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We Can Work It Out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NME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151)] ---- }}} || ||<-2><#c93f18> '''{{{+1 We Can Work It Out}}}'''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gRrWPdzkao, width=100%, height=250)]}}}|| || '''싱글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1965년]] [[12월 3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1965년]] [[12월 6일]]|| || '''싱글 A면''' ||[[Day Tripper]]|| || '''스튜디오''' ||RCA 스튜디오 || || '''장르''' ||[[팝 록]], [[포크 록]] || || '''작사, 작곡''' ||[[레논-매카트니]]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러닝 타임''' ||2:15|| || '''레이블''' ||[[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width=28]]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br][[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width=35]]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파일:we-can-work-it-out-day-tripper-single-us.jp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yclqo_AV2M, height=250)]}}}|| || {{{#fff '''프로모셔널 비디오'''}}} || 1965년 발매된 [[비틀즈]]의 싱글. 비틀즈의 첫 더블 A 싱글이다. == 상세 == [[Rubber Soul]] 앨범 세션 도중 녹음되었지만 앨범에 수록되지는 않았다. 더블 A 싱글로 발매된 이유가 있는데, 명목상으로는 레논-매카트니로 표기되어 있지만 상당 부분을 [[폴 매카트니]]가 작곡했다. 그런데 [[존 레논]]이 작곡한 [[Day Tripper]]와 경쟁이 붙어 결국 두 싱글 다 A면으로 내게 된 것이다. 이때를 기점으로 협력적 파트너 관계였던 [[레논-매카트니]]가 선의의 경쟁 관계로 점차 변모하게 된다. 밝고 낙관적이게 쓰인 폴의 가사와 어두운 관점으로 쓰여진 존의 가사가 조화를 이뤘다. ~~하긴 폴이 Life is very short이라는 가사를 쓸 리가 없지.~~[* 여담이지만 해당 부분에서 존의 배킹 보컬이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 당시 폴이 쓴 곡들이 많이들 그렇듯이[* [[You Won't See Me]], I'm Looking Through You, For No One, The Night Before, Another Girl 등] 여자친구이자 약혼자였던 제인 애셔와의 불화에 대해서 쓴 곡이다. 제인 애셔는 몇년 전만 해도 비틀즈보다 더 유명한 배우였다. 그러나 폴은 결혼을 하게 되면 제인이 배우 일을 그만두고 주부가 되기를 원했고, 제인은 이를 반대해 사이가 급격하게 나빠졌다. 결국 결혼을 앞두고 이별하게 된다. 제목은 "우리는 화해할 수 있어"라는 뜻이지만, 가사를 제대로 뜯어보면 제대로 화해하자는 말은 하나도 없고, 내(폴) 의견대로 하면 우리 사랑은 계속될 것이지만, 네(제인) 의견대로 하면 이별만이 답이다(...)라는 꽤나 앞뒤가 꽉꽉 막혀 보일 수 있는 내용이다.[* 다만 후에 화이트 앨범에 수록된 Martha My Dear처럼 대놓고 책망하는 건 아니고 내 말 들어주면 되니까 화해하자 정도의 회유하는 느낌이다.] 그래서 제인은 50년이 넘게 지난 현재도 폴에 관련된 질문을 받으면 싫어한다. 나만의 인생과 배우로서의 삶이 있는데 왜 폴을 만난 5년이란 짧은 기간에 대해서만 질문하냐고. == 가사 == ||<-2><#c93f18> ---- {{{+2 '''{{{#f2c12a We Can Work It Out}}}'''}}} ---- Try to see it my way 내 입장을 생각해봐 Do I have to keep on talking till I can't go on? 내가 힘 빠질 때까지 계속 얘기해야만 해? While you see it your way 네 입장만 고집한다면 Run the risk of knowing that our love may soon be gone 우리의 사랑은 곧 파국을 맞이할 거야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어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다고 Think of what you're saying 네가 하는 말을 생각해봐 You can get it wrong and still you think that it's alright 너도 틀릴 수 있는데 넌 네 자신이 옳다고만 믿잖아 Think of what I'm saying 내가 말을 곱씹어봐 We can work it out and get it straight, or say good night 우린 화해한 뒤에 서로 "잘 자~" 하는 인사를 건낼 수 있어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어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다고 Life is very short, and there's no time 인생은 짧고 시간은 부족해 For fussing and fighting, my friend 투정하고 싸우기엔 말이지 I have always thought that it's a crime 이런 기싸움은 죄를 짓는 거라 생각해 So, I will ask you once again 그래서 다시 한 번 부탁할게 Try to see it my way 내 입장을 생각해봐 Only time will tell if I am right or I am wrong 내가 옳은지 틀린지는 시간만이 알려줄 거야 While you see it your way 네 입장만 고집한다면 There's a chance that we might fall apart before too long 우리는 머지 않아 영영 남이 되어버릴지도 몰라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어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다고 Life is very short, and there's no time 인생은 짧고 시간은 부족해 For fussing and fighting, my friend 투정하고 싸우기엔 말이지 I have always thought that it's a crime 이런 기싸움은 죄를 짓는 거라 생각해 So, I will ask you once again 그래서 다시 한 번 부탁할게 Try to see it my way 내 입장을 생각해봐 Only time will tell if I am right or I am wrong 내가 옳은지 틀린지는 시간만이 알려줄 거야 While you see it your way 네 입장만 고집한다면 There's a chance that we might fall apart before too long 우리는 머지 않아 영영 남이 되어버릴지도 몰라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어 We can work it out 우린 화해할 수 있다고 ----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 커버 == ||[youtube(JgHIm5AqtXc)]|| || [[스티비 원더]]의 커버 버전 || == 차트 성적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Sound of Silence ||<#FFE400><:> {{{+1 → }}} ||<#FFE400><:> We Can Work It Out / [[Day Tripper]](2주) ||<#FFE400><:> {{{+1 → }}} ||<#FFE400><:> Sound of Silence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Sound of Silence ||<#FFE400><:> {{{+1 → }}} ||<#FFE400><:> We Can Work It Out / [[Day Tripper]](1주, 도합 3주) ||<#FFE400><:> {{{+1 → }}} ||<#FFE400><:> My Love || ---- [include(틀:UK 차트 1위 곡, 전번_곡=The Carnival Is Over, 전번_아티스트=시커즈, 전번_1위_기간=3주 연속, 이번_곡=We Can Work It Out, 이번_아티스트=비틀즈, 이번_1위_기간=5주 연속, 후번_곡=Keep On Running, 후번_아티스트=스펜서 데이비스 그룹, 후번_1위_기간=1주 연속)] [[1966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49위에 올랐다. [[분류:1965년 노래]][[분류:1965년 싱글]][[분류:비틀즈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팝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