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XM312 ACSW}}}'''[br]''XM312 Advanced Crew Served Weapon''[br]''발전형 공용화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12_profile 0.jpg|width=100%]]}}} || || '''종류''' ||[[기관총#중기관총|중기관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94년]]~[[2003년]](OCSW)[br][[2003년]]~[[2009년]](XM312) || || '''개발''' ||올린 에어로스페이스(주계약자)[br]프라이멕스 테크놀로지(주계약자)[br][[제너럴 다이내믹스]](주계약자)[br][[레이시온]]([[사격통제장치]]) || || '''개발년도''' ||[[1994년]]~[[2009년]] || ||<-2> {{{#White '''기종'''}}} || || '''원형''' ||[[XM307 ACSW|XM307]] || || '''파생형''' ||[[XM806]] || ||<-2> {{{#White '''제원'''}}} || || '''탄약''' ||[[.50 BMG|12.7×99mm NATO]] || || '''급탄''' ||탄띠식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단주퇴 반동식[br][[회전 노리쇠]] || || '''총열길이''' ||914 mm || || '''전장''' ||1,560 mm || || '''중량''' ||12.70 kg(본체)[br]21.54 kg(전체) || || '''유효사거리''' ||2,000 m || || '''발사속도''' ||분당 260발 ||}}} || [목차] [clearfix] == 개요 == XM312 ACSW(발전형 [[중화기|공용화기]], Advanced Crew Served Weapon)는 [[https://guns.fandom.com/wiki/Objective_Crew_Served_Weapon|OCSW(목적군용 공용화기, Objective Crew Served Weapon)]] 사업에 따라 개발된 [[기관총#중기관총|중기관총]]이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12-crows_usa 0.jpg|width=100%]]}}} || || '''[[http://www.army-guide.com/eng/product1896.html|XM101]] [[RWS#국가별 개발 RWS|CROWS I]]와 결합된 XM312''' || 1986년 [[미합중국 육군훈련교리사령부|미 육군훈련교리사령부]]의 [[https://books.google.co.kr/books?id=4c3GovhYDzUC&pg=PA134&dq=tradoc+small+arms+strategy+2000&hl=ko&sa=X&ved=2ahUKEwjI-bvo1dX7AhX4m1YBHYk8DzUQ6AF6BAgDEAI#v=onepage&q=tradoc%20small%20arms%20strategy%202000&f=false|소화기 전략]]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는 [[JSSAP|미군 합동 제식 소화기 사업부]]의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jssap.htm|JSSAMP(합동 제식 소화기 종합계획, Joint Service Small Arms Master Plan)]]가 오래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중기관총]]과 [[Mk.19 고속유탄기관총|Mk.19 Mod.3]] [[자동유탄발사기]]를 함께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으며, 이는 곧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https://books.google.co.kr/books?id=7sZKDHUXgSoC&pg=RA4-PA22&dq=objective+family+of+small+arms+ofsa&hl=ko&sa=X&ved=2ahUKEwiJqr2a9MX6AhUBslYBHeF9D2kQ6AF6BAgGEAI#v=onepage&q=objective%20family%20of%20small%20arms%20ofsa&f=false|목적군용 소화기 계열(Objective Family of Small Arms)]]에 속하는 차기 [[중화기|공용화기]] 사업으로 발전하였다. 2003년에 들어서는 원형인 [[XM307 ACSW|공중폭발탄발사기]]의 내외장부품 교체 기능이 활용된 XM307K50이 단순한 보완 목적에서 벗어나 XM312라는 별개의 시험 제식명 부여와 함께 [[Future Combat Systems#FCS 장비|FCS 유무인차량]] 전용의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ccsw.htm|CCSW(공용 근접지원화기, Common Close Support Weapon)]]로 지정되어 [[RWS|원격조작장비]]와의 통합을 위해 곧바로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fcs-plan.htm|시스템 개발 및 실증 단계]]에 접어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a1-m153crows_usa 1.jpg|width=100%]]}}} || || '''[[https://en.wikipedia.org/wiki/CROWS|M153]] [[CROWS|CROWS II]]와 결합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A1|M2A1]]''' || 하지만 [[테러와의 전쟁]] 수행에 대부분의 국방 예산이 몰리면서 미 육군 전력의 대규모 개편을 노렸던 상위의 [[Future Combat Systems|미래형 전투 체계(FCS)]] 사업이 직격타를 맞아 2009년까지 도입이 체류되다가 [[XM806|LW50MG]] 개량으로 이어졌음에도 두격 및 격발 간격이 고정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A1|M2E2]]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8/Intl/Ascura.pdf|신속총열교체형(QCB)]][* 이는 [[https://books.google.co.kr/books?id=ERSTrTBfcV8C&pg=RA7-PA62&dq=m2hb+1997+qcb&hl=ko&sa=X&ved=2ahUKEwjIm6G-oqf8AhXMDN4KHZkdBdEQ6AF6BAgLEAI#v=onepage&q=m2hb%201997%20qcb&f=false|1997년]]에 사코 디펜스(현 [[제너럴 다이내믹스]]) 사가 계약을 따낸 동명의 사업이기도 했는데, [[XM307 ACSW|목적군용 공용화기(OCSW)]] 사업이 함께 진행되고 있어서 금새 묻혔다.] 개수에 밀려 약 10년 간의 많은 시간과 자금 투입을 뒤로 한 채 그대로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12-m2hb_comparison.jpg|width=100%]]}}} ||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와의 길이 비교''' || 자체 중량은 12.7kg으로[* 기존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가 38kg에 달하던 것과 비교하면 현격하게 줄어들었다.] 2인 도수 운반이 가능할 만큼 매우 가벼워졌으며, [[반동]]도 짧게 [[뉴턴의 운동법칙#제3법칙(Lex tertia): 작용 반작용의 법칙|왕복하는]] [[총열]]과 연소 가스로 [[가스 작동식|작동하는]] [[노리쇠#회전노리쇠|회전노리쇠]]가 쓰인 덕분에[* 이는 나중에 [[XM806]], [[LWMMG]]의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20130047833A1/en|단주퇴 반동 충격 완화식(Short Recoil Impulse Averaging)]]으로 발전하였다.] 본체 가까이에 얼굴을 [[http://pewpewpew.work/usa/ocsw/o1.jpg|대고]] 조준 사격을 해도 될 정도로 낮아진 반면, 발사 속도가 분당 260발 수준으로 느려졌다. 급탄구는 좌우 양방향으로 뚫려 있어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 [[탄띠]] 및 [[탄통]] 결합이 가능하고 과거의 [[https://www.modarmory.com/product/m2-50-cal-spade-grip/|스페이드형 손잡이(Spade Grip)]]와는 달리 본체 뒷부분에 통합된 [[조이스틱|조종간]] 형태의 손잡이를 통해 조작이 편해진 동시에 [[방아쇠]] 오조작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가능성도 감소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07&xm312.png|width=100%]]}}} || || '''[[XM307 ACSW|XM307]]과의 상호 [[컨버전|전환]] 능력''' || [[모듈|모듈식]] 설계로 짜여진 본체에 [[총열]]과 [[노리쇠]] 등의 부품 다섯개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4분 내 전환이 가능하여 전장에서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적응을 위한 훈련의 간략화까지도 꾀해졌으며, [[차량]] 또는 [[선박]] 내부에서의 [[RWS#Remote Weapon Station / Remote Weapon System / Remote controlled Weapon Stations|운용]]에 최적화되었다. == 종류 == === [[XM307 ACSW|XM30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07_usa 0.jpg|width=100%]]}}} || || '''XM307''' || 2003년 회계 연도에 지정된 공중폭발탄발사기로, 별다른 잡음 없이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fcs-plan.htm|SDD(시스템 개발 및 시연, System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과정으로 진입하여 [[Future Combat Systems#FCS 장비|FCS 유무인차량]] 전용의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7/smallarms/5_9_07/Hatin_250pm.pdf|파생형(ROV)]]까지 확정되었음에도 2007년에 도입 취소 결정이 내려지면서 곧바로 폐기되었다. === XM31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312_usa.jpg|width=100%]]}}} || || '''XM312''' || 2003년 회계 연도에 지정된 중기관총으로, 원래는 보완 목적이었다가 나중에는 별개의 기종인 [[XM806|LW50MG(XM806)]]으로 개량될 정도로 정식 도입이 유력했으나 최대 반동력이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312-specs.htm|127kg(250lbs)]]인데 반해[*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7/armaments/LipsitWed.pdf|1,000lbs]]에 달하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보다 월등히 적다.] 분당 260발 밖에 되지 않는 발사속도를 극복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XM80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xm806_1cav 1.jpg|width=100%]]}}} || || '''XM806''' || 2009년 회계 연도에 지정된 중기관총으로, 단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적인 [[사격통제장치]]나 조정간형 손잡이 등이 배제되고 보다 안정된 반동 제어를 가능케 하는 [[https://www.defensemedianetwork.com/stories/revolutionary-lightweight-machine-gun-prototype-unveiled-by-gdatp/|단주퇴 반동 충격 완화(Short Recoil Impulse Averaging)]] 작동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여전히 느린 발사 속도 때문에 정식 도입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게임 === * [[고스트 리콘 어드밴스드 워파이터|고스트 리콘 어드밴스드 워파이터]][[Xbox 360|(Xbox 360)]]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 [[스플린터 셀: 혼돈 이론]] * [[https://en.wikipedia.org/wiki/BlackSite:_Area_51|블랙사이트: 에어리어 51]] * [[https://en.wikipedia.org/wiki/Army_of_Two_(video_game)|아미 오브 투]] * [[https://en.wikipedia.org/wiki/Army_of_Two:_The_40th_Day|아미 오브 투: 40번째 날]]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ocsw.htm]]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m312.htm]] * [[https://en.wikipedia.org/wiki/XM312]] * [[http://pewpewpew.work/usa/ocsw/xm312.htm]] * [[http://pewpewpew.work/usa/mg/lw50/lw50.htm]] === PDF ===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6/smallarms/errante.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6/smallarms/cavoretto.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7/smallarms/5_8_07/Lipsit_110Panel.pdf]] * [[https://asc.army.mil/docs/wsh2/2007-wsh.pdf]] === PPT === * [[https://view.officeapps.live.com/op/view.aspx?src=https%3A%2F%2F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2Fndia%2F2003%2Fsmallarms%2Fberg.ppt&wdOrigin=BROWSELINK]] * [[https://view.officeapps.live.com/op/view.aspx?src=https%3A%2F%2F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2Fndia%2F2004%2Farms%2Fsession4%2Fli.ppt&wdOrigin=BROWSELINK]]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