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YG PLUS)] || '''YG PLUS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YG엔터테인먼트)] ---- [include(틀:HYBE)] ---- }}} || ||<-2> '''{{{+1 YG PLUS}}}[br]와이지 플러스''' || ||<-2><#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 PLUS 로고.svg|width=90%&theme=light]][[파일:YG PLUS 로고 화이트.svg|width=90%&theme=dark]]}}} || ||<|2> '''정식 명칭''' ||(주)와이지플러스 || ||YG PLUS Inc.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설립일''' ||[[1996년]] [[11월 15일]] || || '''대표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ffffff '''대표이사'''}}}}}} 최성준 || || '''업종명''' ||자료처리,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 시장''' ||[[코스피]] {{{-2 (2003 ~ 현재)}}} || || '''기업 규모''' ||[[중견기업]] || || '''시가총액''' ||3,248억원 {{{-2 (2022. 09. 22)}}} || || '''모기업''' ||[[YG엔터테인먼트]] || ||<|2>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 19층 ([[여의도동]], [[서울국제금융센터|Three IFC]])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YG PLUS,너비=100%,높이=100%)]}}}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folding 세부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업 규모''' ||[[중견기업]] || || {{{#ffffff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ffffff '''상장 시장'''}}} ||[[코스피]] || || {{{#ffffff '''상장일'''}}} ||[[2003년]] [[8월 1일]] || || {{{#ffffff '''종목 코드'''}}} ||037270 || || {{{#ffffff '''직원 수'''}}} ||90명^^([[2021년]] [[9월 30일]] 기준)^^ || || {{{#ffffff '''자본금'''}}} ||323억 3,970만 5,000원^^([[2021년]] 기준)^^ || || {{{#ffffff '''매출액'''}}} ||연결: 1,543억 256만 3,674원^^([[2021년]] 기준)^^[br]별도: 1,204억 3,112만 5,929원^^([[2021년]] 기준)^^ || || {{{#ffffff '''영업이익'''}}} ||연결: 255억 7,145만 1,133원^^([[2021년]] 기준)^^[br]별도: 53억 6,035만 4,797원^^([[2021년]] 기준)^^ || || {{{#ffffff '''순이익'''}}} ||연결: 226억 1,586만 2,996원^^([[2021년]] 기준)^^[br]별도: 98억 6,263만 7,861원^^([[2021년]] 기준)^^ || || {{{#ffffff '''자산총액'''}}} ||연결: 2,231억 1,782만 9,736원^^([[2021년]] 기준)^^[br]별도: 1,610억 9,927만 6,526원^^([[2021년]] 기준)^^ || || {{{#ffffff '''부채총액'''}}} ||연결: 774억 98만 7,947원^^([[2021년]] 기준)^^[br]별도: 432억 1,332만 2,393원^^([[2021년]] 기준)^^ ||}}}}}}}}} || ||<|2> '''링크''' ||[[http://www.ygplus.com/|[[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373a3c,#ddd YG PLUS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instagram.com/seoulmusic.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eoulmusicO, 크기=20)] [[https://www.youtube.com/SEOULMUSI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음반사 및 엔터테인먼트 인프라 및 IP사업 전문기업. == 특징 == ||||{{{#!wiki style="margin:10px" {{{-1 '''레이블, 아티스트, 팬을 연결하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인프라 및 IP사업 전문기업 YG플러스는 음악, MD 등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유통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콘텐츠의 순수한 가치가 크리에이티브한 경험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엑셀러레이터로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전세계 팬들에게 스페셜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특별한 가치와 경험을 선사합니다.}}}}}} ---- {{{#!wiki style="margin:4px" {{{-2 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 현재 [[YG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이자 사업 총괄 지주 회사의 위치로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2014년, [[YG엔터테인먼트]]가 보광그룹 (現 [[BGF그룹]]) 계열사였던 휘닉스홀딩스를 인수하면서 설립되었다.[* 해당 회사의 광고대행사업은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로 분할되어 BGF그룹에서 재매입했다.] [[2021년]] [[1월 27일]],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現 [[HYBE]])가 700억 원을 투자해서 17.90%[* [[위버스컴퍼니]] 10.24% + [[HYBE]] 7.66%]의 지분을 취득하여 2대 주주가 되었다. 이로써 HYBE의 계열사 중 [[HYBE/기타 관계회사|관계기업]]이 되었다.[*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10514001345|HYBE 분기보고서]] 참고.] [[2023년]], 현재 [[써클차트]] 기준 [[대한민국]] 상반기 전체 앨범 유통의 41.5%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에 올라 있다. === 지배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YG엔터테인먼트]] || 30.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WEVERSE COMPANY|[[파일:위버스 컴퍼니 로고.png|height=20]]]] || 10.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YBE|[[파일:HYBE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7.6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양민석]] ( [[YG엔터테인먼트]] ) || 3.50 || == 사업 분야 == === 음반 및 음원 유통 === ||||{{{#!wiki style="margin:10px" {{{-1 '''{{{+1 Music Solutions}}}''' '''새로운 음악의 발견과 가치를 더해 음악산업의 발전을 리드합니다.''' YG플러스는 음악 콘텐츠에 대한 높은 이해와 경험, 사업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음악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네이버의 뮤직플랫폼 ‘VIBE’ 운영 대행사업과 YG엔터테인먼트, 하이브 등 국내외 400여 개 파트너들의 음반 및 음원 투자∙유통 사업, 인디 아티스트를 위한 차세대 글로벌 디지털 음악 유통 서비스인 ‘믹스테이프(mixtape.)사업을 전개합니다. YG플러스는 웰메이드 음악 콘텐츠를 발굴하고 유통함으로써 K-POP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새로운 음악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 음악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합니다.}}}}}} || 현재 '''400개 이상의 파트너 레이블'''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YG엔터테인먼트]] 계열과 [[HYBE LABELS]] 소속 아티스트들의 음반 및 음원을 YG PLUS가 유통한다. ==== 음원 유통 기획사 목록 ==== * [[YG엔터테인먼트]] 계열 * [[YG엔터테인먼트]] * [[THEBLACKLABEL]] * [[HYBE LABELS]] 계열 * [[빅히트 뮤직]] * [[쏘스뮤직]]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 [[KOZ 엔터테인먼트]] * [[ADOR]] * [[빌리프랩]] ==== [[네이버 VIBE]]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운영 대행을 맡고 있는 음원 사이트, rd1=네이버 VIBE)] 음원 사이트 [[네이버 VIBE]]의 운영 대행을 맡고 있다. ==== SEOUL MUSIC ==== ||<-2> {{{#ffffff [[파일:SEOUL MUSIC 로고 화이트.svg|width=100]][br]'''서울뮤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OUL MUSIC 채널아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10px" {{{-1 '''{{{+1 SEOUL MUSIC}}}''' '''서울뮤직''' MUSIC CRAVERS ALWAYS THE PLACE TO BE CREATE NEW GENRE BASED in SEOUL}}}}}} ---- {{{#!wiki style="margin:4px" {{{-2 채널 소개문}}}}}} || YG PLUS에서 발매된 음반의 뮤직비디오를 업로드하는 채널이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1theK]]와 비슷하다.] 사실 해당 채널은 기존에 [[YG엔터테인먼트]] 산하 레이블이었던 [[HIGHGRND]]의 채널이었으며, 현재도 하이그라운드 시절 발매된 뮤직비디오의 시청이 가능하다. ==== [[mixtape.]]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음원 유통 서비스, rd1=mixtape.)] [[2023년]] [[3월 20일]]에 베타 출시한 음원 유통 서비스이다. === MD 제작 및 유통 === ||||{{{#!wiki style="margin:10px" {{{-1 '''{{{+1 IP Solutions}}}''' '''아티스트와 팬을 잇는 감각적인 IP 상품을 통해 새로운 문화 트렌드를 창조합니다.''' YG플러스는 아티스트의 IP를 활용한 트렌디하고 감각적인 상품을 통해 아티스트와 팬들의 소통 경험을 확장합니다. 상품기획-개발-디자인을 잇는 인하우스(In-house) 시스템과 다양한 브랜드 파트너십, 글로벌 네트워크 및 채널을 통해 차별화된 IP 가치를 제공합니다. 또한 최신 트렌드에 맞는 크리에이티브한 상품과 아티스트 및 글로벌 팬 취향의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다양한 스토리와 이벤트를 통해 상품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으며 미국 '브라바도(Bravado)'사 등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협업하며 글로벌 IP 사업자로 성장합니다.}}}}}} || ==== [[FOREST FACTOR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OREST FACTORY)] ||<#000000> [[파일:FOREST FACTORY 로고 화이트.svg|height=30]][br]{{{#fff '''포레스트팩토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OREST FACTORY 로고.svg|width=50%]]}}} || 친환경 소재와 인쇄 기법 등을 활용한 [[K-POP]] 음반 및 MD 제작 기업이다. ==== YG SELECT ==== ||<-2> {{{#ffffff {{{+2 '''YG SELECT'''}}}[br]'''와이지 셀렉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 SELECT.jpg|width=100%]]}}} || ||<-2> [[https://www.ygselect.com/|[[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373a3c,#ddd YG SELECT 공식 홈페이지}}}]] || [[YG엔터테인먼트]] [[YG FAMILY|소속 아티스트들]]의 앨범 및 굿즈 공식몰이다. 운영 및 MD 제작과 유통을 맡고 있다. ==== YG PLACE ==== [[YG엔터테인먼트]] [[YG FAMILY|소속 아티스트들]]의 오프라인 앨범 및 굿즈 판매처이다. YG PLACE 인사동점[*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 49 안녕인사동 4층]과 The SameE (합정점)을 운영하고 있다. YG엔터테인먼트 본사 바로 앞에 위치한 더세임(The SameE) 합정점은 1층과 2층은 카페, 지하는 굿즈 매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많은 해외팬들이 찾는 것이 특징이다. ==== [[Weverse Shop]]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everse Shop)] [[Weverse]] 입점 아티스트들의 공식 MD 샵인 [[Weverse Shop]]의 MD 제작과 유통을 맡고 있다. === 벤처 투자 사업 === ||||{{{#!wiki style="margin:10px" {{{-1 '''{{{+1 Investment}}}''' '''전략적(SI), 금융적(FI)투자를 지향합니다.''' YG인베스트먼트는 벤처투자전문 기업으로 YG그룹이 보유한 다양한 콘텐츠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최신 사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투자전략을 실행합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투자기회를 발굴하고 YG그룹이 보유한 콘텐츠 및 글로벌 네트워크 등을 통해 투자기업들의 역량강화와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합니다.}}}}}} || 펀드 운용 등 금융투자 사업을 진행한다. 현재 산하에 "와이지 글로벌 컨텐츠 신기술투자조합"과 "와이지 메타버스 신기술투자조합"이 설립되어 있다. == 자회사 == === [[YG INVESTMEN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 INVESTMENT)] === [[FOREST FACTOR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OREST FACTORY)] == 기타 == * 2022년에는 가상 인간 "이안"과 "새나"를 공개하였다. [[분류:YG PLUS]] * HYBE LABELS에서 관계기업에 해당하던 [[빌리프랩]]이 2023년 9월 1일부로 HYBE가 지분 100%를 소유하며 종속기업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유통사도 [[지니뮤직]]에서 YG PLUS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