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XM19 SFR}}}'''[br]''Serial Flechette Rifle[br]연발 플레셰트 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69년]]~[[1971년]] || || '''개발''' ||[[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 '''개발년도''' ||[[1968년]] || || '''생산'''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 || '''사용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2> {{{#White '''기종'''}}} || || '''원형''' ||[[SPIW]] || || '''파생형''' ||XM70[br]SBR[br][[ACR]] || ||<-2> {{{#White '''제원'''}}} || || '''탄약''' ||5.56×57mm || || '''급탄''' ||50발 상자형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전장''' ||1,100mm || || '''중량''' ||3.2kg || || '''탄속''' ||1,500m/s || || '''유효사거리''' ||700m || || '''최대사거리''' ||2,0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bvqMywnsm4,width=600)]}}} || || [[Forgotten Weapons]]의 XM19 [[탄창]] 리뷰 영상 || XM19 SFR([[연발]]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소총]])은 [[https://en.wikipedia.org/wiki/AAI_Corporation|AAI]][[AAI|(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Aircraft Armaments, Inc)]] 사에서 개발된 [[미군]]의 [[돌격소총]]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30gl(late)_ria 1.jpg|width=100%]]}}} || || '''[[https://www.secretprojects.co.uk/threads/special-purpose-individual-weapon-prototypes-at-rock-island-arsenal.10311/|록 아일랜드 조병창 박물관]]에 전시된 XM70'''[* 3행이 [[탄창]] 삽입구를 연장시킨 XM70이며, 4행은 옆으로 돌출된 드럼형 탄창 삽입구의 3세대형 SPIW이다.][* 1/5/6행에는 [[스프링필드 조병창]]의 [[https://modernfirearms.net/en/assault-rifles/u-s-a-assault-rifles/spiw-eng/|1966년형 SPIW]], 2행에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미합중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발주를 받아 동시기에 개발된 [[https://en.wikipedia.org/wiki/TRW_Inc.|톰슨 라모 울드릿지(TRW)]] 사의 [[TRW LMR|LMR]]이 있다.] || 1967년의 [[https://apps.dtic.mil/sti/tr/pdf/ADA953118.pdf|ARSAP(미합중국 육군 소화기 사업, Army Small Arms Program)]]에 따른 [[M16A1]] 도입 결정과 [[스프링필드 조병창]] 폐쇄 이후 [[SPIW|특수 목적 개인화기]] 사업은 막대한 인력과 예산 투입에도 실망스러운 심사 결과만을 남긴채 흐지부지되는 듯 보였다. [[AAI]] 사가 자금 지원 없이 개선시킨 [[AAI SPIW#3세대|3세대형 SPIW]]가 의외로 좋은 평가를 받게되자 [[베트남 전쟁]]에 먼저 쓰인 [[M16 소총|XM16E1]]에 관한 [[https://www.pewpewtactical.com/m16-vietnam-failure/|비판들]]까지 더해져 취소에 가까워지던 분위기가 뒤집어지게 되고, 이는 결국 1969년에 [[FRS(군사사업)|미래형 소총]] 사업으로의 이행과 함께 XM19와 전용 [[https://apps.dtic.mil/sti/pdfs/AD0887066.pdf|30mm]] [[유탄발사기]]의 개발로 이어지게 되었다. 1971년에 진행된 미합중국 육군[[https://army.togetherweserved.com/army/servlet/tws.webapp.WebApp?cmd=PublicUnit&type=Unit&ID=56218|전투개발실험사령부]] 주관의 성능 실험에서 [[M16A1]] 대비 낮은 단발 명중률을 포함하여 [[https://cartridgecollector.net/cartridge/556-x-57-spiw-flechette-xm-645/|5.56×57mm XM645]] [[총알/탄자의 종류#플레셰트, Fléchette|플레셰트]] [[탄약]]의 [[유리섬유]] [[새보]] 파편이 사용자에게 [[메스꺼움]]과 호흡기 염증 등을 일으키는 [[https://apps.dtic.mil/sti/pdfs/AD0910937.pdf|문제]] 때문에 바로 종료되었으며, 1974년에 [[피드백]]을 통해 개선된 XM70로 차세대 [[제식 소총]]을 향한 도전이 다시 펼쳐졌지만 여전히 높은 단가와 초과된 목표 중량에 발목이 잡히면서 단 [[https://guns.fandom.com/wiki/AAI_XM70|6번]]의 [[점사]] 만에 실패로 끝났다. 오랜 기간에 걸쳐 쌓인 연구 결과를 쉽사리 포기할 수 없었던 AAI 사는 사출 성형된 [[나일론]] 소재의 SBR을 [[https://looserounds.com/556timeline/|1976년]]에 내놓았지만, 때는 이미 늦은 뒤였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_reload.png|width=100%]]}}} || || '''XM19의 재장전 모습''' || 바로 이전의 [[AAI SPIW|3세대형 SPIW]] 설계를 바탕으로 개량되었기 때문에 외형만 놓고 보았을 때 바나나형 [[탄창]]을 제외하면 구분이 힘들 정도로 매우 유사하며, 마찬가지로 [[총열]] 내부에는 [[강선]]이 파이지 않은 대신[* 총열 끝에 달린 스피닝 커터(Spinning Cutter) 명칭의 부품을 통해 화살촉이 떠나기 직전에 회전시키는 [[https://guns.fandom.com/wiki/AAI_SPIW#Design_Details|2세대형 SPIW]] 시기의 방식이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새보]]에 싸인 플레셰트 탄약으로 뛰어난 [[http://pewpewpew.work/usa/r/spiw/flchtest39.jpg|관통력]]을 갖춘 반면 큰 발사음 때문에 [[소음기]]로 추정되는 총구 부착물이 계속 달리게 되었다. 어떻게든 중량을 낮추려는 노력으로 탄생한 30mm [[탄약]] 사용 목적의 [[유탄발사기]]는 [[미합중국 육군]] [[https://en.wikipedia.org/wiki/Rock_Island_Arsenal|록 아일랜드 조병창]]이 직접 맡아 3연발 반자동이라는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 [[M203 유탄발사기|M203]]과 같은 단발 펌프액션식 형태로 바뀌면서 부피가 크게 축소했다. == 종류 == === XM1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_sheet 1.jpg|width=100%]]}}} || || '''XM19 일반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19_sheet 0.jpg|width=100%]]}}} || || '''XM19 유탄발사기 통합형''' || [[할로 포인트]] 보다 더 비인도적인 [[다트]]총(Inhuman Dart Gun)이라는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Ottinger|리처드 오팅거(Richard Ottinger)]] [[미국 하원|미합중국 하원의원]]의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Deadly_Metal_Rain_The_Legality_of_Fleche/Q_N5DwAAQBAJ?hl=ko&gbpv=1&dq=Richard+Ottinger+Flechette&pg=PA38&printsec=frontcover|비판]]처럼 수많은 의문 속의 [[FRS(군사사업)|미래형 소총]] 사업에 따른 SFR(연발 플레셰트 소총, Serial Flechette Rifle) 명칭의 원형으로, [[AAI SPIW#3세대|3세대형 SPIW]] 외관이 거의 그대로 이어졌으며 [[https://militarybases.com/illinois/rock-island-arsenal/|록 아일랜드 조병창]]에서 따로 개발된 30mm 유탄발사기와의 통합이 이루지기도 했다. === XM7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70_sheet 1.jpg|width=100%]]}}} || || '''XM70''' || [[미국 의회|미합중국 의회]]에서도 [[https://en.wikipedia.org/wiki/Special_Purpose_Individual_Weapon#The_Future_Rifle_Program|예산 낭비]]라는 직설적 표현이 나올 정도의 맹공을 받은 미래형 소총 사업 막바지에 제출된 SSFR(간이형 연발 플레셰트 소총, Simplified Serial Flechette Rifle) 명칭의 개량형으로, 방아쇠 뭉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오픈 볼트]] 방식으로 바뀌었으나 SPIW에서 이어져 온 고질병인 낮은 단발 명중률을 극복하지 못하고 1974년에 진행된 [[제너럴 일렉트릭]] 사의 [[https://guns.fandom.com/wiki/Dual_Cycle_Rifle|복합행정소총]]과 [[https://en.wikipedia.org/wiki/Frankford_Arsenal|프랭크포드 조병창]]이 내놓은 [[M16 소총|XM16E1]] [[https://looserounds.com/556timeline/|비교 실험]]을 끝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총몸 상단에는 작은 원통형 물체가 있는데, [[도트 사이트]]처럼 보이지만 고도의 소형화가 이루어진 것은 2000년대 중반의 [[SOPMOD|제2차 소화기 개조(SOPMOD Block II)]] 사업 전후이므로 정확한 용도 등에 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 SB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sbr_sheet 0.jpg|width=100%]]}}} || || '''SBR''' || 계속되는 [[M16A1]] 대체 수요에 대비한 SBR(연발 탄환 소총, Serial Bullet Rifle) 명칭의 개량형으로, [[유리섬유]]가 첨가된 [[나일론]] 소재의 총몸으로 단가 및 중량 절감을 꾀했으며 여러모로 제약과 반발이 심한 플레셰트 대신 [[https://forum.cartridgecollectors.org/t/4-32mm-us-experimentals/653|4.32×45mm]]과 [[5.56×45mm NATO]] 탄약 사용으로 바뀌었으나 탄매가 훨씬 많아지고 반동도 심해지면서 이 역시 시험 제작 수준에서 끝났다. 또한 해당 기종의 설계는 폐기되지 않고 1986년의 다른 회사들과의 경합에 제출된 [[ACR#AAI ACR|ACR]]에게 이어졌다. === [[AC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ai-cw_sheet 0.jpg|width=100%]]}}} || || '''ACR 전기형'''[* 이때의 명칭은 [[https://www.docdroid.net/ffL1XVy/s00440-pdf/#page=4|무탄피 소총(Caseless Weapon)]]이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onnel-ufo.ru/aai_acr-5.jpg|width=100%]]}}} || || '''ACR 후기형''' || [[ACR(군사사업)|발전형 전투용 소총]] 사업에 쓰인 개량형으로, [[총알/탄자의 종류#무탄피탄|무탄피탄]]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다른 회사들과의 경합이 주가되는 심사 단계에는 다시 플레셰트 사용으로 회귀한 ACR이 제출되었으나 다른 경쟁자들과 마찬가지로 대체 대상인 [[M16A2]]과의 성능 격차를 내지 못하자 공중폭발탄을 이용하는 [[OICW(군사사업)|목적군 보병 전투용 소총]] 사업에 초점이 옮겨지면서 모두 없던 일이 되었다. == 출처 == * [[https://guns.fandom.com/wiki/AAI_XM19]] *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apper9&logNo=221467817684]] * [[http://pewpewpew.work/usa/r/frs/frs.htm]]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Anti_personnel_Weapons/imQPEAAAQBAJ?hl=ko&gbpv=1&dq=XM70+flechette&pg=PA105&printsec=frontcover]]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Department_of_Defense_Appropriations_for/PXEcAAAAMAAJ?hl=ko&gbpv=1&dq=XM19+flechette&pg=PA601&printsec=frontcover]] * [[https://www.google.co.kr/books/edition/Hearings_Reports_and_Prints_of_the_House/1RY2AAAAIAAJ?hl=ko&gbpv=1&dq=XM19+rifle&pg=PA4107&printsec=frontcover]] * [[https://apps.dtic.mil/sti/pdfs/ADA068215.pdf]] * [[https://apps.dtic.mil/sti/pdfs/AD0887066.pdf]]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