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조한)] ||<-2>
'''{{{+1 You Are My Girl}}}''' || || '''가수''' ||[[김조한]] || || '''음반''' ||지붕뚫고 하이킥 OST Part 1 || || '''발매일''' ||2009. 11. 17. || || '''장르''' ||[[발라드]] || || '''작사''' ||심현보 || || '''작곡''' ||[[김조한]] || ||<-2> '''[[노래방 수록 목록|{{{#09f,#ddd 노래방 수록 정보}}}]]''' ||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16]]]] ||46836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width=21]]]] ||31892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iyH80FauBPE)] [[지붕뚫고 하이킥]]의 엔딩곡이자 지붕뚫고 하이킥 [[OST]] Part 1 앨범의 두 번째 곡이다. 작중 내 초반을 제외하고는 본 방송이 끝나 예고편이 나올때마다 항상 변치않고 나오는 곡이다. == 가사 == || '''You Are My Girl''' || ||Cuzz you are my girl(넌 내 여자니까) You are the one that I envisioned in my dreams(넌 내가 꿈 속에서 그린 유일한 사람이야) And when you're around(네가 내 곁에 있으면) I can`t express the way I feel inside(내 안의 그 느낌들을 이루 말할 수 없어) Cuzz you are the one(넌 유일한 사람이니까) I didn`t know that you would mean so much to me(네가 내게 그렇게 큰 의미일 줄 몰랐어) Girl you're in my heart(넌 내 안에 있어) I`m so thankful you were here for me(날 위해 여기 있다는 것에 너무나 감사해) You are my girl(넌 내 여자야) When you walked into my life girl(네가 내 삶으로 걸어 들어올 때) Just one look and you took my heart(단 한 번의 시선으로 넌 내 마음을 가져갔어) I didn`t know that I could have these feelings for you(내가 널 향해 이런 감정들을 갖게 될 줄 몰랐어) There so much that I feel inside me(내 안에 느껴지는 것이 너무나 많아) I can`t believe how you make me feel(너로 인해 이런 감정을 느낀다는 걸, 믿을 수 없어) Nothing in this world could change my feelings for you(이 세상의 어떤 것도, 널 향한 내 마음을 바꿀 순 없어) Cuzz you are my girl(넌 내 여자니까) You are the one that I envisioned in my dreams(넌 내가 꿈 속에서 그린 유일한 사람이야) And when your around(네가 내 곁에 있으면) I can`t express the way I feel inside(내 안의 그 느낌들을 이루 말할 수 없어) Cuzz you are the one(넌 유일한 사람이니까) I didn`t know that you would mean so much to me(네가 내게 그렇게 큰 의미일 줄 몰랐어) Girl you're in my heart(넌 내 안에 있어) I`m so thankful you were here for me(날 위해 여기 있다는 것에 너무나 감사해) You are my girl(넌 내 여자야) lala lalala|| == 사용 사례 == 노래 자체는 평범한 [[OST]]지만 [[지붕뚫고 하이킥]]의 엔딩이 화제가 되면서 생겨난 [[패러디]]가 유행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파일:attachment/High_Kick_Season_2_ED.jpg|width=500]] [[이대로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어요|대충 이런 상황]][*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해당 장면에서는 이 노래가 흘러나오지 않았다.]에서 [[카페베네]] 로고와 함께 [[배경 음악]]으로 사용된다. 주로 앞에 희망적인 모습이 나오고 바로 이어서 같은 그림을 흑백으로 바꾼 후 카페베네 광고를 넣는다. 주로 빼도박도 못하고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했을때 쓰인다. 이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597447&no=2|예시]]는 웹툰 [[프리드로우(웹툰)|프리드로우]] 1화의 장면. [[파일:반지배네.png|width=500]] [[반지의 비밀일기]]에서도 나왔다. [youtube(yGAmq_qD2js)] [[패러디]]로 쓰이는 대표적인 사례. 그 유명한 [[이동국]]의 [[허정무호/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우루과이전|남아공 월드컵 우루과이전]] 물회오리슛이다. [youtube(I-aObD8dy30)] [[패러디]]로 쓰이는 대표적인 사례2, 그 유명한 [[KBO 플레이오프/2011년#s-5.1.3.4|2011년 KBO 플레이오프 1차전 9회말]]의 [[손페베네]]다... [youtube(LIG7tzo5St4)] [[공단기]]에서도 패러디했다. 영상은 [[전효진]]의 행정법 강의 때 언급된 [[한국토지주택공사|한국토지공사]] 직원의 뇌물수수 사건 관련된 사례가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으로 인해 재발굴되면서 만든 내용이다. --[[정해리|다 '''LH''' 거야!!]]-- 2018년 말 [[SKY 캐슬]]이 방영될 때는 You Are My Girl 대신 [[We All Lie]]가 대신 유행하기도 하였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서 나오는 [[To Be Continued]]도 흡사한 기능을 하여 [[밈(인터넷 용어)|밈]]이 되었다. 과거 [[SK 와이번스]]의 포수 [[조인성(야구)|조인성]]의 [[응원가]]로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KIA 타이거즈]] 포수 [[한승택]]의 응원가로 사용되고 있다. [youtube(8OC1s8lAG9Q)] [[KBS 2TV 주말 드라마|주말 드라마]] [[현재는 아름다워]] 예고에서 등장했다.[* [[윤시윤]]은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정준혁(지붕뚫고 하이킥)|정준혁]]을 연기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꾸쥬워마이걸, version=65)] [[분류:김조한]][[분류:2009년 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발라드]][[분류:지붕뚫고 하이킥]][[분류:드라마 음악]][[분류:인터넷 밈/음악/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