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et It Bleed 트랙리스트)] ||<#0c0c0c> '''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101, 연도=201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29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37)]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84)] ---- }}} || ||<-2><#0c0c0c> '''{{{#ffffff {{{+1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rxU5Y9lCS8,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69년]] [[7월 4일]] || || '''싱글 A면''' ||[[Honky Tonk Women]] || || '''녹음일''' ||[[1969년]] [[6월]] || || '''앨범 발매일''' ||[[1969년]] [[12월 5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e8d7be, #e8d7be); font-size: .9em" [[Let It Bleed|'''{{{#d30000 Let It Bleed}}}''']]}}} || || '''장르''' ||[[루츠 록]], [[포크 록]] || || '''재생 시간''' ||5:00{{{-2 (싱글 버전)}}}[br]7:28{{{-2 (앨범 버전) }}}|| || '''작사/작곡''' ||[[재거-리처즈]] || || '''스튜디오''' ||올림픽 스튜디오 || || '''프로듀서''' ||지미 밀러 || ||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데카 레코드[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런던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b67616d0000b273f27dae5cc83df7f478bc44f2.jp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UqSNbJuGOw,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f9QnZVpVd8,height=200)]}}} || || '''공식 음원''' || '''1968년 라이브'''[* [[The Rolling Stones Rock and Roll Circus|롤링 스톤스 로큰롤 서커스]]에서의 공연으로, 마지막에 잘 보면 박수를 치고있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1969년]]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8집 [[Let It Bleed]]의 9번 트랙. == 상세 == 1973년 Sad Day 싱글에 딸려 나와 미국 차트에서 42위에 올랐지만, 본래는 1969년 발매된 [[Let It Bleed]]의 마지막 트랙으로 [[Honky Tonk Women]] 싱글의 B사이드 곡이다. 7분짜리의 대곡이고 '''합창단'''[* 런던 바흐라는 영국의 유명한 합창단이다.]과 함께한 곡이라 스케일이 엄청나다. 평론가들로부터 '''"롤링 스톤스 곡들 중 가장 깊이 있다."'''는 평가를 들었으며 오늘날까지 롤링 스톤스 최고의 곡들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믹 재거가 음료수를 사러 한 가게에 갔다가 원하는 음료수가 없어 시무룩해 하자 옆에 있던 지미 헛메이커라는 사람이 '언제나 네가 원하는걸 가질 순 없어'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가사에는 Mr. Jimmy라는 사람이 나온다. 이 사람이 믹 재거의 친구인지 아니면 그냥 옆에 있던 사람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롤링스톤즈의 명반들에 자주 프로듀서로 참가하던 지미 밀러를 지칭하는 표현일 수도 있다.] 블루스,재즈 록 밴드 Blood, Sweat & Tears의 창립 멤버(1967~1968)이자 음악가인 알 쿠퍼가 오르간, 호른, 피아노로 참여했다. 국내 [[모토로라]] [[StarTAC]] CF에 삽입된 바 있다. == 가사 == ||<:> ---- '''{{{+2 {{{#fff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 I saw her today at the reception 오늘 그녀를 호텔 프론트에서 봤지 A glass of wine in her hand 그녀의 손에는 와인 한 잔 I knew she would meet her connection 난 그녀가 운명의 상대를 만난 걸 알았어 At her feet was a footloose man 그녀 발치엔 자유분방한 남자친구가 있었지 No,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아니,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 you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I saw her today at the reception 오늘 그녀를 호텔 프론트에서 봤지 A glass of wine in her hand 그녀의 손에는 와인 한 잔 I knew she would meet her connection 난 그녀가 운명의 상대를 만난 걸 알았어 At her feet was a footloose man 그녀 발치엔 자유분방한 남자친구가 있었지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s well you might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넌 찾을 수가 있어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And I went down to the demonstration 그리고 난 전시회로 갔지 To get my fair share of abuse 내게 필요한 학대를 받기 위해 Singing, "We're gonna vent our frustration 노래 불렀어, "우린 짜증을 풀어버릴거야 If we don't we're gonna blow a 50-amp fuse" 안된다면 50앰프짜리 퓨즈를 틀어야지"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s well you just might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넌 찾을 수가 있어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I went down to the Chelsea drugstore 난 첼시 약국에 갔어 To get your prescription filled 네가 먹을 약을 사려고 I was standing in line with Mr. Jimmy 지미 씨와 함께 줄을 섰지 And man, did he look pretty ill 이런, 그는 정말 아파보였어 We decided that we would have a soda 우리는 소다를 사기로 결심했어 My favorite flavor, cherry red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맛, 체리 레드 I sung my song to Mr. Jimmy 내가 지미 씨에게 노래를 불러주니 Yeah, and he said one word to me, and that was "dead" 단 한마디를 말하더라고, 그건 "죽었군"이었어 I said to him 난 그에게 말했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s well you just might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넌 찾을 수가 있어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You get what you need--yeah, oh baby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I saw her today at the reception 오늘 그녀를 호텔 프론트에서 봤지 In her glass was a bleeding man 그녀의 잔에는 피 흘리는 남자 She was practiced at the art of deception 속임수의 기술을 연마한거야 Well I could tell by her blood-stained hands 그녀의 피로 물든 손을 보고 알 수 있었지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s well you just might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넌 찾을 수가 있어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너는 언제나 네가 원하는 걸 가질 수는 없어 But if you try sometimes well you just might find 하지만 노력한다면 가끔은 넌 찾을 수가 있어 You get what you need 네가 필요한 걸 가질 수 있어 ---- [[파일:롤링 스톤스 심볼.svg|width=50]] ---- || [[분류:1969년 싱글]][[분류:1969년 노래]][[분류:롤링 스톤스 노래]][[분류:Let It Bleed]][[분류:루츠 록]][[분류:포크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