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30033> {{{#999999 {{{+1 '''WWF 킹 오브 더 링 (2001)'''}}}[br]''' ''WWF King of the Ring (2001)'' '''}}} || ||<|11><:><#000000> [[파일:WWF_KING_OF_THE_RING_2001_Poster.jpg|width=100%]] || ||<-10><:><#733E7F> '''[[WWE|{{{#FFFFFF WWF}}}]]''' '''{{{#FFFFFF 개최,}}}''' '''{{{#FFFFFF 콤보스}}}''' '''{{{#FFFFFF 제공}}}''' '''[[PPV|{{{#FFFFFF PPV}}}]]''' || ||<-1><:><#45436C> {{{#B3A7DC '''개최일'''}}} ||<-9><:><#45436C> [[서머타임|{{{#B3A7DC '''(''__*DST__'')'''}}}]] {{{#B3A7DC '''2001년 6월 24일 일 20시^^E^^/17시^^P^^'''[br]''韓'' 2001년 6월 25일 월 09시}}} || ||<-1><:><#733E7F> {{{#FFFFFF '''경기장'''}}} ||<-9><:><#733E7F> {{{#FFFFFF '''뉴저지 주 이스트러더퍼드 컨티넨탈 에어라인스 아레나'''[br]''Continental Airlines Arena, East Rutherford, New Jersey''}}} || ||<-1><:><#45436C> {{{#B3A7DC '''테마곡'''}}} ||<-9><#45436C><:> || ||<-1><:><#733E7F> {{{#FFFFFF '''관중집계'''}}} ||<-9><:><#733E7F> '''{{{#FFFFFF 17,777명}}}''' || ||<-10><:><#BEA3C9> || ||<-10><:><#330033> {{{#999999 '''WWF의 PPV'''}}} || ||<-3><:><#45436C> [[WWF 저지먼트 데이(2001)|{{{#B3A7DC 저지먼트 데이}}}]] ||<-4><:><#733E7F> [[WWF 킹 오브 더 링(2001)|{{{#FFFFFF 킹 오브 더 링}}}]] ||<-3><:><#45436C> [[WWF 인베이전|{{{#B3A7DC 인베이전}}}]] || ||<-10><:><#330033> {{{#999999 '''킹 오브 더 링'''}}} || ||<-3><:><#45436C> [[WWF 킹 오브 더 링(2000)|{{{#B3A7DC 2000}}}]] ||<-4><:><#733E7F> [[WWF 킹 오브 더 링(2001)|{{{#FFFFFF 2001}}}]] ||<-3><:><#45436C> [[WWE 킹 오브 더 링(2002)|{{{#B3A7DC 2002}}}]] || ||<-1><:><#330033> '''{{{#999999 포스터 모델: }}}''' ||<-10><:><#330033> {{{#999999 ''' ''"MY MUSCLES ACHE. MY MIND IS SPENT. MY BODY IS BROKEN. LEAD ME TO MY THRONE."'' '''}}} || [목차] == 대립 배경 == ===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 === [[셰인 맥마흔|셰인 맥맨]] VS [[커트 앵글]] ===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 === [[스티브 오스틴|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VS [[크리스 벤와]] VS [[크리스 제리코]] === [[WWE 챔피언십|WWF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 대진표 및 결과 == ||<|2><:>
<#000000> ||<-2><:><#45436C> '''{{{#B3A7DC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준결승전}}} {{{#B3A7DC <3점>}}}''' || ||<:><#733E7F> '''[[크리스찬 케이지|{{{#FFFFFF 크리스찬}}}]]''' ||<:><#733E7F> ✅'''[[커트 앵글|{{{#FFFFFF 커트 앵글}}}]]''' || ||<|2><:>
<#000000> ||<-2><:><#45436C> '''{{{#B3A7DC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준결승전}}} {{{#B3A7DC <2.5점>}}}''' || ||<:><#733E7F> '''[[라이노(프로레슬러)|{{{#FFFFFF 라이노}}}]]''' ||<:><#733E7F> ✅'''[[에지(프로레슬러)|{{{#FFFFFF 에지}}}]]''' || ||<|2><:>
<#000000> ||<-2><:><#45436C>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B3A7DC WWF 태그팀 챔피언십}}}]] {{{#B3A7DC <2.25점>}}}''' || ||<:><#733E7F>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더들리 보이즈|{{{#FFFFFF 더들리 보이즈}}}]]''' ||<:><#733E7F> '''[[글렌 제이콥스|{{{#FFFFFF 케인}}}]][*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FFFFFF &}}} [[더들리 보이즈 #s-3.3|{{{#FFFFFF 스파이크 더들리}}}]]''' || ||<|2><:>
<#000000> ||<-2><:><#45436C> '''{{{#B3A7DC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결승전}}} {{{#B3A7DC <3점>}}}''' || ||<:><#733E7F> ✅'''[[에지(프로레슬러)|{{{#FFFFFF 에지}}}]]''' ||<:><#733E7F> '''[[커트 앵글|{{{#FFFFFF 커트 앵글}}}]]''' || ||<|2><:>
<#000000> ||<-2><:><#45436C>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B3A7DC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B3A7DC <2.25점>}}}''' || ||<:><#733E7F>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제프 하디|{{{#FFFFFF 제프 하디}}}]]''' ||<:><#733E7F> '''[[엑스팍|{{{#FFFFFF 엑스팍}}}]]''' || ||<|2><:>
<#000000> ||<-2><:><#45436C> '''{{{#B3A7DC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 {{{#B3A7DC <4점>}}}''' || ||<:><#733E7F> '''[[셰인 맥마흔|{{{#FFFFFF 셰인 맥맨}}}]]''' ||<:><#733E7F> ✅'''[[커트 앵글|{{{#FFFFFF 커트 앵글}}}]]''' || ||<|2><:>
<#000000> ||<-3><:><#45436C> '''[[WWE 챔피언십|{{{#B3A7DC WWF 챔피언십}}}]] {{{#B3A7DC <3.75점>}}}'''[br]'''{{{#B3A7DC 트리플 쓰렛 매치}}}''' || ||<:><#733E7F>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스티브 오스틴|{{{#FFFFFF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733E7F> '''[[크리스 벤와|{{{#FFFFFF 크리스 벤와}}}]]''' ||<:><#733E7F> '''[[크리스 제리코|{{{#FFFFFF 크리스 제리코}}}]]''' || == 기타 == || [[파일:external/31.media.tumblr.com/tumblr_mab7assTk41raz5ixo1_250.gif|height=200]] || [[파일:external/i261.photobucket.com/KurtAngle.gif|height=200]] || 메인이벤트보다도, 메인이벤트의 전경기인 커트 앵글과 셰인 맥맨의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가 아직까지도 하드코어 매치의 명경기로 평가되고 있다. 이 경기에서 나온 명장면으로, 앵글이 2020년에 레딧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원래는 장외 난투중 앵글이 엔트런스 근처에서 [[벨리 투 벨리 수플렉스]]로 셰인을 던져 한번에 유리벽이 깨져야했지만 깨지지 않았고, 놀란 앵글이 콘크리트 바닥에 수직으로 처박힌 셰인의 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뭔놈의 슈가글라스가 이렇게 단단하냐.'고 내뱉었다. 이에 셰인은 깨질 때까지 던지라고 대답했고 앵글은 정말 깨질 때까지 던졌다. 이런 두 선수의 살벌한 스턴트 덕분에 셰인은 뒷머리가 깨지고, 꼬리뼈도 다쳤다. 앵글 역시 유리에 팔이 베이고, 척추도 손상을 어느 정도 입었다. [[WWF 킹 오브 더 링(1998)|3년 전 킹 오브 더 링]]에서의 헬 인 어 셀 매치와 더불어 일반인에게 레슬링 기술을 따라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당부 영상에도 자주 나올만큼 유명한 장면. 원래 설탕으로 만든 잘 깨지는 가짜 유리벽에 던져저 한번에 깨졌어야 하는데 진짜 아크릴 벽이 오는 바람에 저런 상황이 펼쳐졌다. 경기 마무리 상황에 두 사람을 보면 앵글은 고통을 못 견뎌 우는 얼굴을 감추지 못하고, 셰인은 눈이 완전히 풀리기까지 했다. || [[파일:external/i167.photobucket.com/thsuper-angle-slam.gif|height=200]] || 이 경기의 피니시무브인 탑로프 [[앵글 슬램]] [[분류:WWE 킹 오브 더 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