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Webdriver Torso'''}}} || || '''채널명''' ||Webdriver Torso || || '''유튜브 시작일''' ||2013년 3월 8일 || || '''구독자''' ||21.9만명[*A 2022년 6월 25일 기준] || || '''누적 조회수''' ||26,093,819회[*A] || ||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LiV4WJfkTEHH0b9PmRkl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설명 == [youtube(UGIR0Lb7o2s)] '미스테리한 유튜브 채널'로 [[유튜브 괴담]]으로 일컬어지던 채널이다. 사실 Webdriver Torso외에도 비슷한 유튜브 채널로 Webdriver YPP, FF0000, Ekaterina Basic, Webdriver IVPE등도 있지만 Webdriver Torso가 가장 유명하다. 이 채널은 2013년 9월 23일 [[https://youtu.be/O0QDEXZhow4|첫 영상]]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aqua' 라는 제목의 영상들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올라오는 영상들은 모두 특징이 있는데 * '''10~12초 분량의 짤막한 길이이다.'''[* 10~20개 영상마다 하나 정도씩, 최대 30분 정도까지 길어지기도 한다. 주로 10초짜리와 1분 40초, 25분짜리가 올라온다.] * '''9~10개 정도의 슬라이드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재생된다.''' * '''각각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음량은 같지만 주파수가 서로 다른 버저음이 나온다.'''[* 2017년 1월 19일에 2슬라이드 연속으로 같은 버저음이 나오는 영상이 발견되었다.,2021년 11월 23일에 2슬라이드 연속으로 같은 버저음이 나오는 영상이 또 발견되었다.] * '''흰 바탕에 [[파란색]]과 [[빨간색]]의 직사각형이 등장하며, 각 슬라이드마다 그 크기와 위치가 달라진다.''' 마찬가지로 각 동영상 마다 모두 동일하지 않는다. * '''좌측 하단에 aqua.flv - slide **** 라는 글자가 있고, 슬라이드가 넘어갈 때마다 번호가 증가한다.''' * '''파란색과 빨간색 사각형이 겹치면 빨간색이 위에 있다.''' [* 이 때문에 파란색 사각형이 완전히 덮어져서 화면엔 빨간색 사각형만 보여질때도 있다.] 항상 이런 식의 영상들이 전부이다. 원래 초기에는 업로드되는 모든 영상들의 제목은 aqua 였지만, 특정 주기를 기점으로 영상 제목이 항상 tmp****** 이런 식으로 올라오기 시작했으며 * 부분에는 알파벳을 임의적으로 조합한듯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띄어쓰기 포함 10글자다. 특히 이 유튜브 채널이 미스테리 한 점은 '''새로운 영상이 올라오는 시간 간격이 단 몇 초도 되지 않으며, 그것도 쉬는 주기 없이 영상이 계속 계속 올라온다는 것이다.''' 사람이 일일이 올리는 것이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기에 프로그램 봇을 돌리지 않는 한은 불가능한 작업이다. 이 유튜브 채널은 현재 영상이 가장 많이 올라온 유튜브 채널 2위에 랭크되어있다.[* 1위는 Chaîne de CODblackopsXBOX이라는 채널로 '''약 72만 개'''의 동영상이 올려져있는데 전부 게임 플레이 영상이다. 여담으로 3위는 약 56만 개의 동영상을 올린 360codMW3 채널.] 한때 업로드를 멈추었다가 2018년 5월 중순부터 업로드가 재개되었고 2019년 10월 31일 이후 다시 업로드가 멈추었다. 그리고 2년이 지난 2021년 11월 23일 자정[* 한국시간]쯤 다시 영상을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프로그램 봇이 돌리는 것 같긴 하지만 사람이 종종 관리를 하긴 하는 모양인지, 이 유튜브 채널이 '좋아요'를 표시한 영상이 딱 4개 정도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P_9-7wn2RXE&list=LLsLiV4WJfkTEHH0b9PmRklw|#]][* 현재는 재생목록이 비공개 처리 되었다]한 영상은 본인이 올린 영상이지만 나머지 3개는 다른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그냥 평범한 외국 방송 영상이다. 덧붙여 이 채널이 구독을 하고 있는 채널도 12개인데[[https://www.youtube.com/channel/UCsLiV4WJfkTEHH0b9PmRklw/channels|#]], 이중 7개는 유튜브 공식 관련 채널들이고 나머지는 [[https://www.youtube.com/channel/UCGg-UqjRgzhYDPJMr-9HXCg|Creator Insider]][* 덧붙여 Webdriver Torso가 '좋아요'를 클릭했던 영상 중 하나도 이쪽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되어 있던 것이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ZEqXoz7G4sPniv_hJJbVhw|Ольга Матвей]], [[https://www.youtube.com/channel/UC_yP2DpIgs5Y1uWC0T03Chw|Joueur Du Grenier]], [[https://www.youtube.com/channel/UCQWvRp7dm9D1Qmz8eQYiQGA|patpourri]] 등이다. 여담으로 patpourri 의 경우는 Webdriver Torso가 활동을 중단한 2017년 5월 22일 마지막 영상을 올린 다음에 구독한 것이다. 가끔 '''빨간색, 파란색의 영상이 아닌 것이 올라오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00014' 라는 이름의 '''[[에펠탑]]''' 영상이 뜬금없이 올라온 바 있다.[[https://youtu.be/SKvIyDB5FRU|#]] 아이러니 한 점은 Webdriver Torso가 올리는 영상의 특징인 '흰바탕, 파랑색, 빨간색' 배치 모두 [[프랑스]]의 [[삼색기]] 구성이다. 해당 영상에는 의미불명하게 "Matei는 매우 똑똑합니다"(Matei is highly intelligent)라는 코멘트까지 달렸다. 해당 에펠탑 영상 마지막에 짤막하게 노트북 화면이 보이는데 워낙 빠르게 지나가서 제대로 확인하긴 어렵지만 [[페이스북]] 화면으로 추정된다. == 정체 == 이에 수많은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관심을 가져서, 호사가들은 이것이 첩보원들이 본국에 연락을 취하기 위한 [[난수방송]]의 한 종류나 내지는 [[외계인]]의 신호라고도 하고, 비밀 조직이 그들만의 연락을 취하는 [[암호]]이거나 내지는 신입 조직원들을 받아들이기 위한 테스트[* 이는 실제로 [[Cicada 3301]]이라는 의문의 단체가 신입모집 테스트를 진행한 것도 있어서 더욱 그럴싸해 보인다.]라는 다양한 주장이 나왔다. 이로 인해 아마추어 암호덕후들이 파란색 빨간색의 직사각형들 속에 뒤덮인 채로 어떻게든 숨겨진 패턴과 메시지를 찾아내기 위해 혈안이 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도대체 그 "Matei" 라는 사람이 누구일지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하게 오갔다. 결국 나중에는 영국 [[BBC]] 방송에서도 관심을 갖고 파기 시작했는데, [[http://www.bbc.com/news/technology-27238332|프로 암호해독가들에게 자문을 구해 가면서 열성적으로 이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애썼다.]] 드디어 2014년이 되어서야 뒤늦게 밝혀진 진짜 정체는 [[구글]]의 테스트 계정. [[이탈리아]]의 한 블로거가 밝혀낸 바에 따르면, [[취리히]] 소재 구글 오피스에서 근무중인 두 직원 "Johannes Leitner" 와 "Matei Gruber" 가 특정된다. 앞에서 보았던 에펠탑 영상에 Webdriver Torso가 직접 작성한 코멘트인 ~~똑똑하다고 칭찬했던~~ "Matei" 의 정체였던 것이다. 각 영상들의 정체는 유튜브의 영상 질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에 쓰인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http://www.engadget.com/2014/06/06/this-is-the-truth-behind-webdriver-torso|테스트를 위해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을 업로드 이전의 영상의 질과 비교한다는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는 몇몇 의문점들, 가끔씩 튀어나오는 이상야릇한 메시지들은 대체 무엇인지, 동영상 제목으로 한때 쓰였던 "aqua" 는 어떤 의미일지 같은 부분들까지 해소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이는 호사가들과 [[음모론]] 애호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떡밥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구글 측에서 공식 입장을 냈는데... > "We're '''[[Never Gonna Give You Up|never gonna give you up]]'''loading that's slow or loses video quality, and we're '''never gonna let you down''' by playing YouTube in poor video quality. That's why we're always running tests like Webdriver Torso. >---- >우리는 여러분에게 속도가 느리거나 영상의 품질 하락을 수반하는 업로딩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며, 저품질의 비디오로 여러분을 실망시키지도 않겠습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Webdriver Torso 같은 테스트를 하는 이유입니다.[* 볼드 처리가 되어있는 문장은 [[릭롤링]]으로 유명한 외국의 [[밈(인터넷 용어)|밈]] 요소로 쓰이는 노래 'Never gonna give you up'의 가사 일부이다.] 덧붙여 비슷한 유튜브 채널인 Webdriver YPP 역시 가끔씩 빨간색, 파란색 영상이 아닌 걸 올리기도 한다. [[하늘색]] 바탕에 흰 원 두 개로 구성된 영상이 올라오기도 [[https://www.youtube.com/watch?v=Q28WK2pMuPs|하며]], 가끔은 의미는 알겠지만 맥락을 좀체 짐작할 수 없는 이상한 메시지들도 툭툭 튀어나오기도 한다. 유사한 것으로 "Unfavorablesemi" 혹은 Unfavorable semicircle 이라는 채널도 있었다가 계정 정지 처분되었다. [[파일:mCWhC6Y.png]] 이와 관련된 [[이스터 에그]]가 있는데, [[유튜브]]나 [[구글]]의 검색 창에 "Webdriver Torso"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보면 구글의 경우 구글 로고가 다채로운 색깔의 직사각형들의 슬라이드로 바뀌고, 유튜브의 경우 영상 목록이 온통 거대한 빨간색 직사각형으로 뒤덮인다.[* 현재 유튜브에선 이스터 에그가 사라진 상태다. --다만,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 시 이전 디자인의 유튜브로 접속되며 이 때는 해당 이스터에그를 볼 수 있다.-- 2021년 현재 익스플로러로 접속하여도 새로운 디자인의 유튜브로 접속되어 더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https://web.archive.org/web/20150120033344/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webdriver+torso]]][* 구글에 검색하면 왼쪽상단에 google로고가 바뀐다] 2014년에 공개되었던 안드로이드 L 프리뷰에서 [[패러디]] 되었다[[https://youtu.be/ZHqq6Sr2cXI|#]]. 화면 아래에 표기되는 동영상 제목은 android_L.flv build 1236599. [youtube(klqi_h9FElc)] [[릭롤링|Webdriver Torso ft. RICK ASTLEY]] 참고로 이건 진짜 계정에서 올린 영상이다(...). 동영상 제목의 RKRL85의 뜻도 RICKROLLING1985(릭 애슬리의 데뷔년도)의 줄임이라는 추측이 유력하다. ~~여담으로 영상과 소리가 싱크가 맞지 않는다~~ == 리믹스 == 이 채널의 동영상에 나오는 음악을 사용하여 리믹스한 곡도 간간히 존재한다.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영상은 [[https://www.youtube.com/watch?v=Ctih2tSdY-I|이 영상]]이며 2017년 1월 현재 110000여명이 감상했다. 원곡은 [[https://youtu.be/jDjGVuKrp54|Other Origins - Light Years]]. [각주] [[분류:유튜브 채널]][[분류: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