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Terence Trent D'Arby]]의 싱글}}}''' || || "[[If You Let Me Stay]]"[br](1987) ||<|2> → || '''Wishing Well'''[br](1987) ||<|2> → || "[[Sign Your Name]]"[br](1988) || ||
<:><-2> '''{{{+1 {{{#ffffff Wishing Well}}}}}}''' || ||<-5><:> [[파일:Wishing_Well_Terence_Trent_D'Arby.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Introducing the Hardline According to Terence Trent D'Arby]]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Terence Trent D'Arby]] || ||<:><#7d7d7c> {{{#ffffff '''B-Side'''}}} ||<(> "Elevators & Hearts" || ||<:><#7d7d7c> {{{#ffffff '''발매일'''}}} ||<(> 1987년 12월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87년 || ||<:><#808080> {{{#ffffff '''장르'''}}} ||<(> [[소울 음악|소울]], [[팝 음악|팝]], [[펑크(음악)|펑크(Funk)]]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3:30 (앨범 버전) || ||<:><#808080> {{{#ffffff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CBS]]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Terence Trent D'Arby]], Sean Oliver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Terence Trent D'Arby]], Martyn Ware || [목차] [clearfix] == 개요 == [[테렌스 트렌트 다비]]의 싱글이며 그의 데뷔 앨범 [[Introducing the Hardline According to Terence Trent D'Arby]]의 두번째 싱글로 1987년 12월에 발매되었다. == 상세 == 블루지한 느낌의 멜로디 위로 [[테렌스 트렌트 다비]]의 소울풀한 보컬이 올라간 사랑 노래이며 1988년 미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드럼 연주와 테렌스의 보컬이 돋보이는 미니멀한 곡 구성으로 이루어졌고 [[신디사이저]]와 기타, [[혼 섹션]], 실로폰도 사용되었다. == 오디오/뮤직 비디오 == || 오디오 (앨범 버전) || ||[youtube(ZoOlAI8oQS8)]|| || 뮤직 비디오 || ||[youtube(ynIHsHYaig0)]|| == 가사 == ||[Verse 1] Kissing like a bandit, stealing time Underneath a sycamore tree Cupid by the hour sends valentines To my sweet lover and me Slowly but surely Your appetite is more than I knew Sweetly, softly I'm falling in love with you [Chorus]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butterfly tears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crocodile cheers, sing [Post-Chorus] Make it funky now, boys [Verse 2] Hugging like a monkey see, monkey do Right beside a riverboat gambler, hahaha Erotic images float through my head Say you wanna be a midnight rambler (I wanna be a midnight rambler) Quickly, but quickly The blood races through my veins Quickly, loudly I wanna hear those sugar bells ring [Chorus]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butterfly tears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crocodile cheers, get up [Post-Chorus] On the beat now, uh Come on [Chorus]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butterfly tears, come on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A wishing well of crocodile cheers, uh [Outro]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Yeah, I feel like goin' on, I feel like goin' on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Come on, come on Erotic images float through here Your midnight rambler, baby, uh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Yeah, hoo, dig it, follow you anywhere I don't know, I don't care (Wish me love, a wishing well to kiss and tell) But all I know is that I gotta be a midnight rambler, baby, uh||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88년 4월 첫째 주에 1주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88년 5월 첫째 주에 1주 1위를 기록했다. [[1988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2위, 1988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선 13위에 올랐다. == 여담 == 당시 김광한이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매주 특정 요일에 빌보드 top 40를 방송했었는데 이 노래의 인기가 계속 올라가는데도 음반을 구하지 못했는지 유독 이 노래만 틀어주지 않았다. 그러다가 이 노래가 마침내 1위에 오르자 어디서 구했는지 이 노래를 틀어 주었다. [[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1987년 노래]][[분류:1987년 싱글]][[분류:소울 음악]][[분류:팝]][[분류:Fu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