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H.O.T.)] ||<-5> '''[[H.O.T./음반 목록|{{{#d82323 H.O.T.의 음반}}}]]''' || || '''공식 데뷔'''[br]{{{-2 (1996)}}} || → || {{{-2 '''정규 1집'''}}}[br]'''We Hate All Kinds Of Violence'''[br]{{{-2 (1996)}}} || → || {{{-2 '''정규 2집'''}}}[br]'''[[Wolf and Sheep|{{{#000000 Wolf and Sheep}}}]]'''[br]{{{-2 (1997)}}} || ||<-2> '''{{{#d82323 {{{+1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br]The 1st Album}}}'''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H.O.T._We Hate All Kinds Of Violence.jpg|width=100%]]}}} || ||<-2> '''{{{#d82323 H.O.T. 정규 1집}}}''' || || '''{{{#d82323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1996년]] [[9월 7일]] || || '''{{{#d82323 아티스트}}}''' || [[H.O.T.]] || ||<|2> '''{{{#d82323 녹음}}}''' || SM 디지털 레코딩 스튜디오 || || Booming System || || '''{{{#d82323 프로듀서}}}''' ||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 || '''{{{#d82323 기획사}}}''' || [[SM엔터테인먼트|[[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1995-2017).svg|width=70]]]] || || '''{{{#d82323 레이블}}}''' || 서라벌레코드, 킹레코드, 신나라뮤직 || || '''{{{#d82323 유통사}}}''' || [[카카오엔터테인먼트/뮤직부문|[[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 '''{{{#d82323 곡 수}}}''' || 9곡 || || '''{{{#d82323 재생시간}}}''' || 33분 5초 || || '''{{{#d82323 타이틀곡}}}''' || [[전사의 후예|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 || '''{{{#d82323 후속곡}}}''' || [[캔디(H.O.T.)|Candy (캔디)]] || ||<|2> '''{{{#d82323 서브곡}}}''' ||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6년]] [[9월 7일]]에 발매한 [[H.O.T.]]의 데뷔 앨범이자, 정규 1집 앨범이다. == 수록곡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T._We Hate All Kinds Of Violence.jpg|width=50%]]}}} || ||<-5> {{{#d82323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 - The 1st Album'''}}} || ||<-5> 1996. 09. 07. (토) 발매 || || {{{#d82323 '''트랙'''}}} || {{{#d82323 '''곡명'''}}} || {{{#d82323 '''작사'''}}} || {{{#d82323 '''작곡'''}}} || {{{#d82323 '''편곡'''}}} || || '''1''' || '''[[캔디(H.O.T.)|Candy (캔디)]]'''[br]^^{{{-4 {{{#!html 후속곡}}}}}}^^ || [[장용진]] || [[장용진]] || [[장용진]] || || '''2''' || 널 사랑한 만큼 || 곽상엽 || 곽상엽 || 곽상엽 || || '''3''' || '''[[전사의 후예|전사의 후예 (폭력시대)]]'''[br]^^{{{-4 {{{#!html 타이틀곡}}}}}}^^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4''' || 노을 속에 비친 그대 모습[* [[강타]] 솔로곡이다.] || 강준식 || 김주현[* 상기 두명은 초기 SM소속 남성 2인조였던 J&J의 멤버로, 해당 멤버들이 부른 동명의 곡을 재탕. 그런데 이 노래, 안좋은쪽으로 재조명되는데, 자세한 전말은 [[H.O.T. 상표권 분쟁]]을 참조할 것.] || 김주현 || || '''5''' ||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br]^^{{{-4 {{{#!html 서브곡}}}}}}^^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6''' ||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br]^^{{{-4 {{{#!html 서브곡}}}}}}^^ || 김주현 || 김주현 || 김주현 || || '''7''' || 너는 Fast 나는 Slow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8''' || 개성시대 || 강준식 || 김주현 || 김주현 || || '''9''' || About 여자(女子)[* 원제 : 미지수야 미지수 ] || 강준식 || 김주현 || 김주현[* About 여자는 <노을 속에 비친 그대 모습>과 동일하게, 원래는 해당 작곡/편곡자 명의로 된 이들이 부른 노래였다. 원곡의 경우 J&J가 방송에서 공연할때 보여준 '독수리춤'(?)안무로 기억하는 사람도 소수 있는듯? [[https://www.youtube.com/watch?v=wWHcK6XnxHk|J&J의 원곡 라이브]] ] || === [[캔디(H.O.T.)|Candy (캔디)]] === ==== 뮤직비디오 ==== || {{{+1 {{{#d82323 '''Candy (캔디)'''}}}}}}[*리마스터링 [[SM엔터테인먼트]]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로 2022년 12월 1일에 공개된 뮤직비디오][br]{{{#d82323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NUaXU1d-NY)]}}} || ==== 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캔디(H.O.T.))] === 널 사랑한 만큼 === ==== 가사 ==== || '''{{{#d82323 널 사랑한 만큼}}}'''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Wrj4IMBbViY)]}}} || || '''{{{#d82323 널 사랑한 만큼}}}'''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Oh my baby you will be in my heart forever Oh my baby you will be in my heart forever {{{#00A250 잠시 날 잊기 위해 아무 연락도 없었던 너에게 왜 날 잊으려 하느냐고 묻지 않은 내가 어리석었지}}} {{{#FFBA00 정말 날 잊으려 했던 너의 아픔을 달래주려고 이제야 미안한 마음으로}}} 어디선가 나를 보고 있을 너에게 이렇게 펜을 들었어 {{{-2 (문희준, 강타)}}} 널 사랑한 만큼 아파해야 하는 걸 {{{#00A250 부인하지는 않을거야}}} 널 이해한 만큼 슬퍼해야 하겠지 {{{#00A250 이제라도 내게 남은 사랑을 전하고 싶어}}} Oh my baby you will be in my heart forever Oh my baby you will be in my heart forever {{{#FFBA00 정말 날 잊으려 했던 너의 아픔을 달래주려고 이제야 미안한 마음으로}}} {{{-2 (문희준, 강타)}}} 어디선가 나를 보고있을 너에게 이렇게 펜을 들었어 널 사랑한 만큼 아파해야 하는 걸 {{{#00A250 부인하지는 않을거야}}} 널 이해한 만큼 슬퍼해야 하겠지 {{{#00A250 이제라도 내게 남은 사랑을 전하고 싶어}}} 널 사랑한 만큼 아파해야 하는 걸 {{{#00A250 부인하지는 않을거야}}} 널 이해한 만큼 슬퍼해야 하겠지 {{{#00A250 이제라도 내게 남은 사랑을 전하고 싶어}}} Oh my baby you will be in my heart forever }}} || === [[전사의 후예|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 ==== 뮤직비디오 ==== || {{{+1 {{{#d82323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리마스터링 [[SM엔터테인먼트]]의 [[리마스터링 프로젝트]]로 2021년 11월 4일에 공개된 뮤직비디오][br]{{{#d82323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ggXa28ADLE)]}}} || ==== 가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사의 후예)] === 노을속에 비친 그대 모습 === ==== 가사 ==== || '''{{{#d82323 노을 속에 비친 그대 모습}}}'''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H3wsFZJuOhs)]}}} || || '''{{{#d82323 노을속에 비친 그대 모습}}}'''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00A250 강타}}}''' ^^ {{{#00A250 하얀 웃음과 슬픈 눈물이 만나 그댈 느꼈지 우린 그렇게 서로의 모습을 가슴속 안에 널 처음 보았던 그땐 아무런 말도 못 했어 나의 머릿속을 가득 메워 느낌을 사랑으로 노을속에 비친 그대 모습이 흩어져 어디론가 희미해진 너의 목소리는 왠지 슬프게 들리오네 빨간 장미꽃의 향기에 빠져버린 아이처럼 눈물만 흘리고 날 사랑했던 너의 진실한 마음을 난 몰랐지만 이젠 느낄 수가 있어 그 어느 누구보다 널 사랑했기에}}} {{{-2 (랩)}}} 떠나가는 그대에게 다가가지 못한 채 나 홀로 슬퍼 슬픈 너의 모습을 바라보았던 거야 그런 내 자신이 미워지고 술에 취한 듯 울먹이며 소리를 질렀지만 다시 찾아드는 그리움이 나를 더욱 슬픔으로 이끌었어 {{{#00A250 우린 서로 너무나 어려웠던 사랑을 바랬어 하지만 우리의 세상이 이러하듯 다가가지 못한 채 널 멀리 보내야 했던 나의 마음을 넌 아니 술에 취해 어디론가 걷고있어 너의 모습 그리면서 노을 속에 비친 그대 모습 흩어져 어디론가 희미해진 너의 목소리는 왠지 슬프게 들려오네}}} }}} || ===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 === ==== 가사 ==== || '''{{{#d82323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QiKbZinvkI8)]}}} || || '''{{{#d82323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 (feat.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00A250 난 몰랐어 그렇게 잘 아파했던 네 작은 가슴으로 어떻게 그 모든 걸 이겨냈었는지}}} {{{-2 (문희준, 강타)}}} 나를 둘러싼 많은 바램들도 나를 사랑했던 나의 사람들을 {{{#00A250 부러워했던 너를 이해할 수 없었어 그런 날 이제 용서해 줘}}} 내가 필요할 때 항상 너의 곁에서 숨 쉬고 있을게 너를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처럼 널 지켜주겠어 힘을 내 (그래 넌 혼자가 아니야 내가 있잖아) {{{#00A250 단지 너에게 미래라는 건 알 수 없는 불투명한 꿈이라고 쓴웃음 짓던 네게 중요한 건 꿈보다 오늘을 살아간다는 것}}} 내가 필요할 때 항상 너의 곁에서 숨쉬고 있을게 너를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처럼 널 지켜주겠어 {{{#FFBA00 너를 위해서 많은것들을 해줄 수 없겠지만}}} 다만 널 아껴줄 수 있는 그 누군가 되고 싶은거야 내가 필요할 때 항상 너의 곁에서 숨쉬고 있을게 너를 사랑했던 모든 사람들처럼 널 지켜주겠어 힘을 내 }}} || ===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가사 ==== || '''{{{#d82323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DHNIor6TyII)]}}} || || '''{{{#d82323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FFBA00 창문밖에 지나가는 시끄러운 차소리가 아침에 날 깨웠지 라면먹고 잤더니 얼굴이 퉁퉁부어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00A250 10분만 더 자고싶어 오늘은 모든게 다 귀찮아 밖에 나가기가 싫어 입맛도 없고 머리는 아프고 해서 그 아무것도 그누구도 보기가 싫어 그 어젯밤에 술을 너무 마신것 같아 어 그러나 그러나 왜 내가 그랬는지 물어보지마 오늘은 귀찮아}}} {{{#DC143C (영어랩)}}} {{{#00A250 얼굴은 부어 있고 내 목소리는 감기가 걸린 것 같아 일어나 세수하고 출근해야 해 어쩔수 없는거야}}} {{{#FFBA00 깊은 잠이 들었을때 울리는 알람소리 아침에 날 깨웠지 술을 먹고 일어나니 두 눈이 빨개지고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창문밖에 지나가는 시끄러운 차소리가 아침에 날깨웠지 라면먹고 잤더니 얼굴이 퉁퉁부어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00A250 하지만 잊어버려 내일을 위하여 희망이 함께 있잖아 어둠을 헤매며 눈을 떠 반복된 생활을 벗어나봐 출근하려고 신경써서 머리도 하고 옷도 입고 서둘러 나갔더니 웬 맑은 하늘의 날 벼락이야 쿵쿵쿵쿵 소리와 함께 소나기가 내렸지}}} {{{#FF8C00 망가져만 가는 내 hair style 젖어 축처진 내 옷자락 oh my god oh my god 이래서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00A250 얼굴은 부어 있고 내 목소리는 감기가 걸린 것 같아 일어나 세수하고 출근해야 해 어쩔수 없는거야}}} {{{#FFBA00 깊은 잠이 들었을때 울리는 알람 소리 아침에 날 깨웠지 술을 먹고일어나니 두눈이 빨개지고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창문밖에 지나가는 시끄러운 차소리가 아침에 날 깨웠지 라면먹고 잤더니 얼굴이 퉁퉁부어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0054FF 깊은 잠이 들었을때 울리는 알람 소리 아침에 날 깨웠지 술을 먹고일어나니 두눈이 빨개지고 오늘도 짜증나는날이네 창문밖에 지나가는 시끄러운 차 소리가 아침에 날 깨웠지 라면먹고 잤더니 얼굴이 퉁퉁부어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 너는 Fast 나는 Slow === ==== 가사 ==== || '''{{{#d82323 너는 Fast 나는 Slow}}}'''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JvGMCmsvMGg)]}}} || || '''{{{#d82323 너는 Fast 나는 Slow}}}'''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00A250 하루 이틀 지나가고 너는 너무 달라졌어 가끔 야한 질문들로 나를 당황하게 했고 내겐 너무 용기가 없다면서 지루한 남자라 놀렸지}}} {{{#FFBA00 어떤 날은 늦은 밤에 만나자고 전화해서 우리 사이 친구 사이 애인 사이 물어댔고 가끔씩 젖은 눈빛으로 넌 나를 유혹하려 했어}}} {{{#DC143C 하지만 내 맘을 넌 모르지 너의 모든 걸 원하는데 너무 서두르지마 나의 마음을 조금씩 네게 보여주고 싶어}}} 내 맘속에 {{{#00A250 간절히 바라던}}} 너를 이젠 {{{#00A250 갖고 싶어}}} 내게 다시 {{{#00A250 기회를 준다면}}} 오늘밤엔 {{{#00A250 너를 갖겠어}}} What′s up baby maybe we could get together You never know me might last forever I′ll make you feel real good Even make you grine & mone like I know you should Come on baby let′s take it really slow So I could show you how Baby Roc really flows so here it goes here it goes Everybody say P U S H I T {{{#FFBA00 하지만 내 맘을 넌 모르지 정말 너를 사랑하는데}}} {{{-2 (장우혁, 이재원)}}} 너는 Fast 나는 Slow 너는 Fast 나는 Slow 너는 Fast {{{#FFBA00 같을 순 없겠지}}} 내 맘속에 {{{#00A250 간절히 바라던}}} 너를 이젠 {{{#00A250 갖고 싶어}}} 내게 다시 {{{#00A250 기회를 준다면}}} 오늘밤엔 {{{#00A250 너를 갖겠어}}} 내 맘 속에 {{{#00A250 간절히 바라던}}} 너를 이젠 {{{#00A250 갖고 싶어}}} 내게 다시 {{{#00A250 기회를 준다면}}} 오늘밤엔 {{{#00A250 너를 갖겠어}}} }}} || === 개성시대 === ==== 가사 ==== || '''{{{#d82323 개성시대}}}'''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NIibEg7rrSo)]}}} || || '''{{{#d82323 개성시대}}}'''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00A250 자 이제는 모두 다 유행 신경쓰지말고 서로에 개성를 살리자 신세대여}}} {{{#FFBA00 이 변해가는 세상 바라보는 사람 떠나가는 모습이 싫어 다 변해가는 유행 앞서가는 사람 개성이라 부르고 있어 키가 작은 남자 키 큰 여자와 팔짱끼고 걷고 다니네 못생긴 여자 잘생긴 남자 팔짱끼고 웃고 서있네}}} {{{#00A250 자 이젠 모두 다 유행 신경쓰지말고}}} {{{#DC143C It’s about time for you to understand let me be me and let me be free}}} {{{#00A250 서로의 개성을 살리자 신세대여}}} {{{#DC143C It’s about time for you to understand let me be me and let me be free}}} 변해가는 세상 사랑까지도 언젠가 바뀔거야 유행따라 제발 순수한 사랑만은 제발 변하지 말아줘 {{{#FFBA00 짝 달라붙은 짧은 반바지를 입고 긴 머리를 날리는 남자와 요리조리 찢은 긴 청바지에 스포츠 머리를 한 여자}}} {{{#00A250 서로의 개성을 살리자 신세대여}}} come on here we go again {{{#00A250 못생겼다고 집에만 앉아 거울만 들여보지 말고 새로운 변화를 주어 그대에 대한 독특한 개성을 찾아봐 잘 생겼다고 거리에 나와 사람들의 시선을 즐기며 으시대고 있지만 착각하지마}}} {{{#DC143C 날 간섭하지마 제발 내 개성만은 그래 내 마음이야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해 줄거야 우리들만의 개성시대를}}} {{{#00A250 자 이젠 모두 다 유행 신경쓰지말고}}} {{{#DC143C It’s about time for you to understand let me be me and let me be free}}} {{{#00A250 서로의 개성을 살리자 신세대여}}} {{{#DC143C It’s about time for you to understand let me be me and let me be free}}} }}} || === About 여자(女子) === ==== 가사 ==== || '''{{{#d82323 About 여자(女子) }}}'''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VQy9aDqzW1k)]}}} || || '''{{{#d82323 About 여자(女子)}}}''' || || {{{#!folding [가사 펼치기 · 접기] ^^ '''ALL {{{#FFBA00 문희준}}} {{{#0054FF 장우혁}}} {{{#DC143C 토니 안}}} {{{#00A250 강타}}} {{{#FF8C00 이재원}}}''' ^^ {{{#00A250 여자 여자 여자는 감정이 풍부한 사람이지 조그만 일에도 울기도 하며 기뻐하며 많은 생각에 잠기는 아주 풍부한 사람이지 여자들은 한편으로는 우아아며 연약한 양 같기도 하지 신기하며 아름다운 그대들은 장미꽃에 가시 같으며 고양이같이 날카롭지 남자를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힘을 가졌고 이 거대한 힘을 이용해 남자들을 이용하기도 하며 남자들을 정복하려 할 때도 있지}}} {{{#FFBA00 그대들이 이런 매력이 없다면 여자들이 아니지 하지만 이 매력을 이용하면 우리 정말 곤란해 그런 여자가 싫다고 말한다면 넌 남자가 아니야 그대가 남자라고 생각하면 다시 한번 생각해}}} {{{#00A250 남자들이여 여자에게는 세가지 힘이 있다는 걸 기억해줘 첫번째는 말의 힘이고 두번째는 유혹하게 만드는 몸매 마지막 세번째는 여성들의 애교이지 이 세가지를 다 이용하는 여자는 진짜 무서운 여자이지}}} {{{#FFBA00 남자들은 알 수 없지 여자들의 마음을 사랑한다 말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야 여자들도 알 수 없지 남자들의 마음을 믿으라고 말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야}}} {{{#DC143C 그대는 결론 내릴 수 없는 미지수야 미지수 아무도 결론 내릴 수 없는 미지수야 미지수}}} {{{#FFBA00 그대들이 이런 매력이 없다면 여자들이 아니지 하지만 이 매력을 이용하면 우리 정말 곤란해 그런 여자가 싫다 말한다면 넌 남자가 아니야 그대가 남자라고 생각하면 다시 한번 생각해}}} {{{#00A250 이제 벗어나야만 돼 신세대 여성에게 외롭고도 힘들지만 장난감이 아니야 이제 벗어나야만 돼 신세대 남성에게 외롭고도 힘들지만 장난감이 아니야}}} }}} || == 영상 == === 방송사 Ver. 뮤직비디오 === [[http://blog.naver.com/jhj02276/110788411|데뷔전, 데뷔무대, 데뷔후 모습이 담긴 비디오]] || {{{+1 {{{#d82323 '''Candy (캔디)'''}}}}}}[*KMTV [[KMTV]] 버전으로 공식 뮤직비디오는 아니다.][br]{{{#d82323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YkGzlJbg9I)]}}} || || {{{+1 {{{#d82323 '''너는 Fast 나는 Slow'''}}}}}}[*KMTV [[KMTV]] 버전으로 공식 뮤직비디오는 아니다.][br]{{{#d82323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N1wEX9JEmk)]}}} || || {{{+1 {{{#d82323 '''내가 필요할 때 (소년, 소녀 가장에게)'''}}}}}}[*KMTV [[KMTV]] 버전으로 공식 뮤직비디오는 아니다.][br]{{{#d82323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lo3xlknZWs)]}}} || === 음악 방송 === || '''{{{#d82323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1mWCan2qb_U)]}}} || || '''{{{#d82323 Candy (캔디)}}}'''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XQwsh9Ob2e0)]}}} || || '''{{{#d82323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RTje3EF8z8M)]}}} || ===# 관련 영상 #=== > [[무한도전]] [[토토가3 - H.O.T.|토토가3]] || '''{{{#d82323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무편집 Ver.]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631bfFu7vaU)]}}} || || '''{{{#d82323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직캠 Ver.]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b1D3ZGDuRqQ)]}}} || || '''{{{#d82323 Candy (캔디)}}}'''[*무편집 Ver.]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K2N3eDW5kUc)]}}} || || '''{{{#d82323 Candy (캔디)}}}'''[*직캠 Ver.] || ||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dSbNRbkhWiE)]}}} || == 성적 == === 판매량 === [[한터차트]] 집계 기준 총 2,050,000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였다.[* [[토니 안]]이 데뷔 음반이 100만 장이고, 우리 앨범 최고기록이 정규 2집 160만 장 정도 나갔다고 한 것을 보아 데뷔 앨범이 100만 장 이상 팔린 것에도 신뢰할 수가 있다.] 정규 1집 앨범의 판매량은 1996년 [[신나라레코드]] 기준 80만 장을 판매하였고, [[https://cafe.daum.net/milkye/YDl/6290?q=%ED%84%B0%EB%B3%B4%202%EC%A7%91%20150%EB%A7%8C%EC%9E%A5&re=1|#]]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 기준으로는 총 1,030,000장이라는 정보가 기여된 적이 있으나, 이 기록은 [[한터차트]]의 판매량이다. 명백하게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가 한터차트 판매량 기록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었다.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 입장으로는 1996년에 집계된 31만 장과 1997년에 집계 된 72만 장이 합산된 수치라고 정보를 올렸으나, 이 주장은 명백하게 사실이 아니다. 일단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가 공식적으로 음반 판매량을 매월 발표하기 시작한 시기는 1998년 9월이었으며, 해당 시기 이전 발매 6개월 전 음반부터 발표한다고 밝혔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4333603|기사]] 하지만, 해당 앨범은 1996년 7월 9일 발매다. 즉,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 집계 대상이 아니었으며, 판매량 자료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 해 1997년에 1,020,000장을 판매하여 연간 음반 판매량 4위를 기록했다는 내용도 있었으나, 이 기록도 여전히 앞서 말한 [[한터차트]]의 판매량이다. 그나마 연말에 음반 판매량 수치 및 연간 순위를 발표했던 곳은 당시 가장 큰 음반 유통사였던 [[신나라레코드]]가 집계한 1997년 연간 음반 판매량 자료에 의하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121200239135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7-12-12&officeId=00023&pageNo=35&printNo=23909&publishType=00010#|기사]] [[H.O.T.]] 2집이 연간 음반 판매량 1위를 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1집이 발표한 순위에는 없다. 1996년 연말 [[신나라 레코드]]가 발표한 연간 음반 판매량에서 80만 장을 팔았지만[[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122600209127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2-26&officeId=00020&pageNo=27&printNo=23407&publishType=00010#|기사]] [[H.O.T.]] 정규 1집 판매량은 순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즉, 정규 1집 판매량은 당시 공식 판매량 기관이 [[신나라레코드]], [[한터차트]] 총 2곳만 존재했기 때문에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 판매량은 잘못된 정보였고, 위의 판매량은 한터차트 판매량 기록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었다. 추후 2023년, 발매 27년 만에 드디어 공식 판매량이 밝혀졌다. 당시 [[한터차트]]는 이미 1993년부터 판매량을 집계하기 시작하였다. [[신나라레코드]]와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보다 훨씬 더 일찍 판매량을 집계했다는 것이다. 다만 당시 한터차트 판매량이 남아 있지 않았던 이유는 [[신나라레코드]]나 [[한국음반산업협회|한국영상음반협회]]처럼 연말 신문 발표나 자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터차트가 공식적으로 자사 공식 홈페이지에 판매량 자료를 공개하기 시작한 시점은 2002년부터였다. 그러다 2023년 한터차트 출범 30주년 및 첫 오프라인 시상식 개최를 기념하여 당시에 집계한 판매량 자료를 자사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하였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H.O.T.]] 데뷔 앨범이자 정규 1집은 [[https://awards.hanteo.com/museum/?l=ko&m=false&year=1996|1996년 집계 기준으로 1,030,000장]]([[https://archive.md/3rPuU|아카이브]]), [[https://awards.hanteo.com/museum/?l=ko&m=false&year=1997|1997년 집계 기준으로 1,020,000장]]([[https://archive.md/4uuvB|아카이브]]), 총 2,050,000장의 판매고를 기록한 것이 드디어 밝혀졌다. 한터차트가 해당 자료를 공개하면서 집계 기준을 이와 같이 안내하고 있다. '1990년대는 연간 발매 앨범수가 1천 장 미만인 관계로 앨범을 기준으로, 2000년대 이후부터는 연간 발매 앨범수가 1천 장 이상이기에 아티스트를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합니다. 해당 순위는 1993년부터 집계한 한터차트의 케이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즉, 1990년대 판매량은 단일 음반 판매량 기준이라는 것이다. 1996년, 1997년 판매량을 확인해보면 확실히 1집 단일 음반 판매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96년과 하반기인 9월 7일에 발매되었지만, 발매 시기가 지난 97년까지 1996년에 4개월 동안 팔린 판매량 수치와 비슷한 수치로 팔린 위엄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부정확하거나 추측성 내용으로 날조된 판매량이 아니라, 공식 집계 기관이 발표한 공식 판매량이 드디어 밝혀진 것이다. 오히려 그동안 추정치로 집계하여 음협 판매량이라고 날조됐던 수치보다 훨씬 더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써 [[H.O.T.]]는 역대 아이돌 그룹 최초로 단일 앨범 누적 판매량 200만 장 이상의 대기록을 썼다는 사실과 [[H.O.T.]] 자체 판매량 또한 최고 기록을 썼다는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 시상식 === ||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 1996년 12월 8일 || [[골든디스크어워즈|제11회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 SKC 신인 가수상 ||<|4> [[캔디(H.O.T.)|캔디]] || ||<|2> 1996년 12월 13일 ||<|2>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KMTV 가요대전]] || 인기 가수상 || || 시청자상 || || 1996년 12월 29일 || [[SBS 가요대전]] || 신인상 || === 음악 방송 순위 === || '''날짜''' || '''방송명''' || '''곡명''' || '''비고''' || || 1996년 12월 15일 ||<|2> [[SBS]] TV가요20 ||<|5> [[캔디(H.O.T.)|캔디]][br](5회) || '''데뷔 후 첫 1위''' || || 1996년 12월 22일 ||<|3> 1위 || ||<|2> 1996년 12월 28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 1996년 12월 29일 || [[SBS]] TV가요20 || 연말결산 1위 || ||<|2> 1997년 1월 4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11> [[캔디(H.O.T.)|캔디]][br](11회) ||<|4> 1위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 1997년 1월 5일 || [[SBS]] TV가요20 || || 1997년 1월 8일 || [[가요톱10|KBS 가요톱10]] || ||<|2> 1997년 1월 11일 || [[인기가요 베스트 50|MBC 인기가요 베스트 50]] || '''1위[br](3주 연속, BEST OF BEST)''' ||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 || || 1997년 1월 12일 || [[SBS]] TV가요20 || 1위 || || 1997년 1월 15일 || [[가요톱10|KBS 가요톱10]] || '''1위[br](2주 연속)''' || || 1997년 1월 18일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 || || 1997년 1월 19일 || [[SBS]] TV가요20 || '''1위[br](왕중왕, 5주 연속)''' || || 1997년 1월 25일 || [[쇼! 뮤직탱크|KMTV 쇼 뮤직탱크]] || '''1위[br](5주 연속, 최강자)''' || == 여담 == * 거의 모든 수록곡이 [[문희준]]과 [[강타]]의 듀엣곡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다른 멤버들의 파트가 심히 적다. 사실 듀엣이라고 하기도 뭐한게 강타와 문희준 사이에서도 어마어마한 분량 차이가 존재한다.[* '[[전사의 후예]]'를 예로 들면 [[장우혁]]의 인트로 파트 랩 다음에 후렴구→강타의 솔로→문희준의 솔로→후렴구(이재원의 찬조출연)→다시 강타의 솔로→토니의 솔로→랩 합창→장우혁의 랩→후렴구로 이어진다.] 솔로 부분만 봐도 문희준+[[토니 안]]을 합해야 강타와 비슷한 수준이며 사실상 강타 혼자 파트가 나머지 멤버들 파트 다 합친 것과 맞먹는다.[* 실제 무대에선 장우혁 및 다른 멤버들이 돌아가며 센터로 나오고 장우혁/문희준의 화려한 퍼포먼스가 곁들어지지만 그래도 압도적이다.] 팀의 메인 보컬인 강타가 랩까지 제일 많이 하니 비중이 거의 폭발한 것. 게다가 보컬 멤버 중 한명인 토니가 [[미국]]에서 학업을 다 마치고 오느라 --데뷔 2개월 전 합류-- 일정상 대다수 곡의 녹음이 끝난 후에 합류하게 되어 파트가 더욱 강타에게 몰빵된 것. [* '[[전사의 후예]]' 뮤직비디오에도 [[토니 안]]만 사복을 입고 나왔는데 무대 의상을 맞출 시간이 없을 정도로 일정이 촉박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도 토니안은 2~3곡의 고음 후렴구와 '[[캔디(H.O.T.)|캔디]]'에서 결정적인 후렴구 파트를 맡고 --작곡가가 토니안의 보컬을 듣고 토니안이 후렴구를 부르지 않으면 이 노래를 안주겠다고 했다-- 장우혁도 메인 래퍼로서 비중이 그렇게 작지만은 않지만, 이재원은 매우 처참하다.[* 파트가 아예 없거나 딱 한 파트 혹은 한 줄 뿐이다.] * 앨범 커버는 미국 펑크 밴드 [[랜시드]]의 3번째 앨범 And Out Come the Wolves와 매우 유사하다. [[https://en.wikipedia.org/wiki/...And_Out_Come_the_Wolves|직접 보고 생각하길.]] 그리고 '[[캔디(H.O.T.)|캔디]]'로 H.O.T.를 접한 사람들은 꽤 우울한 앨범커버를 보고 놀라기도 하는데 사실 1집 타이틀곡은 '캔디'가 아니라 '전사의 후예'였기에 본의 아니게 갭이 느껴졌던 것. * 타이틀곡과 후속곡 외에는 '널 사랑한 만큼', '내가 필요할 때',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이 노래는 [[https://www.youtube.com/watch?v=ZeNjQFukLh0|미니콤퍼넌트 CF]]로 등장했다.]를 방송에서 자주 불렀다. * 고도로 체계화된 [[K-POP]] 아이돌 시스템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인 음반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사운드의 퀄리티는 꽤나 조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거기다가 과거 SM 출신 2인조 그룹이었던 J&J가 불렀던 노래도 2곡이나 재탕 커버했다. 당시 [[SM엔터테인먼트]]가 지금처럼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앨범이기도 하다. 유영진은 대중적으로 커다란 인기를 끌지 못했고, [[현진영]]은 마약 등 추문으로 추락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 '우리는 모든 종류의 폭력을 증오한다'는 앨범 타이틀처럼, 타이틀곡은 '전사의 후예'로 정해졌다. 사실 앨범 수록곡 전체의 맥락을 따져보면 이 타이틀은 꽤 공허하게 보이기도 한다. 타이틀곡 외엔 주로 사랑노래들로만 채워져 있으니. 예외가 있다면 '오늘도 짜증나는 날이네' 정도지만, 이 곡도 폭력이란 주제와는 상당히 동떨어져 있는 개그 가사(?)다. * 어쨌든 가요 순위 프로그램 10위권 내에 드는 등 인기몰이를 시작했으나, 사이프러스 힐의 'I Ain't Goin' Out Like That'을 표절했다는 이야기가 터지면서 재빠르게 후속곡을 내놓았다. 바로 그 후속곡이 H.O.T.를 최고 인기 그룹의 반열에 올려놓은 노래이자 H.O.T. --1세대 남돌-- 최고의 메가히트곡 '''[[캔디(H.O.T.)|캔디]]'''. * 곡들을 일부 들어보면 [[서태지와 아이들]]과 분위기가 비슷한 곡들이 있다. 90년대 당시에는 서태지와 아이들의 존재감이 워낙 독보적이였고 대부분의 댄스그룹들이 이들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들을 따라한 경우가 많았다... * 2021년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서 선정한 K-POP 100선에서는 '캔디'가 17위, '전사의 후예'가 58위에 랭크되었다. 한 앨범에서 복수의 곡이 랭크인된 것은 이 앨범이 유일하다. * 카세트 테이프 음반 한정으로 '내가 필요할 때' 연주곡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정식 수록곡이 전부 트랙타임이 비슷한데다가 총 9곡인데 카세트 테이프 같은 경우는 녹음 분량이 많이 남는다. 그래서 그 공백을 채우기 위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한 듯 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O.T., version=2166, paragraph=10)] [[분류:H.O.T./음반]][[분류:1996년 데뷔 음반]][[분류:한국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