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전자)] [include(틀:LG전자의 노트북 브랜드)] [목차]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cIsZ7y-Y5I)]}}}|| || 2006년 XNOTE A1 CF. 모델은 [[비(연예인)|비]].~~우왕 초경량이래~~ ||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했던 [[LG전자]]의 '''구''' [[랩탑]] 브랜드. 삼성 [[센스]]와 [[아티브]]와는 경쟁 관계였으며, 지금은 세 브랜드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LG전자의 노트북 브랜드명으로 많은 사람들이 XNOTE가 [[IBM]]의 PC사업부 정리[* 당시 IBM은 LG전자 측에 매각을 제의했지만 LG측은 거절했다는 비화가 있다.]로 인해 LG-IBM [[ThinkPad]]의 후속 브랜드로 나온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은 2002년에 이미 시장에 나온 브랜드다. 본래는 LG전자와 [[IBM]]의 합작법인 LG-IBM의 자체 브랜드이며, LG-IBM이 LG전자로 흡수합병되면서 LG전자의 브랜드가 되었다. == XNOTE == LG의 X 시리즈 중 하나로 데스크탑은 XPION, 노트북 브랜드로 XNOTE를 런칭하였다. 2002년 NZ3을 시작으로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2002년까지는 NZ + 숫자 라인업을 유지하였으며 2003년을 분기점으로 알파벳 두개 + 숫자 두자리 라인업으로 체인지하였다. 2006년을 기점으로 극히 일부 모델을 제외한 라인업들은 알파벳 하나 + 숫자 하나 라인업으로 교체되었다. 2007년 이후부터는 알파벳 하나 + 숫자 세자리 조합을 유지하고 있다. ThinkPad를 만들던 경험 때문인지 한동안은 외형에서 조금은 ThinkPad와 닮은 점이 보이기도 했었다. 키배열, 키감, 힌지형상, 열 배출구 등... 삼성 [[센스]]보다는 가성비가 조금은 더 낫다는 평은 있으며, 울트라씬 모델을 보면 유난히 흰색을 좋아하는 듯 하다. 은근히 화면 부문에서 신경을 쓰는 듯하다. [[해상도/목록#s-2.5|Full HD]] 화질의 3D 특화 모델을 내놓았으며 이후 2011년에 IPS 패널을 채용한 P220 시리즈를 첫 출시하였으며, 후속 모델인 P225 시리즈가 판매된 적이 있다. 그러나 ~~헬지라는 명성답게~~ 삼성 제품에 비하자면 외형은 잘 만들어진 것 같은데 쓰다 보면 뭔가 몇 프로 부족하다.(...)[* P시리즈와 Z시리즈의 내장 [[무선랜]] 감도가 좀 나쁘다든지, 배터리 운용 기술에 문제점이 종종 발견된다든지..] ~~[[삼성 노트북]]이 국내 점유율 1위를 괜히 하는 게 아닌 듯...~~ 2012년 당시에는 일부 모델은 LG평택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조된 적이 있었다. 지금은 전량 중국산. 그리고 보급형 기종들은 TN 패널을 사용했지만, 2014년은 전 라인업을 걸쳐서 IPS 패널이 사용되는 추세. LG측도 디스플레이를 강조하며 이를 어필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이 브랜드를 버리고 LG PC라는 브랜드를 사용 중이며, 울트라북의 경우 [[LG 울트라 PC]]와 [[LG PC gram]] 브랜드가 생겨났다. == X-Touch == X-Canvas와 X-Note의 성공으로 각종 LG전자 제품에 X 브랜드를 사용하기도 했다. 데스크탑은 X-Pion 브랜드가 생겨났고 키보드에도 X-Touch라는 브랜드를 구축하기도 하였다. 여기까지는 평범한 브랜드 탄생 이야기다. '''그런데...''' '[[파일:external/upload.inven.co.kr/i2711100973.jpg]]' 무슨 "생각"이었는지 모르겠지만, 마케팅 캐치프라이즈로 ''''[[X같은]]'''' 이라는 단어를 쓰는 바람에 ''''X같은 생각'''', ''''X같은 디자인'''', ''''X같은 기술'''', ''''X같은 색상'''' 등등 딱히 좋지 않은 어감으로 키보드를 광고 하였다. ~~[[LG전자 플래그십 브랜드#s-4.2|마케팅 부서를 갈아 엎어야 한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LG전자의 작품이 아니라 [[LG상사]]의 작품이다. 2016년 LG전자에서 [[LG X 시리즈]] 제품을 내놓으면서 기사/카페 댓글에 "[[X같은]]~" 이라는 문구가 높은 확률로 출몰하고 있다. == 라인업 == === 2002년 === * NZ3 * NZ2 * NZ4 === 2003년 === * LM40 * LM50 * LS40 * LS50 === 2004년 === * LT20 * LT50a * LM40a * LS40a * LS50a * LU20 * LP60 === 2005년 === * LM70 * LM60 * LW60 * LW70 * LS45 * LS55 * LS70 * LE50 * LW40 * LW20 * LS75 === 2006년 === * P1 * M1 * X1 * TX * K1 * LW25 * T1 * P2 * V1 * R1 * M2 * W1 * A1 * C1 === 2007년 === * Z1 * PS * E500 15인치대(15.4") 모델이며, 1280x800 및 1680x105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였다. 메롬 기반 CPU(일부 센트리노 플랫폼 적용)를 탑재하였고, GL960 및 GM965/PM965 칩셋의 MSI OEM 보드와, GMA X3100(GM965 내장), 8400M G/8600M GS, HD 2400 그래픽 등이 사용된다. 엔비디아 외장그래픽 모델 중에는 냉납으로 인한 화면 6분할 문제가 많이 보고된다. === 2009년 === * P510 프리미엄 라인업으로 진동 피드백이 들어간 히든 터치패드와 전원 버튼을 최초 탑재하고 벨벳 질감을 입힌 키보드를 장착했다. CPU는 [[인텔 코어2 시리즈|인텔 코어2 듀오]]였으며, 라인업에 따라 엔비디아 지포스 GT130이 들어가기도 했다. === 2010년 === * X300 아래 신민아가 광고했던 대표적인 제품. [[넷북]]으로 분류되는 작은 크기라 화면은 11.6인치이고 [[인텔 아톰]] 프로세서를 사용했으며 진동 피드백이 들어간 히든 터치패드와 외부의 기하학적 양각 무늬가 특징이었다. * T280 X300과 크기는 비슷하나 주력 프로세서가 [[인텔 코어2 시리즈|인텔 코어2 듀오]]이며 외형 디자인도 살짝 다르다. 그러나 히든 터치패드 등은 동일하다.[* 이 제품을 끝으로 LG에서 히든 터치패드가 들어간 노트북은 더 이상 나오지 않다가 이후 2023년에 [[LG gram(2023)|LG그램 2023년형 모델]]에서 부활했다! ] === 2011년 === * S550 * S560 === 2013년 === * Z360/ZD360 * 13Z930/13ZD930 Z(D)360의 후속작이자 LG gram 13인치 제품군의 전신이다. * U460/UD460, U560/UD560 LG 울트라 PC 14/15인치 제품군(14Uxxx, 15Uxxx)의 전신이다. == 여담 == * 배우 [[신민아]]와 [[송중기]]가 이 제품의 광고모델로 출연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image.fmkorea.com/2f1a6f01ecf4bd7064d9bdfa5d81e592.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86%A1%EC%A4%91%EA%B8%B0%28Song_Joong-ki%29_LG_XNOTE_P430_%EA%B4%91%EA%B3%A0_%EC%82%AC%EC%A7%84.jpg|width=683]] * X노트의 프로모션을 위해 2008년 [[유희열]]이 미니앨범 '[[여름날]]'을 제작한 바 있다. 이 앨범의 타이틀곡 '즐거운 나의 하루'는 당시 X노트의 광고 모델이던 신민아가 불렀다. == 관련 문서 == * [[X같은]] [[분류:노트북 컴퓨터(윈도우)/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