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파일:NXTUK_Standard_Logo--36cbaf1b49a7fe8c5ce3b0fe05b6f445.png|width=100%]] || ||<-2> {{{#000000 '''WWE NXT UK'''[br]''WWE NXT UK''}}} || || '''{{{#000 제작}}}''' ||[[WWE]] || || '''{{{#000 제작진}}}''' ||[[트리플 H]] || || '''{{{#000 주제곡}}}''' ||"Got That Feeling" by def rebel [[https://youtu.be/hinKeV29Occ|#]] || || '''{{{#000 중계진}}}''' ||앤디 셰퍼드, [[나이젤 맥기네스]] || || '''{{{#000 방송}}}''' ||[[WWE 네트워크|[[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wenetworktransparent.png|width=30&bgcolor=white]]]] 매주 목요일 오후 3시(E)/12시(P) || || '''{{{#000 SNS}}}''' ||[[https://facebook.com/NXTUnitedKingdo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XTUK,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WWE의 브랜드인 [[NXT]]의 영국 지부 브랜드. NXT UK의 시초는 2017년 1월 14일, 15일 양일간 진행되었던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토너먼트]]였으며 초대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이 걸린 16명의 유럽 프로레슬러가 참전해 이틀동안 진행된 토너먼트에서 [[타일러 베이트]]가 우승해 초대 UK 챔피언에 등극하는 것으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그렇게 초대 UK 챔피언십 결정 토너먼트 이후로 악 1년여 간 이렇다 할 진척 없이 지지부진한 상태였지만 2018년 [[월드 오브 스포트 레슬링]]의 출범 선언을 계기로 WWE 역시 영국 시장 진출 계획을 다시 설계했다. 그 결과 미국의 NXT 로스터들이 함께 참전한 2018 UK 챔피언십 토너먼트가 개최되어 2018년 6월 25일과 26일 양일간 방영되었으며, NXT UK의 초대 단장으로 임명된 영국 프로레슬링의 전설 [[쟈니 세인트]]와 [[트리플 H]]가 직접 NXT UK의 출범을 발표하며 동년 10월에 [[WWE 네트워크]]로 방송이 시작되었다. 이후 2019년 1월엔 [[NXT UK 위민스 챔피언십]]과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도 창설되었다. 2018년 11월 24일, [[트리플 H]]에 의해 2019년 1월 12일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랭커셔]]의 블랙풀[* 2017년에 UK 챔피언십 토너먼트가 열렸던 곳이다. 일종의 홈타운인 셈.]에서 [[NXT UK 테이크오버|NXT UK의 첫번째 테이크오버]]를 개최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이렇게 미국과 영국 두 나라에서 꽤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영국 인디 프로레슬링을 멸망 수준까지 몰아넣은 주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https://wrestletalk.com/news/british-wrestling-in-turmoil-new-restrictions-on-nxt-uk-talent-imminent/|계약한 선수들을 독점으로 묶어버려서 제휴 단체 외에는 다른 단체 출연을 막은 것이 문제.]][* 본래는 '''NXT UK 계약을 해도 다른 단체에 출연 가능'''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조항을 지워버린 것.] 심지어는 제휴 단체 내에서도 다른 주요 단체(ROH나 신일본 등)에 계약된 선수와는 경기를 할수 없다는 조항까지 있다는 얘기가 나왔었다. 그런데다가 [[https://www.reddit.com/r/SquaredCircle/comments/clkh90/vow_wwe_has_informed_or_will_inform_in_some_cases/|제휴 단체에 나와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NXT UK 소속 선수가 등장할수 없다]]는 조항까지 추가할 예정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영국 인디 흥행인 사우스사이드 레슬링의 마지막 쇼에서 [[https://www.reddit.com/r/SquaredCircle/comments/d92pj8/wwe_pulls_uk_talent_from_independent_promotion/|출연하기로 했던 선수들을 전부 출연불가시켰다고 한다]][* 이에 [[AEW]]의 부사장인 [[코디(프로레슬러)|코디]]가 도와주고 싶다는 트윗을 남겼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747725&page=1|#]]. 이를 보고 순수한 선의가 아니라 홍보 효과를 노린 술수라고 까는 사람들도 있지만, 한편으론 이런 홍보의 기회를 준게 WWE의 결정 때문인지라 빈스는 AEW의 숨은 협력자라는 드립도 있었다.]. 특히나 신일본 측도 자신들과 계약된 선수들에게 출연 제약을 하는 판이라 더더욱 상황이 복잡한 편. 이 때문에 NXT UK 소속이면서 영국 인디씬은 괜찮다, 이건 모두에게 이득이라고 주장하는 선수들은 심심하면 까인다. 예로 [[피트 던]].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미국 봉쇄 조치로 영국에 있을 NXT UK 사전녹화를 진행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잠정 방송 중단이 되었고, 심지어 NXT와 NXT UK를 병행하며 활동중인 선수들([[피트 던]] & [[잭 깁슨]] & [[제임스 드레이크]] & [[조던 데블린]] & [[토니 스톰]])이 NXT에도 나올 수 없는 상황이 되었으나 2020년 9월 17일 방송 및 녹화 재개가 확정되면서 이들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물론 현재 시국이 시국이다보니 변수가 있을 수 있다.-- 2020년 9월 17일부터 무관중으로 진행하면서 새롭게 계약한 레슬러들도 데뷔를 하게 된다. 그러다가 11월부터 NXT UK도 LED 모니터를 통한 가상 팬들을 보이며 진행하게 된다. 2021년부터 메인로스터 및 NXT에 관중을 수용하면서 NXT UK에도 관중을 수용하게 된다. 미국과 영국을 오갈 수 있는 상황이 되고, 2022년부터 NXT UK에 있는 선수들이 NXT로 이적하든가 이벤트성으로 출연하는 일이 생기며 로스터는 그대로지만 조금씩 NXT UK에 출연중인 선수들이 줄어들면서 남아있는 선수들로 진행하게 되고, NXT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을 NXT에 잠시 출연시키는 진행을 하지만 절반정도는 이적은 아니다. 2022년 8월 18일, 오는 미국 시간으로 9월 4일 NXT와 합동 이벤트로 열리는 [[WWE 월드 콜라이드 토너먼트|월드 콜라이드 이벤트]]를 끝으로 잠정 휴식기를 가지며 2023년 NXT 유럽이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된다는 소식을 발표했으며 [[https://www.wwe.com/article/wwe-to-launch-nxt-europe-in-2023|#]] 이후 [[트렌트 세븐]]을 비롯한 일부 선수들과 계약 종료를 발표하였다. [[https://www.f4wonline.com/news/nxt/more-nxt-uk-wrestlers-moved-to-wwe-com-alumni-section|#]] 2023년에 빈스 맥마흔이 회장직 복귀를 위해 WWE 매각을 미끼로 UFC의 모기업 엔데버의 합병하면서부터 NXT 유럽이 들어서는데 지연되고 말았다. == NXT UK 소속 챔피언 == || 챔피언십 || 마지막 챔피언 || 이전 챔피언 || 기타 사항 || ||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 [[타일러 베이트]] || 공석 || [* 타일러 베이트와의 통합 타이틀전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NXT 챔피언십에 통합] || || [[NXT UK 위민스 챔피언십]] || [[사토무라 메이코]] || [[알바 파이어]] || [* 맨디 로즈, 사토무라 메이코, 블레어 대번포트와의 3인 경기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NXT 위민스 챔피언십에 통합] || ||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 ||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 || 공석 || [* 크리드 브라더스, 갤러스, 프리티 데들리,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 페이탈 4웨이 매치에서 승리함과 동시에 NXT 태그팀 챔피언십에 통합] || || [[NXT UK 헤리티지 컵 챔피언십]] || [[노암 다르]] || [[마크 코피]] || - || == 로스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WE/선수 목록, 문단=5.2.1)] == 트리플 크라운 == 관련 내용 추가시 [[틀:NXT UK 트리플 크라운]] 이용. * [[타일러 베이트]] : 2021년 12월 9일에 방영된 NXT UK에서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NXT UK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게 되면서 최초이자 마지막 NXT UK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였다. == 라이브 스페셜(PPV)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XT 테이크오버 UK)] == 역대 NXT UK 5성 이상 경기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2020년'''[br]10월 29일 || NXT UK ||<-2>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br]__[[월터(프로레슬러)|월터]]__(C) vs [[일리야 드라구노프]]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25성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2019년'''[br]8월 31일 || [[NXT 테이크오버 UK/2019년#s-2|NXT UK 테이크오버: 카디프]] ||<-2>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br]__[[월터(프로레슬러)|월터]]__(C) vs [[타일러 베이트]] || || '''2021년'''[br]8월 22일 || [[NXT 테이크오버/2021년#s-4|NXT 테이크오버: 36]] || [[NXT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br][[월터(프로레슬러)|월터]](C) vs ___[[일리야 드라구노프]]___ || [[분류:NXT 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