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XM148}}}'''[br]''Launcher, Grenade, 40mm, XM14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48_profile 0.webp|width=100%]]}}}|| || '''종류''' ||[[유탄발사기]]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4년]]~[[1990년대]] || || '''개발''' ||[[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칼 R. 루이스]][br]로버트 E. 로이 || || '''개발년도''' ||[[1964년]] || || '''생산''' ||[[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쳐링]] || || '''생산년도''' ||[[1964년]]~[[1970년]] || || '''생산수''' ||50,000정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3]] [[호주]] || || '''사용된 전쟁''' ||[[베트남 전쟁]][br][[걸프 전쟁]] || ||<-2> {{{#White '''기종'''}}} || || '''파생형''' ||CGL-4[br]CGL-5 || ||<-2> {{{#White '''제원'''}}} || || '''탄약''' ||[[40×46mm]] || || '''급탄''' ||1발 [[후장식]] || || '''작동방식''' ||슬라이드 액션 || || '''총열길이''' ||254mm || || '''전장''' ||419mm || || '''중량''' ||1.36kg || || '''탄속''' ||74.5m/s || || '''최대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VMSJF72jp4,width=600)]}}}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XM148은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에서 CGL-4(콜트 4호 유탄발사기, Colt Grenade Launcher-4) 제품명으로 개발된 [[미군]]의 시험 제식형 [[40mm]] [[유탄발사기]]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79_usmc 1.jpg|width=100%]]}}} ||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Category:M79_grenade_launcher#/media/File:Company_A_1.9_Marines_Operation_Prairie_II.jpg|1967년]] 제2차 프레리 작전에서의 [[M79]]''' || [[통킹만 사건]]이 벌어지기 1년 전인 1963년, [[미합중국 육군]]에서는 오랫동안 지체된 [[SPIW|특수목적 개인화기(SPIW)]] 대신 [[M16 소총#XM16E1|XM16E1]] 구매 결정이 내려짐과 동시에 훨씬 이전의 [[SPIW|니블릭]][* [[아이언(골프)|9번 아이언]] [[골프클럽]]의 별칭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Special_Purpose_Individual_Weapon#Project_NIBLICK|계획(Project NIBLICK)]]의 대안으로 개발되었으나 [[개머리판]]이 달린 단발 중절식 독립형이었던 탓에 30m[* 이에 대비한 [[https://www.bulletpicker.com/pdf/TM%209-1385-51,%20Ammunition%20(Conventional)%20for%20Explosive%20Ordnance%20Disposal.pdf|XM576]] [[40×46mm#M576 40 mm 벌집탄(Beehive)|벌집탄]]이 있었지만, [[권총]]이나 [[기관단총]] 같은 부무장으로 대응하는게 훨씬 나았다.] 이내의 근접전에서 불리한 [[M79]]를 대체하려는 [[총기 액세서리|전용]] [[유탄발사기]] 물색이 진행되었다. 여기에는 단 [[https://www.historicalfirearms.info/post/160102485459/colt-xm148-grenade-launcher-there-have-been|48일]] 만에 제작된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CGL-4가 [[미국]] [[조지아주|조지아 주]] [[포트 베닝]]에서 진행된 [[스프링필드 조병창]], 필코-[[포드 모터 컴퍼니|포드]],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AAI) 사의 제출품들과의 경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발사 이후에 [[금(동음이의어)#금, 긋거나 깨진 자국|금]]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포신]] 덮개의 결함이 완전히 해결되지 못했음에도 1962년부터 [[M16 소총#AR-15, XM16|M16]]을 정식 운용하고 있었던 [[미합중국 공군]]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1966년에 [[https://guns.fandom.com/wiki/Colt_CGL-4|10,500정]] 납품 계약이 맺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48(xm16e1)_101st 0.png|width=100%]]}}} || || '''[[https://catalog.archives.gov/id/66955094|1967년]] [[M16 소총#XM16E1|XM16E1]]에 부착된 XM148''' || 먼저 초도물량 1,764정이 [[베트남]] 현지로 보내져 [[MACV-SOG|베트남군사원조사령부 특수작전단(MACV-SOG)]]을 시작으로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그린베레]]나 [[네이비 씰]] 등의 [[특수부대]][* 일부는 [[호주]] [[SASR|SAS 연대]]로도 보내져 [[FN FAL|L1A1]]과 [[http://i240.photobucket.com/albums/ff160/nosepiece/sas2520bitch8we.jpg|#]][[http://www.pkymasehist.fi/l1_40mm.jpg|#]] [[스털링 기관단총]]에 장착되기도 했다. [[http://i240.photobucket.com/albums/ff160/nosepiece/1a274wx5.jpg|#]]] 위주의 시험 운용이 이루어진 다음 일반 병력에게도 조달되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서 실전에 쓰기에 모자란 성능에 관한 혹평들이 속출하자 추가 계약을 통해 이미 납품되어버린 27,400정과 [[https://armourersbench.com/2019/02/19/colt-cgl-4-xm148-40mm-grenade-launcher/|CGL-5]] 개량안을 뒤로 한채 1968년에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203-program.htm|GLAD(부착식 유탄발사기 개발, Grenade Launcher Attachment Development)]] 사업에 선정된 [[M203 유탄발사기|M203]]에게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m203a2_usmc 1.jpg|width=100%]]}}} || || '''[[https://www.dvidshub.net/image/6901091/charlie-company-conducts-qrf-training-kuwait|2021년]] [[M4 카빈|M4]]에 부착된 [[M203 유탄발사기|M203A2]]''' || 이후 다시 쓰일 여지도 없이 자취를 감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1965년에 따로 7,000정을 따로 구매했었던 [[미합중국 공군]]에서는 [[베트남 전쟁]] 철수 이후 [[소화기(동음이의어)#小火器: 소형 화기 혹은 개인 화기|소화기]] 관련 [[예산]] 배당에 소극적으로 바뀌면서[* [[전투조종사]] 및 [[군사경찰]]에서 따로 운용되던 [[S&W M15|M15]]가 대표적인 일례이며, 수리를 위한 부품 조달 요청에서 [[JSSAP|미군 합동소화기사업(JSSAP)]]이 시행되는 결과를 낳았다.] 1990년의 [[걸프 전쟁]] 시기까지도 쓰였던 [[https://milidom.net/photo/1271321|기록]]이 남아있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48_package 0.webp|width=100%]]}}} || || '''XM148과 구성품''' || 겉보기에는 단순한 [[원통]] 모양을 하고 있지만, 내부 구조가 복잡해 분해 및 조립이 힘들뿐더러 [[방아쇠]]와 장전장치(Cocker)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걸핏하면 나뭇가지나 옷 틈에 잘 걸리는데다 방아쇠 압력은 [[더블 액션|더블액션식]] [[자동권총]] 수준의 6~11[[파운드#질량의 단위|lbs]] 밖에 나가지 않아 오발 가능성 또한 높았으며 왼편에 부착되는 호형 가늠자는 발사로 인한 [[반동]]으로 영점 흐트러짐이 자주 일어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48(m1-carbine)_reloading 0.jpg|width=100%]]}}} || || '''재장전 중의 XM148''' || 포신 밑의 손잡이의 안전장치를 누른 상태에서 힘을 주고 앞으로 밀어 약실 개폐 과정을 마친 다음, 반대쪽의 장전장치로 [[공이치기]]를 젖히고 뒷부분에 길게 늘어진 강철 와이어에 연결된 방아쇠를 당겨야 비로소 발사가 이루어지는 복잡하면서도 직관적이지 않은 작동 방식을 따르면서 특히 [[왼손잡이]] 사수의 사용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했다. == 에어소프트건 == * [[VFC]]에서 콜트 사의 라이센스를 받아 실물의 내외부 특징이 정확하게 재현되었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원산지가 [[미국]]인데도 [[러시아]] 영화에 [[M16A1]]의 전용 [[총열덮개]]에 달려 여러번 등장했는데, [[베트남 전쟁]] 시기에 [[소련]]으로 넘어간 [[베트콩]]의 [[노획]] 수량 중의 일부로 추정된다. * [[https://www.imfdb.org/wiki/To_Survive_(Chtoby_vyzhit)|To Survive]] * [[https://www.imfdb.org/wiki/Antikiller|Antikiller]] * [[https://www.imfdb.org/wiki/Antikiller_2:_Antiterror|Antikiller 2: Antiterror]]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 비공식 유저모드인 [[라이징 스톰 2: 베트남/G.O.M.모드|Gameplay Overhaul Mutator 모드]]에서 [[라이징 스톰 2: 베트남/G.O.M.모드#s-2.1.4|SPEC OPS 팩션]]이 사용한다. [[M16A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 [[배틀필드 베트남]] - 미군의 유탄발사기로 등장하며, [[CAR-15]]에 장착되어 있다. * [[베트콩 2]] - M16에 장착되어 나온다. == 출처 == * [[https://bemil.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08/2020010801870.html]] * [[https://en.wikipedia.org/wiki/XM148_grenade_launcher]] * [[https://guns.fandom.com/wiki/Colt_CGL-4]] * [[https://modernfirearms.net/en/grenade-launchers/u-s-a-grenade-launchers/colt-cgl-4-xm148-2/]] * [[https://smallarmsreview.com/the-xm148-birth-of-the-mounted-40mm-grenade-launcher/]] * [[https://armourersbench.com/2019/02/19/colt-cgl-4-xm148-40mm-grenade-launcher/]] * [[https://www.imfdb.org/wiki/XM148_grenade_launcher]] * [[http://pewpewpew.work/usa/m16/xm148/xm148.htm]] *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3279114A/en?inventor=Karl+R.+Lewis&page=1]]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Hearings/07cxYaMFiVYC?hl=ko&gbpv=1&dq=xm148+grenade+launcher&pg=PA4745&printsec=frontcover]]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Dept_of_the_Army/nQIylgfcWc8C?hl=ko&gbpv=1&dq=xm148+grenade+launcher&pg=PA573&printsec=frontcover]]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Army/xT5EAQAAIAAJ?hl=ko&gbpv=1&dq=xm148+grenade+launcher&pg=RA11-PA130&printsec=frontcover]]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US_Grenade_Launchers/yNQxDwAAQBAJ?hl=ko&gbpv=1&dq=xm148+grenade+launcher&pg=PA30&printsec=frontcover]]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베트남전/ANZAC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유탄발사기]][[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1964년 출시]][[분류:197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