 무릎에 차고있던 보호대에 얼굴을 피격, 석연찮은 패배를 통해 벨트를 뺏기게 된다. 이후 AJ스타일스는 당시 챔피언쉽 경기를 부정하며 계속 제프하디를 비꼬며 돌고, 거기에 복귀한 새미 제인까지 챔피언이 여전히 자신임을 주장하며 신경전을 펼치자 9월 18일 스맥다운에서 제프 하디는 '너희들 모두에게 승리하겠다'고 선언하며 매치가 잡히게 된다. === [[바비 래쉴리]] VS [[아폴로 크루즈]] === [[파일:COC2020_US_Championship.jpg]]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 [[스트리트 프로피츠]] VS [[안드라데 엘 이돌로|안드라데]] & [[엔젤(프로레슬러)|엔젤 가르자]] === [[파일:COC2020_RAW_Tag_Team_Championship.jpg]]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 9월 21일 RAW에서 열린 넘버원 컨텐더 트리플 쓰렛 매치[* 참가팀: [[움베르토 카리요]] & [[도미닉 미스테리오]], [[세스 롤린스]] & [[머피(프로레슬러)|머피]], 안드라데 & 엔젤 가르자]에서 안드라데와 가르자가 승리하며 도전권을 얻었다. == 대진표 및 결과 == ||<|2><:>
<#000000> ||<-2><:><#D3A129>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000000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킥오프)}}}]] {{{#000000 <2.7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나카무라 신스케|{{{#D3A139 나카무라 신스케}}}]] {{{#D3A129 &}}} [[클라우디오 카스타뇰리|{{{#D3A129 세자로}}}]]''' ||<:><#000000> '''[[루차 하우스 파티|{{{#D3A129 루차 하우스 파티}}}]]''' || ||<|2><:>
<#000000> ||<-3><:><#D3A129>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000000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000000 <4.25점>}}}'''[br]'''{{{#000000 트리플 쓰렛 래더 매치}}}'''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제프 하디|{{{#D3A139 제프 하디}}}]]''' ||<:><#000000> '''[[AJ 스타일스|{{{#D3A139 AJ 스타일스}}}]]''' ||<:><#000000> ✅'''[[새미 제인|{{{#D3A139 새미 제인}}}]]''' || ||<|2><:>
<#000000> ||<-2><:><#D3A129> '''[[WWE 24/7 챔피언십|{{{#000000 WWE 24/7 챔피언십}}}]]'''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R-트루스|{{{#D3A139 R-트루스}}}]]''' ||<:><#000000> ✅'''[[드류 굴락|{{{#D3A129 드류 굴락}}}]]''' || ||<|2><:>
<#000000> ||<-2><:><#D3A129>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000000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 {{{#000000 <2.2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아스카(프로레슬러)|{{{#D3A139 아스카}}}]]''' ||<:><#000000> '''[[젤리나 베가|{{{#D3A139 젤리나 베가}}}]]''' || ||<|2><:>
<#000000> ||<-2><:><#D3A129>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000000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000000 <2.7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바비 래쉴리|{{{#D3A129 바비 래쉴리}}}]]''' ||<:><#000000> '''[[아폴로 크루즈|{{{#D3A129 아폴로 크루즈}}}]]''' || ||<|2><:>
<#000000> ||<-2><:><#D3A129>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000000 WWE RAW 태그팀 챔피언십}}}]] {{{#000000 <2.2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스트리트 프로피츠|{{{#D3A129 스트리트 프로피츠}}}]]''' ||<:><#000000> '''[[안드라데 엘 이돌로|{{{#D3A129 안드라데}}}]] {{{#D3A129 &}}} [[엔젤(프로레슬러)|{{{#D3A129 엔젤 가르자}}}]]''' || ||<|2><:>
<#000000> ||<-2><:><#D3A129> '''[[WWE 24/7 챔피언십|{{{#000000 WWE 24/7 챔피언십}}}]]'''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드류 굴락|{{{#D3A139 드류 굴락}}}]]''' ||<:><#000000> ✅'''[[R-트루스|{{{#D3A129 R-트루스}}}]]''' || ||<|2><:>
<#000000> ||<-2><:><#D3A129>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000000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000000 <1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베일리(프로레슬러)|{{{#D3A139 베일리}}}]]''' ||<:><#000000> ✅'''[[아스카(프로레슬러)|{{{#D3A139 아스카}}}]][* [[WWE RAW 위민스 챔피언십|WWE RAW 위민스 챔피언]]]''' [* DQ 승. 챔피언 변동 없음.] [* 니키 크로스가 못 나와서 베일리가 오픈 챌린지를 열어서 도전] || ||<|2><:>
<#000000> ||<-2><:><#D3A129> '''[[WWE 챔피언십|{{{#000000 WWE 챔피언십}}}]] {{{#000000 <4점>}}}'''[br]'''{{{#000000 앰뷸런스 매치}}}'''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드류 맥킨타이어|{{{#D3A139 드류 맥킨타이어}}}]]''' ||<:><#000000> '''[[랜디 오턴|{{{#D3A129 랜디 오턴}}}]]''' || ||<|2><:>
<#000000> ||<-2><:><#D3A129>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000000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000000 <4.25점>}}}''' || ||<:><#000000>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로만 레인즈|{{{#D3A139 로만 레인즈}}}]]''' ||<:><#000000> '''[[제이 우소|{{{#D3A139 제이 우소}}}]]''' || == 여담 == * WWE PPV 최초로 한국 기업이 스폰서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스폰서 기업은 [[현대자동차]]다. * [[우소 형제|우소즈]]로 태그팀으로 활약만 했던 제이 우소가 싱글, 그것도 메인 타이틀 도전 기회를 잡게 되었다. 이 배경엔 각본이 아닌, 실제 빈스가 로만과 복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도전자를 결정하라고 제안했고, 로만이 제이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가족 띄워주기냐는 말도 있었지만 사실 제이보다 더 로만이 턴힐한 모습을 잘 보여주는 상대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가족이라는 점, 로만에 비해 덩치도 작은 언더독, 그러면서도 기본 실력은 확실하다는 점 등은 나름 [[신의 한 수]]이자 [[큰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 몇몇 선수들은 의학적인 상태 때문에 출전하지 못했다.[*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직전에 나온 말인데 물론 이는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돌려 말한 것이다.] 니키 크로스는 이미 며칠 전부터 코로나 때문에 못 나올 거라는 말이 돌고 있었고[* 그녀가 걸린 게 확실하다는 말은 아니다. 실제로도 음성 판정을 받았다. 다만 격리조치 때문에 나오지 못한 것.] 이외에도 셰이나 베이즐러 & 나이아 잭스 팀도 참가가 취소되었다고 발표했다.[* NXT에 코로나 확진자들이 다수 생겼는데 이 중 니키 크로스는 남편 킬리안 데인이 NXT에 있어서고 셰이나 베이즐러는 룸메인 마리아 샤피르 때문에 만일을 대비하기 위해 빠진 거라고 한다.] * 랜디 오턴과 드류 맥킨타이어의 경기에 랜디 오턴에게 공격을 당했던 [[빅 쇼]]와 [[크리스찬(프로레슬러)|크리스찬]], [[숀 마이클스]]가 차례로 등장해 랜디 오턴을 공격했고 마지막에 랜디 오턴이 패배하자 [[릭 플레어]]가 등장해 랜디 오턴이 실린 앰뷸런스를 몰고 경기장을 떠난다.[* 이외에도 매트 하디와 에지도 역시 펀트킥 공격을 받은 적이 있지만 에지는 부상, 매트 하디는 AEW 소속이라서 당연히 등장하지 않았다] * 경기 도중 흥분한 로만이 제이를 과하게 공격하자 제이의 쌍둥이 형제 지미가 흰 수건을 들고 경기장으로 들어왔다. 자신이 들어왔음에도 계속해서 제이를 공격하는 로만에게 우린 [[친척|가족]] 아니냐면서 한 번만 봐달라고 하거나 제이에게 제발 경기를 포기하라고 애원하지만 제이가 포기하지 않겠다고 하자 결국 링 옆에서 제이가 공격당하는 것을 보게 된다. 결국 로만이 무차별적으로 제이를 공격하는 모습에 지미는 어쩔 수 없이 흰 수건을 던져 [[TKO]]로 경기를 끝낸다. > '''지미 우소''': (더 이상 못 보겠다는 지미) 제이야! 지금 나 이거 던질꺼야. 내 말 들려? 이거 던질거라고! 이건 아니야! > '''제이 우소''': 아냐! 던지지마! > '''지미 우소''': 너 지금 이 상태론 불가능해! 그냥 포기해! 그냥 던진다! 던질거라고! > '''제이 우소''': 아냐! 던지지마! > '''로만 레인즈''': (지미에게) 네가 지금 여기 와서 날 시험하겠다고? > '''제이 우소''': 내가 이 녀석을 꺾을 수 있어! > '''로만 레인즈''': 네가 지금 날 시험하냐고? 나 얘를 더 때리기 전에 우리 형제라면 당장 수건을 던지는 게 좋을거야. > '''제이 우소''': 아냐! 던지지마! 난 할 수 있어! > (지미가 수건을 던지려고 하자....) > '''제이 우소''': 던지지마! 하지마! > (지미는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다.) > '''로만 레인즈''': 너 얘 말을 듣겠다? > '''제이 우소''': 얘 말 듣지마! > '''로만 레인즈''': 우리 인생을 계속 얘 말을 듣겠다 이거지? > '''지미 우소''': 제이야 제발! 이러지마! 던질거라고! 제발 이러지마! > '''제이 우소''': 절대로 던지지마! 던지지 말라고!!! > (폴 헤이먼과 코리 그레이브스, 심판 찰스 로빈슨, 마이클 콜도 마찬까지 지미가 수건을 못 던져 아쉬워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지미 우소''': 제발 그만해! > '''제이 우소''': 던지지....!!! > '''지미 우소''': 그냥 포기하라고!!! > (로만이 제이를 끌어 계속 무차별하게 공격한다. 찰스 로빈슨 심판은 제이의 맞는 모습을 보고 경악하며 쳐다보고, 폴 헤이먼은 제이 우소를 맞는 모습을 보고 고개를 돌려 아쉬워한다.) > '''코리 그레이브스''': 지미야! 그냥 망할 수건을 던져! > '''찰스 로빈슨, 폴 헤이먼''': {{{+2 그냥 던지라고!!!}}} > (벨이 울려 경기는 TKO로 끝낸다.) > '''지미 우소''': 로만을 좀 말려 봐요!! 로만, 그만해!! > '''찰스 로빈슨''': (로만의 팔을 잡아 말린다.) 그만해!! 끝났어!!! > '''지미 우소''': (로만을 밀쳐 제이를 보호해 그를 쳐다본다.) 그만해! 그만하라고! 넌 충분히 이겼어! 지금까지 이거 때문에 원하는 거였어? 이거 때문이냐고? 우린 한 가족이잖아! 너 대체 왜 그러는 거야? 이제 그만하라고! 넌 충분히 이겼으니까, 얘를 내버려 두라고! 이제 그만해! 진정해! > - 마지막 메인 이벤트, 로만 레인즈, 우소즈의 마지막 명대사들 * 니키 크로스의 불참으로 예정에 없던 아스카가 경기를 가지며, 지난 섬머슬램에 이어 또 메인 타이틀 경기를 두 경기나 가졌다. *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첫 경기에서, [[새미 제인]]이 자기 재킷에서 수갑 2개를 챙겨, 제프 하디[* 제프의 왼쪽 귓볼에다가 걸어 사다리에다가 채웠다(....)]와 [[AJ 스타일스]]를 채워[* 처음에는 AJ가 혼자 못 가게 자기 팔에다가 묶어놨다가, 제프가 AJ를 사다리 공격하는 도중, 자기 입에서 열쇠를 꺼내어 자기 손목에다가 채운 수갑을 열어 AJ의 왼쪽 팔을 세게 당겨 사다리 거는 쪽에다가 잠궈놨다.], 새미만 혼자서 자유롭게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얻게 되었다. 놀랍게도 [[마이클 콜]]이 새미 제인의 전략을 보고 24년만에 처음 보는 거 같다고 말했다. [* 마이클 콜이 1997년에 데뷔했으므로 자신이 데뷔한 이래로 처음 보는 전략이라는 뜻이다.] [[분류: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