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urple Rain)] ||<#4B0082> '''When Doves Cry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프린스(음악가)|Prince]] {{{#b2a529 미국 싱글}}}}}}''' || || ''Automatic''[br](1983) || {{{+1 →}}} || ''' ''When Doves Cry''[br](1984)''' || {{{+1 →}}} || ''[[Let's Go Crazy]]''[br](1984) || ---- ||<-5> '''{{{+1 [[프린스(음악가)|Prince]] {{{#b2a529 영국 싱글}}}}}}''' || || ''D.M.S.R.''[br](1983) || {{{+1 →}}} || ''' ''When Doves Cry''[br](1984)''' || {{{+1 →}}} || ''[[Purple Rain(노래)|Purple Rain]]''[br](1984) || ---- [include(틀: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52, 연도=2010, 순위2=37, 연도2=20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1)]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113)] ---- [include(틀:VH1 선정 1980년대 최고의 노래)]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1)] }}} || ||<-2><#4B0082> '''{{{+1 When Doves Cr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G3VcCAlUgE, width=100%, height=200)]}}}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Purple Rain|{{{#7c69a0 '''Purple Rain'''}}}]]}}} || || '''아티스트'''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 '''싱글 발매일''' ||[[1984년]] [[5월 16일]] || || '''싱글 B면'''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17 Days|| || '''앨범 발매일''' ||[[1984년]] [[6월 25일]] || || '''녹음 기간''' ||1984년 3월 || || '''스튜디오''' ||선셋 사운드 ([[캘리포니아 주]] [[로스 앤젤레스]]) || || '''장르''' ||[[신스팝]], [[:분류:미니애폴리스 사운드|미니애폴리스 사운드]], [[팝 록]]|| || '''작사/작곡''' ||[[프린스(음악가)|프린스]] || || '''프로듀서''' ||[[프린스]] || || '''러닝 타임''' ||5:53 || || '''레이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파일:워너 브라더스 로고.svg|width=4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en Doves Cry.jpg|width=100%]]}}}|| || '''미국 싱글 커버''' || }}}}}}}}} || [목차][clearfix] == 개요 == ||<#4B008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TUSeac7IuQ,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Yv8xFAI_P0, height=200)]}}} || || '''음원''' || '''1990년 라이브''' || [[미국]]의 아티스트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싱글이며 그의 6집 앨범 [[Purple Rain]]의 첫 싱글로 1984년 5월 16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1980년대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인 동시에 프린스의 대표곡이다.''' Kiss, Let's Go Crazy와 함께 꼽는 프린스의 대표적인 히트곡으로, 곡 자체가 음악계에 끼친 영향과 흥행 기록이 워낙 막대하여 프린스 최고의 명곡으로 가장 자주 꼽히는 곡이라 할 수 있다.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곡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된다. [[빌보드 핫 100]]에서는 5주 1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 히트를 기록하였으며, 연말 차트 1위를 기록하여 1984년 당시 가장 많이 팔린 곡이었다. 7인치 싱글 버전에서는 3분 50초로 줄어든다. 베이스가 없이 신디사이저로 진행된다. 원래 작업 과정에서는 베이스 라인이 존재했으나, 가수 질 존스와의 상의에서 곡의 베이스 라인이 너무 평범하다고 생각되어 아예 빼 버렸다고 한다. == 가사 == ||<:> ---- '''{{{+4 When Doves Cry}}}''' ---- Dig if you will the picture 당신 마음이 내킨다면 Of you and I engaged in a kiss 당신과 내가 뜨겁게 키스하는 것을 상상해 봐 The sweat of your body covers me 당신 몸에서 흐르는 땀이 나를 뒤덮고 있어 Can you, my darling 내 사랑, 그대 Can you picture this? 이것을 상상할 수 있겠어? Dream if you can a courtyard 당신이 할 수 있다면 An ocean of violets in bloom 제비꽃이 핀 바다같은 안뜰을 꿈꿔 봐 Animals strike curious poses 동물들은 묘한 포즈를 취하면서 They feel the heat 당신과 내가 내뿜고 있는 The heat between me and you 열기를 느끼고 있지 How can you just leave me standing 당신은 어떻게 나를 이 추운 세상에 Alone in a world that's so cold? 홀로 서 있게 내버려둘 수 있어? Maybe I'm just too demanding 어쩌면 내가 너무 지나친 요구를 하는 건지도 몰라 Maybe I'm just like my father too bold 어쩌면 내가 내 아버지처럼 뻔뻔한 건지도 몰라 Maybe you're just like my mother 어쩌면 당신이 내 어머니같을 수도 있지 She's never satisfied 어머니는 만족하는 법이 없거든 Why do we scream at each other 우리는 무엇 때문에 서로 소리를 지르는 걸까? This is what it sounds like 이 소리는 마치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나는 소리 같아 Touch if you will my stomach 당신이 내 배를 만진다면 Feel how it trembles inside 안쪽이 얼마나 떨리는지 느껴 봐 You've got the butterflies all tied up 당신은 속박된 나비의 심정을 느끼게 될 거야 Don't make me chase you 비둘기들이 발정이 났다고 해도 Even doves have pride 당신 뒤를 졸졸 따라다니게 하지 마 How can you just leave me standing 당신은 어떻게 나를 이 추운 세상에 Alone in a world that's so cold? 홀로 서 있게 내버려둘 수 있어? Maybe I'm just too demanding 어쩌면 내가 너무 지나친 요구를 하는 건지도 몰라 Maybe I'm just like my father too bold 어쩌면 내가 내 아버지처럼 뻔뻔한 건지도 몰라 Maybe you're just like my mother 어쩌면 당신이 내 어머니같을 수도 있지 She's never satisfied 어머니는 만족하는 법이 없거든 Why do we scream at each other 우리는 무엇 때문에 서로 소리를 지르는 걸까? This is what it sounds like 이 소리는 마치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나는 소리 같아 How can you just leave me standing 당신은 어떻게 나를 이 추운 세상에 Alone in a world that's so cold? 홀로 서 있게 내버려둘 수 있어? Maybe I'm just too demanding 어쩌면 내가 너무 지나친 요구를 하는 건지도 몰라 Maybe I'm just like my father too bold 어쩌면 내가 내 아버지처럼 뻔뻔한 건지도 몰라 Maybe you're just like my mother 어쩌면 당신이 내 어머니같을 수도 있지 She's never satisfied 어머니는 만족하는 법이 없거든 Why do we scream at each other 우리는 무엇 때문에 서로 소리를 지르는 걸까? This is what it sounds like 이 소리는 마치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나는 소리 같아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Don't Cry 울지 마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When Doves cry 비둘기가 울 때 Don't cry 울지 마 Darling, don't cry 내 사랑, 울지 마 Don't cry 울지 마 Don't cry 울지 마 Don't don't cry 울지 마 ---- [[프린스(음악가)|[[파일:프린스 로고 (Purple Rain 전용).png|width=95]]]] ---- || == 차트 성적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The Reflex, 전번_아티스트=듀란 듀란, 전번_1위_기간=2주 연속, 이번_곡=When Doves Cry, 이번_아티스트=프린스(음악가), 이번_1위_기간=5주 연속, 후번_곡=Ghostbusters, 후번_아티스트=레이 파커 주니어, 후번_1위_기간=3주 연속)] [[빌보드 R&B 차트]]에서 1984년 6월 다섯번째 주부터 8월 셋째 주까지 8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84년 7월 첫째 주부터 8월 첫째 주까지 5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84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와 [[198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123위에 올랐다. == 여담 == * [[미네소타 트윈스]] 홈 경기에서 상대팀 타자가 삼진아웃을 당하면, [[타깃 필드]]에서 이 노래의 끝 부분을 배경음으로 틀어준다. [[분류:프린스(음악가) 노래]][[분류:Purple Rain]][[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84년 노래]][[분류:1984년 싱글]][[분류:사운드트랙 싱글]][[분류:신스팝]][[분류:미니애폴리스 사운드]][[분류:팝 록]][[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