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 '''{{{+1 {{{#000 Zombi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zombie single.jpg|width=100%]]}}}|| || '''발매일''' ||[[1994년]] [[9월 19일]]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그런지]] || || '''재생 시간''' ||5:06 || || '''스튜디오''' ||매너 스튜디오[br]타운하우스 || || '''작사/작곡''' ||돌로레스 오리어던 || || '''프로듀서''' ||스티븐 스트리트 || ||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Ejga4kJUts)]}}}|| || '''공식 뮤직 비디오''' || [[크랜베리스]]의 1994년 2집 앨범 'No Need to Argue'에 수록된 곡이다. == 상세 == 인간이 인간에게 행하는 비인간적인 행위들, 그 사이에서 희생되는 아이들을 노래한 [[반전주의]] 성향의 곡이다. 직접적으로는 [[북아일랜드]] [[독립군]]인 [[IRA]]가 [[https://en.wikipedia.org/wiki/Warrington_bombings|1993년 2월 26일 영국 워링턴에서 벌인 폭탄 테러 사건과 거기서 희생된 3살, 12살 어린이의 죽음을 보고]] 점차 과격해지는 아일랜드 독립군의 폭력성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여기서 좀비는 바로 "인간 그 자신"을 의미한다. 또한 중간에 언급되는 1916년은 아일랜드 독립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가 일어났던 해로 사실상 독립국 [[아일랜드]]로서의 역사가 시작된 해다. 즉 역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쟁이라는 집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뜻. 이 노래가 당대에 크게 히트하면서, [[IRA]]는 거짓말처럼 서로 테러와 적대행위, 전쟁을 멈추었고 [[크랜베리스]]는 아일랜드의 역사에 길이남을 국민적 영웅이 된다. 2020년 기준으로 조회수 10억을 돌파하며 유튜브 등장 이전 나온 노래 중 5번째로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10억뷰를 앞두고 뮤비도 4K로 리마스터하며 달성을 기원했는데 비슷한 시기에 [[A-ha]]의 [[Take On Me]]도 10억을 앞두고 있어 공식 계정에서 저들보다 먼저 달성하게 해주세요라고 부탁하기도 하였다(..)] [[UFC]]에서 [[정찬성]]이 입장할 때 나오는 입장곡이기도 하다. [[토트넘 홋스퍼 FC]]의 주장 [[손흥민]]의 응원가로 채택되었다. == 가사 == || ---- {{{+2 '''Zombie'''}}} ---- Another head hangs lowly 또 한 명의 머리가 낮게 걸리고 Child is slowly taken 아이의 목숨은 서서히 사그라드네 And the violence caused such silence 폭력이 이런 침묵을 만드는 동안 Who are we mistaken 우리는 무얼 착각한 걸까 But you see, it’s not me 하지만, 봐. 난 아냐 It’s not my family 우리 가족도 아니고 In your head, 넌 네 머릿속에서, In your head they are fighting 네 머릿속 놈들과 싸우고 있는 거야 With their tanks and their bombs 그 놈들은 탱크와 폭탄을 가지고 And their bombs and their guns 폭탄과 총을 가지고 In your head, 네 머릿속에서, In your head they are cryin’ 네 머릿속에서 울부짖고 있는 거야 In your head, in your head 네 머릿속은, 네 머릿속은, Zombie, zombie, zombie 좀비, 좀비, 좀비. What’s in your head, in your head 네 머릿속에, 머릿속에 있는 건 Zombie, zombie, zombie 좀비, 좀비, 좀비. Do, do, do-o Do, do, do-o Do, do, do-o Do, do, do-o Another mother’s breakin’ 또 한 명의 어머니가 쓰러지고 Heart is taking over 마음은 꺾여 버리네 When the violence causes silence 폭력이 침묵을 만드는 동안 We must be mistaken 우리는 착각하고 있었던 거야 It’s the same old theme since 1916 1916년부터 똑같은 레퍼토리로 In your head 네 머릿속에서 In your head they’re still fighting 네 머릿속에서 아직도 싸우고 있는 거야 With their tanks and their bombs 그 놈들은 탱크와 폭탄을 가지고 And their bombs and their guns 폭탄과 총을 가지고 In your head, 네 머릿속에서, In your head they are dyin’ 네 머릿속에서 죽어 나는거야 In your head, in your head 네 머릿속은, 네 머릿속은, Zombie, zombie, zombie 좀비, 좀비, 좀비. What’s in your head, in your head 네 머릿속에, 머릿속에 있는 건 Zombie, zombie, zombie 좀비, 좀비, 좀비. Oh, oh, oh, oh, oh, oh, oh, ay-ay- ---- [[파일:Cranberries_logo.png|width=170]] || [[https://www.youtube.com/watch?v=Q9APVEGDPV8|가사 영상]] == 기타 == * [[뉴욕]]에서 진행된 1995년 2월 13일자 [[MTV 언플러그드]] 무대에서 어쿠스틱 편곡 버전을 선보인 바 있다. * 당대 인기곡이다보니, 저작 의도와는 상관없이 유로테크노 계열에서 리믹스되기도 했다. [youtube(G4GzI_vA1qs)] * [[하드스타일/아티스트#s-1.4|Ran-D]]가 [[하드스타일]] 로 편곡한 버전이 존재한다. [youtube(TmhibQ28GKE)] * 특이하게도 1999년에 제작된 바둑 게임인 [[https://blog.daum.net/2vaupc/1555571|바둑 삼국지]][* 중국 광저우 소재 중산대학교에서 개발한 [[바둑/인공지능|바둑 인공지능]]인 WULU를 토대로 제작되었다.]의 BGM으로도 수록되었는데 [[MIDI]]로 재생된다. * [[에미넴]]의 In Your Head에 샘플링 됐다. * [[정찬성]]과 [[손흥민]] 응원가에 사용되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좀비, version=770)] [[분류:1994년 노래]][[분류:1994년 싱글]][[분류:반전주의물]][[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