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테일러 스위프트/노래]][[분류:2020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 {{{#!wiki style="word-break:keep-all" ||<-3><#d1d6ce> [[테일러 스위프트|{{{#607f67 {{{-2 '''테일러 스위프트'''}}}}}}]]{{{#607f67 {{{-2 '''의'''}}}}}} [[테일러 스위프트/싱글|{{{#607f67 {{{-2 '''정식 싱글'''}}}}}}]] || || {{{#8c8c8c ←}}} ||<|2><#d1d6ce> {{{#607f67 {{{+1 ''' ''cardigan'' '''}}}[br]{{{-2 (2020.07.27.)}}}}}} || {{{#8c8c8c →}}} || || [[Lover|{{{#!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ffe6ef; color:#ff549b;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Lover'''}}}]][br][[The Man|{{{-2 {{{#878787 '''The Man'''}}}}}}]][br]{{{-2 {{{#8c8c8c ^^(2020.01.27.)^^}}}}}} || [[folklore|{{{#!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e1e1e1; color:#646464; font-size:0.55em; letter-spacing:-0.1px" '''folklore'''}}}]][br][[folklore#s-7.4|{{{-2 {{{#878787 '''exile'''}}}}}}]][br]{{{-2 {{{#8c8c8c ^^(2020.08.03.)^^}}}}}} || ||<-2> {{{+2 '''cardiga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rdigan_cover.png|width=100%]]}}}|| ||<-2> '''Single by Taylor Swift''' || || '''아티스트''' || [[테일러 스위프트|{{{#607f67 '''테일러 스위프트'''}}}]] || || '''레이블''' || [[리퍼블릭 레코드|[[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0px&bgcolor=#fff]]]] || || '''발매''' || 2020년 7월 27일 || || '''장르''' || [[포크 음악|포크]], [[소프트 록]], [[인디록]] || || '''길이''' || 3:59 || || '''송라이터''' ||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 Aaron Dessner || || '''프로듀서''' || Aaron Dessner || || '''수록음반''' || [[folklore|{{{#!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3px 4px; border-radius:2px; background:#e1e1e1; color:#646464; font-size:0.8em; letter-spacing:-0.1px" '''folklore'''}}}]] || || '''차트기록'''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80]]]] || '''{{{#red 1위}}}'''^^(1주)^^ || ||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80]]]] || 6위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80]]]] || 731,041,363회[*A 2023년 6월 8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80]]]] || 131,899,845회[*B 2023년 6월 8일 기준.]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Gif_cardigan.gif|width=100%]]}}}|| ||<#fff,#191919> {{{-2 {{{#607f67 '''When you are young, they assume you know nothing'''}}} 사람들은 어리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 [[테일러 스위프트]] 8집 [[folklore]]의 리드 싱글. == 발매 과정 == [[folklore]]에서 2번 트랙이며, 출시 16시간 전 아무런 홍보 없이 SNS를 통해 앨범 출시를 발표하며 싱글도 확정되었다. 2020년 7월 24일, 앨범 발매일과 동시에 뮤직비디오가 출시됐다. 2020년 7월 28일, [[빌보드 핫 100]] 1위 핫샷 진입을 목표로 cardigan 싱글 컬렉션 3종 (싱글 CD, 7인치 Vinyl, 12인치 Vinyl)의 '''프리오더'''가 '''단 3일간''' 진행되었다. 이 세 가지 품목에 한해서 테일러가 4월 말에 [[더 내셔널|아론 데스너]]에게 전송했던 '''오리지널 보이스 메모'''가 수록된다. 곡을 작업하는 과정에서 녹음한 것으로, 최종 발매 버전과는 상이한 가사로 녹음되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taylorswift13/status/1287963786842968065|#]] [[https://twitter.com/aaron_dessner/status/1288218664496508928|#]] 2020년 7월 29일에는 전세계 13,000장 한정판으로 픽쳐디스크의 프리오더가 단 2일간 진행되었으며, 역시 오리지널 보이스 메모가 수록되어있다. [[https://twitter.com/taylornation13/status/1288282843513151489|#]] 2021년 [[그래미 어워드]] Song Of The Year / Best Pop Solo Performance 에 노미니 되었다. == cardigan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M_lVZIpgnjU)]}}}|| ||<#d1d6ce> {{{#607f67 {{{+2 '''cardigan'''}}}}}}[br]{{{#8c8c8c 3:59}}} || || {{{#!folding [ 가사 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br] Vintage tee, brand new phone 빈티지 티셔츠, 새로운 휴대폰 High heels on cobblestones 자갈길 위의 하이힐 When you are young, they assume you know nothing 사람들은 어리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Sequin smile, black lipstick 반짝이는 미소와 검은색 립스틱 Sensual politics 사회를 향한 관능적인 목소리 When you are young, they assume you know nothing 사람들은 어리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But I knew you 하지만 난 널 알았어 Dancin' in your Levi's 청바지를 입고 취한 채 Drunk under a streetlight, I 가로등 아래에서 춤을 추는 널 I knew you 난 알았어 Hand under my sweatshirt 내 스웨터 안으로 들어 오던 너의 손길 Baby, kiss it better, I 키스로 아픔을 잊게 해준 널 And when I felt like I was an old cardigan 그리고 내가 그저 누군가의 침대 밑에 놓인 Under someone's bed 오래된 가디건처럼 느껴졌을 때 You put me on and said I was your favorite 넌 나를 입고 가장 좋아하는 것이라고 말해줬지 A friend to all is a friend to none 모두의 친구는 그 누구에게도 친구가 아니지 Chase two girls, lose the one 두 소녀를 쫓으면 운명을 놓칠 거야 When you are young, they assume you know nothing 사람들은 어리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But I knew you 하지만 난 널 알았어 Playing hide-and-seek and 나와 숨바꼭질을 하며 Giving me your weekends, I 너의 주말을 내어주던 널 I knew you 난 알았어 Your heartbeat on the High Line 뉴욕의 공원 위에서 네 심장이 느낀 Once in twenty lifetimes, I 스무 살 인생 속 단 한 번의 느낌을 And when I felt like I was an old cardigan 그리고 내가 그저 누군가의 침대 밑에 놓인 Under someone's bed 오래된 가디건처럼 느껴졌을 때 You put me on and said I was your favorite 넌 나를 입고 가장 좋아하는 것이라고 말해줬지 To kiss in cars and downtown bars 차 안, 그리고 시내에 있던 바에서의 키스는 Was all we needed 우리가 원했던 전부였어 You drew stars around my scars 넌 내 상처 주위에 별들을 그려줬지만 But now I'm bleedin' 지금의 난 피를 흘리고 있어 'Cause I knew you 난 널 알고 있었어 Steppin' on the last train 네가 마지막 기차에 발을 올랐다는 걸 Marked me like a bloodstain, I 지워지지 않는 핏자국을 내게 남겼다는 걸 I knew you 난 알았어 Tried to change the ending 웬디를 잃은 피터팬 이야기의 Peter losing Wendy, I 결말을 바꾸려고 했다는 걸 I knew you 난 알았어 Leavin' like a father 네가 아빠처럼 떠나가고 Running like water 흘러가는 물같이 달아나려는 걸 And when you are young, they assume you know nothing 사람들은 어리면 아무것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But I knew you'd linger like a tattoo kiss 하지만 난 알았어, 네가 타투처럼 오래 남을 것을 I knew you'd haunt all of my what-ifs 혹시 모를 일들로 날 괴롭게 할 거란 것을 The smell of smoke would hang around this long 그 담배 연기 냄새를 이렇게 오래 남길 것을 'Cause I knew everything when I was young 난 어린 나이에도 전부 알고 있었어 I knew I'd curse you for the longest time 난 알았어, 내가 오래도록 널 저주할 것을 Chasin' shadows in the grocery line 계산대 줄에서 너의 그림자를 쫓을 것을 I knew you'd miss me once the thrill expired 그 열기가 식고 나면 나를 그리워할 것을 And you'd be standin' in my front porch light 그리고 네가 다시 우리 집 현관 아래 서있을 것을 And I knew you'd come back to me 그렇게 네가 내게 돌아올 것을 알았어 You'd come back to me 네가 내게 돌아올 것을 And you'd come back to me 네가 내게 돌아올 것을 And you'd come back 네가 돌아올 것을 And when I felt like I was an old cardigan 내가 그저 누군가의 침대 밑에 놓인 Under someone's bed 오래된 가디건처럼 느껴졌을 때 You put me on and said I was your favorite 넌 나를 입고 가장 좋아하는 것이라고 말해줬어}}}}}} || === 의미 === 테일러가 이번 앨범에서 가상으로 설정한 십대 청소년들의 [[삼각관계]]에 대해 다룬 첫 번째 노래이다. 이 삼각관계에 대해 표현한 다른 두 노래는 수록곡 8번 트랙 'august'와 17번 트랙 'betty'이다. 따라서 이 세 곡을 연이어 들으면 테일러가 설정한 주인공들의 스토리를 이해할 수 있다. 테일러는 이 삼각관계에 대해 "각자에게 다른 영향을 미친 한 마을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말했다. 삼각관계 주인공은 각각 제임스, 베티, 무명의 소녀이다. 여기서 제임스와 베티라는 이름은 테일러의 오랜 친구인 [[라이언 레이놀즈]]와 [[블레이크 라이블리]] 부부의 첫째 딸과 막내 딸의 이름에서 따왔다. 둘째 딸인 이네즈는 제임스의 입장을 표현한 'betty'에서 제임스와 베티의 친구로 등장한다. 제임스와 베티는 17살로 연인 사이였으나 제임스가 다른 여자와 바람을 피워 서로 냉전인 상황이다. 'cardigan'은 이번 앨범에서 테일러가 설정한 가상의 십대 세 명의 삼각관계 러브스토리 중 '베티'의 시점을 다룬 곡으로, 자신을 두고 다른 여자와 눈이 맞은 제임스와 그로 인한 복잡한 심경을 담은 노래이다. 베티는 제임스와 연인 사이였으나 제임스는 어느 여름날 한 여자애에게서 '차에 탈래?'라는 제안을 받고 그 여자애와 원나잇을 하게 된다. 남자친구의 배신을 알게 된 베티는 혼란스러운 감정에 빠지는데 가디건은 그런 베티의 심정을 표현한 곡이다. 제임스는 베티를 두고 다른 여자와 바람 피웠던 것을 후회하며 베티에게 용서를 구하는데 그의 심정은 'betty'에서 다루고 있다. 제임스와 잠시 눈이 맞았던 무명의 소녀는 제임스를 진심으로 사랑했으나 결국 제임스의 맘을 가질 수 없었다는 점을 안타까워하는데 이 소녀의 입장을 표현한 곡이 바로 'august'이다. 제임스와 베티와 달리 이 소녀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디즈니 플러스]]를 통해 공개 된 folklore 앨범 제작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포크로어: 롱 폰드 스튜디오 세션'에 따르면 이 노래의 주인공인 소녀 이름은 어거스틴(augustine)이라고 한다. 테일러는 "드라마 등에서는 사악한 여자애가 작정하고 임자 있는 남자를 유혹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실적으로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어거스틴은 그저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받고 싶었던 평범한 여자애"라고 말했다. === 뮤직비디오 === ||<#d1d6ce> {{{#607f67 {{{-1 '''cardigan'''}}}[br]{{{+1 '''Mus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a8s8OLBSE)]}}}|| === 리릭비디오 === ||<#d1d6ce> {{{#607f67 {{{-1 '''cardigan'''}}}[br]{{{+1 '''Lyric Vide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LSUp53y-HQ)]}}}|| === 이스터에그 === ||<#d1d6ce> {{{#607f67 {{{-1 '''cardigan'''}}}[br]{{{+1 '''The Making of cardigan'''}}}}}}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QdWYNi8Wc)]}}}|| * 테일러가 가디건 노래와 뮤직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에서 있었던 비화와 뮤직비디오 속에 의도적으로 숨겨 놓은 [[이스터 에그]] 등을 설명한 영상이다. * cardigan은 7집 [[Lover]] 수록곡 [[The Man]]에 이어 테일러가 직접 연출한 뮤직비디오이다. * 뮤직비디오 촬영 당시 [[코로나19]]로 인해 테일러는 헤어, 메이크업, 의상 등을 본인이 직접 담당했다. 촬영 당시 직접 자신의 잠옷을 입었다. * 뮤직비디오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사진 속 남자는 테일러의 할아버지 딘 스위프트로 사진 속 모습은 젊은 시절 [[과달카날 전투]]에 참전했던 시절에 촬영한 것이다. 그의 모습은 13번 트랙 'epiphany'에도 반영되어 있다. * 뮤직비디오에서 피아노 위에 있는 시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숫자 [[1]]과 [[3]]을 가리키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13]]은 테일러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이다. * 뮤직비디오에서 피아노 옆에 있는 하얀 집 그림은 테일러가 자가격리 이후 맞은 첫 번째 주에 그린 그림이다. * 뮤직비디오에서 숲 속 장면은 연애 초창기 때 모든 것이 마법 같이 아름다워 보이는 심경을 표현한 것이다. * 반대로 뮤직비디오에서 테일러가 바다 한 가운데서 허우적거리는 시퀀스는 연애 관계가 허물어질 때 느끼는 공포와 고립감을 표현한 것이다. == 리믹스 == ||<#d1d6ce> {{{#607f67 {{{-1 '''cardigan (cabin in candlelight version)'''}}}[br]{{{+1 '''Official Visualiz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50QUXDeC80)]}}}|| * 2020년 7월 30일 발매를 기념해 단 1일간 싱글 컬렉션 3종 (싱글 CD, 7인치 Vinyl, 12인치 Vinyl)의 프리오더가 진행되었다.[[https://twitter.com/taylornation13/status/1288687906085900288|#]] * [[더 내셔널|아론 데스너]]에 의하면 놀랍게도 '''발매 전날 = 단 하루만에''' 완성된 버전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aaron_dessner/status/1288869561186619392|#]] == 성적 ==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amp/articles/news/list/9494940/best-songs-2020-top-100|{{{#000000 빌보드 스태프 선정 2020년 최고의 곡}}}]][br]{{{#000000 {{{+5 11위}}}}}}'''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fff,#191919><-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ROCKSTAR(DaBaby)|ROCKSTAR]]'' [[DaBaby|{{{-2 {{{#8086a0 DaBaby}}}}}}]] || {{{+1 →}}} || '''cardigan'''[br]'''[[테일러 스위프트|{{{-2 {{{#8086a0 Taylor Swift}}}}}}]]'''[br]{{{-2 (1주)}}} || {{{+1 →}}} || ''[[Watermelon Sugar]]'' [[해리 스타일스|{{{-2 {{{#8086a0 Harry Styles}}}}}}]] || [[빌보드 핫 100]]에서 핫샷으로 '''1위''' 데뷔를 하였다. HOT 100 차트 1위는 [[Look What You Made Me Do]] 이후 여섯 번째이다. 스트리밍 수만 7900만 건을 기록하며, [[아리아나 그란데]]의 [[thank u, next]]가 가지고 있던 스트리밍 기록 7000만을 넘으면서 여성 아티스트 발매일 앨범 스트리밍 수 기록을 깼다. 역사상 최초로 같은 주에 빌보드 200과 빌보드 핫 100 모두 1위로 데뷔하는 기록을 세웠다. 2022년, cardigan이 틱톡 바이럴을 통해 스포티파이에서 잠깐 역주행하였다. The Eras Tour를 시작한 이후로도 조명을 받아 계속 차트인하며 롱런 중이다. == 여담 == * 가디건을 프로듀싱한 아론 대스너가 속한 '[[더 내셔널]]'은 테일러가 가장 좋아하는 밴드 중 하나이다. 이들은 cardigan이 발매되기 약 1년 전, 테일러가 더 내셔널이 [[브루클린]]에서 개최한 [[콘서트]]에 참석하면서 처음 만났다. * 테일러는 더 내셔널에게 어떻게 곡 작업을 하냐고 물었고, 그들은 전 세계에 흩어져 살기 때문에 원격으로 작업한다고 답했다. 이를 통해 테일러도 [[자가격리]] 동안 원격으로 작업하고자 더 내셔널에 연락했다. 테일러는 "더 내셔널과의 협업이 가장 힘들이지 않은 작업이었다"고 했으며 "이들을 만난 것이 무척 행운이라고 느낀다"고 말했다. * 테일러가 곡 작업을 제안했을 때 애론 데스너는 [[뉴욕]]에서 가족과 함께 지내고 있었다. 그는 테일러에게 가장 최근 몇 시간 동안에 걸쳐 작업한 음악을 보냈고, 테일러는 작업을 끝마친 '가디건' 노래를 아론에게 다시 보냈다. * 애론 데스너의 쌍둥이 형제 브라이스 데스너는 가디건의 편곡을 맡았다. * 테일러는 이번 뮤직비디오에서 아카데미 후보에 올랐던 촬영감독 로드리고 프리토와 [[The Man]]에 이어 다시 조우했다. * 테일러는 이번 뮤직비디오를 작업할 때 감상했던 판타지 영화와 일상에서 영감을 얻었고, 프리토에게 그림, 타임 코드가 적힌 스토리보드 숏 리스트 등 각 장면의 비주얼 레퍼런스를 보냈다. * 촬영 현장에 위생 검사관이 있었고 UV 라이트를 사용했으며 매 컷마다 피아노 건반에 이를 뿌렸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테일러 스위프트/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