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어]] 단어 == === [[시대]](時代) === 시대(時代) 또는 연대(年代)를 뜻한다. 미국식 발음은 ɪrə(이러), 영국식 발음은 ɪərə(이어러).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대)] === [[폭발반응장갑]] === ERA. '''E'''xplosive '''R'''eactive '''A'''rmor의 두문자어.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반응장갑)] == [[야구]]의 [[평균자책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평균자책점)] == 미국 여성평등권 운동 == ERA Equal Right Amendment 남녀 성별에 무관하게 동등한 법률적 권리를 가지도록 미국헌법을 개정하자는 운동. 1923년 처음 의회에 제안되었고 1970년대 초에 상하 양원을 통과하였고 현재 30 여 개주가 이를 비준하였다. 1960~70년대 미국 여권운동의 가장 대표적 활동이었다. == [[몰도바]], [[폴란드]]의 통신사 == 몰도바와 폴란드 전역에서 영업중인 통신사이다.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 [[TaQ]]의 대표작 중 하나. 2003년 그가 개최한 라이브 공연 bounce를 녹음하여 출판한 앨범인 bounce connected에 라이브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이 곡은 3종류의 음원('''nostalmix'''[* 흔히 nostal mix로도 적히지만 원제를 따르자면 붙여서 쓴다.], '''step mix''', step remix)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IIDX 문단을 참조. [[https://youtu.be/ghzZbbKV-IY|인터넷에 퍼져있는 롱버전]]은 팬메이드로 편곡된 음원이다. OST는 nostalmix만 수록되어 있으며, 나머지 두 버전의 음원은 어느 OST에도 실려있지 않다. [[BGA]]는 전체적으로 푸른색 톤의 전용 BGA로, [[VJ GYO]]가 제작하였다. 곡 길이나 BPM이 똑같은 관계로 음원에 관계없이 BGA를 공유하기 때문에 step mix 측 BGA에서도 nostalmix라는 문구를 볼 수 있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DRUM'N'BASS[br][[드럼 앤 베이스]] || [[BPM]] ||<-2> 90~180[* 180→90→180→90]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7> '''nostalmix''' || || 전광판 표기 ||<-6> '''{{{#ff5a00 ERA }}}''' || || 싱글 플레이 || {{{#blue 5}}} || {{{#blue 437}}} || {{{#orange 8}}} || {{{#orange 555}}} || {{{#red 9}}} || {{{#red 786}}} || || [[더블 플레이]] || {{{#blue 5}}} || {{{#blue 437}}} || {{{#orange 12}}} || {{{#orange 952}}} || {{{#red 12}}} || {{{#red 1226※}}} || ||<-7> '''step mix''' || || 전광판 표기 ||<-6> '''{{{#ff5a00 ERA }}}''' || || 싱글 플레이 || {{{#blue 5}}} || {{{#blue 565}}} || {{{#orange 8}}} || {{{#orange 733}}} || {{{#red 9}}} || {{{#red 875}}} || || [[더블 플레이]] || {{{#blue 4}}} || {{{#blue 503}}} || {{{#orange 8}}} || {{{#orange 728}}} || {{{#red 12}}} || {{{#red 1226※}}} || * ※표시는 동일 채보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nostalmix : [[beatmania IIDX 3rd style|3rd style]] ~ * step mix : [[beatmania IIDX 4th style|4th style]] ~ * 가정용판 수록 * nostalmix : [[beatmania IIDX 3rd style|3rd style]], [[beatmania IIDX 5th style|5th style]], [[beatmania IIDX 7th style|7th style]], [[beatmania IIDX 8th style|8th style]], [[beatmania IIDX 13 DistorteD|13 DistorteD]], [[beatmania IIDX 16 EMPRESS|16 EMPRESS]] (PREMIUM BEST SIDE), [[beatmania US|US]],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16년 10월 추가) * step mix : [[beatmania IIDX 4th style|4th style]], [[beatmania IIDX 8th style|8th style]], [[beatmania IIDX 16 EMPRESS|16 EMPRESS]] (PREMIUM BEST SIDE) * [[HELL(beatmania IIDX)|HELL 코스]] : [[Schlagwerk]] - [[R5]] - [[era]] - [[THE SAFARI]] - [[Holic]] * [[단위인정]] 수록 * nostalmix * SPH : '''4단''' (7th ~ 27 HEROIC VERSE, CS 7th, CS 8th, CS 13 DistorteD) * SPA : 히든 8단 (CS 7th) * DPH : 10단 (7th ~ 8th, 11 IIDX RED ~ 13 DistorteD, CS 7th) * stepmix * SPH: 2단(CS 8th) * SPA: '''9단''' (7th ~ 8th, CS 8th) * DPH: 6단 (7th ~ 8th, CS 8th) 전 패턴 공통으로 [[변속]]이 까다롭다. 일부 패턴은 중반의 저속구간에 돌입하기 직전에 빈틈이 있기 때문에 배속을 재조정할 수는 있으나 이러면 그 다음의 고속구간을 제대로 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배속 조정 없이 플레이한다.[* DPA를 제외한 nostalmix는 저속구간 돌입 전 빈틈이 있어서 SUD+/스크래치를 이용한 FHS배속 재조정을 이용한 대응이 먹히긴 하지만 고속구간 돌입 전의 빈틈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노트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step mix 전보면과 nostalmix DPA는 저속구간 진입 전 변속 대응 방지구간이 있어서 이게 더 어렵다. 또한 (SUD+같은 경우) CRT 디스플레이의 경우 잔상이 거의 없어서 고배속 유저의 경우 SUD+ 적용/해제를 해도 문제가 안됐지만 LCD의 경우 배속이 높으면 잔상 때문에 노트가 잘안보여서 배속조절이 어렵다.] 보면은 많지만 nostalmix(통상), nostalmix SPA, nostalmix DPA(=step mix)으로 총 세가지 음원이 쓰였다. OST 음원은 nostalmix(통상)에 가깝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VvMojtmdq8c)] '''nostalmix'''의 싱글 노멀 [youtube(zF7sferTCwc)] '''nostalmix'''의 싱글 하이퍼 변속구간을 제외하면 무난한 패턴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이라면 이지/노멀 게이지의 경우 최후반에 나오는 동시치기 구간인데 이 구간은 레벨 8을 시작한 지 얼마 안된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구간이라 연습이 필요하다. 하드 게이지를 쓰면 쉬워진다고 하나, 저속구간의 잔미스를 조심해야 한다. [youtube(qHW3oxM5PQo)] '''nostalmix'''의 싱글 어나더 노멀, 하이퍼의 음원과 조금 다르다. 이 음원이 step remix인데, 실제로 step mix와 nostalmix를 절충한 듯한 구성을 하고 있다. 하지만 타이틀이 바뀐다던가 하는 연출은 없고 원래 제목 그대로 나온다. 중반부 저속 나선 [[계단]]이 조금 까다롭지만 같은 색 건반 위주이기 때문에 step mix보다는 할만하다. [youtube(Guc5NGtJzCo)] '''step mix'''의 싱글 노멀 [youtube(iN3lsDjI__0)] '''step mix'''의 싱글 하이퍼 SPA보다 쉽게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고유의 특징은 그대로 살아있다. 이지/노멀 게이지의 경우 중반 저속구간을 어느정도 버리고 가더라도 최후반 저속구간에서 잔미스가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하드 게이지는 중반 저속구간을 그대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레벨 8의 함정으로 간주된다. [youtube(FuqMocY1eXQ)] '''step mix'''의 싱글 어나더 nostalmix의 싱글 어나더보다 훨씬 어렵다. 스크래치의 수도 많아졌고 군데군데 연타가 있으며 저속 나선계단이 훨씬 까다롭게 바뀌었다. 계단을 제외한 저속 파트의 노트 수도 늘었다. 9레벨 중에서는 [[STILL IN MY HEART]]와 더불어 하드 게이지 최상위권이며 EX-하드로는 앵간한 11은 대놓고 물렙으로 취급할 정도로 정말 어렵다. 노멀 게이지는 나선계단에서 2%를 찍어도 뒷부분에서 충분히 80% 이상 회복할 수 있으므로 9레벨 상위권 정도로 평가된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vshRJgtJ-3g)] '''nostalmix'''의 더블 하이퍼 '''nostalmix''' 측은 하이퍼도 12레벨을 자랑한다. 음원이 다른 만큼 채보의 성격도 다소 다르지만 난이도 측면에서는 큰 차이 없다고 평가된다. 이 채보는 12 HAPPY SKY에서는 11레벨로 책정되었지만 15 DJ TROOPERS에서 12로 올랐다. 다시 말해 DJT ~ Resort Anthem 시기에는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레벨이 역전된 채보]]였던 셈이다. [youtube(T3KDNoHKOlw)] '''nostalmix'''와 '''step mix'''의 더블 어나더 첫 수록 당시 '''nostalmix'''의 더블 어나더는 기존과 다른 음원을 사용했다. 이것이 '''step mix'''이며, 4th에서 신규 채보와 함께 독립된 악곡으로 수록된 것이다. 그런데 독립해나간 step mix 측에는 step mix 음원에 맞춘 다섯 채보가 추가되었지만, nostalmix 측에는 기존 음원에 맞춘 신규 DPA가 추가되지 않고 기존의 DPA를 그대로 사용했다. 이 때문에 두 DPA는 음원과 노트가 '''완전히 같다.''' 이처럼 다른 곡을 골랐는데 같은 패턴이 나오는 사례는 아직까지 유일하다. 더 재밌는 것은 난이도 체계가 개편된 12 HAPPY SKY 당시 nostalmix가 11레벨, step mix가 12레벨로 책정되었다는 점이다. 이유는 클리어 레이트가 nostalmix 쪽이 더 높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음 버전 13 DistorteD에서 step mix가 11로 하향되어 논란은 종식되었고, 19 Lincle에서 둘 다 12로 상승했다. 난이도 측면에서 보자면 [[Holic]]과 함께 [[HAPPY SKY]]이후의 난이도 체계에서 IIDX 최초의 12레벨 할당곡이었다. 다만 한 때 11레벨이었던 만큼 12레벨 상위권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그렇다고 해서 마냥 물렙은 아니다. 구작 더블 채보답게 무리스크래치가 자주 등장하며 저속 이전 1P 측에선 nostalmix의 SPA 패턴이 그대로 등장한다. 저속 나선계단은 원핸드로 연주해야 하므로 난이도가 더 높아졌다. 후반부가 꽤 쉽기 때문에 노멀 클리어 이하는 편하지만 하드 클리어는 훨씬 어려우며, 12레벨 값을 한다. ==== 아티스트 코멘트 ==== ||이 트랙부터는, 왠지 언제나 광기라고 할까, 소름끼칠 것 같은 압도적인 박력같은 것을 느끼게 됩니다. 역시 혼을 담아서 만든 곡만이, 듣는 사람에게 그와 같은 감정을 줄 수 있는 것이겠죠. 솔직히 말해서, 처음은 이 곡의 장점을 눈치채지 못했습니다만, 기체에서 나오는 음을 들은 순간은 등골이 오싹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7KEYS는 꽤 어렵지만, LIGHT7부터 연습해서, 부디 클리어를 목표로 잡아주세요. ( [[dj TAKA]] ) era, 「시대」. 처음은, 역시 현상을 만들어내는 것 같은 모습으로의 「시대」의 표현이 떠올랐습니다. 즉, 연표를 늘려서, 「여기서부터, 여기까지」라며 구분 짓고서 분류할 수 있는 것 같은 「시대」를 더듬는 것도 떠올렸지만, 반복해서 듣고 있으면, 그러지 말고, 어느 「시대」에도, 인간이 항상 느끼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장대함」을 나타낸 곡이지 않나…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결국, 후자를 모티프로, 특징적인 소리나 프레이즈를 상징화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가로로 넓어짐과 중후감이 부족한 점이 안타깝지만, TaQ로부터 받은 메일에, 그가 가장 좋다고 말했던 블루가 전체의 기본적인 색채가 되었다는 점이나, 브레이크에서 퍼트가 되었을 때 여성(물이 채워진 조각 같은 것)이 떨어지는 장소 등을 기뻐해 주셔서, 일단 안심하고 있습니다. ( VJ GYO )|| === [[beatmania II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Klp6d7kFO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TV4xrDEMRI)]}}} || || nostalmix || step mix[* nostalmix의 어나더 보면이라 그런지 IIDX의 nostalmix SPA보면과 음원이 같다.] || APPEND CORE REMIX에 이식되었다. === [[DanceDanceRevolution]] === ||<-12><#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73a3c,#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3> CHALLENGE || |||| 4 |||| 5 |||| 8 |||| 11 ||<-3> - || || 89 || 0 || 125 || 0 || 235 || 0 || 356 || 0 || - || - || - || ||<|2> '''[[더블 플레이]]''' ||||<|2> - |||| 5 |||| 7 |||| 11 ||||<-3> - || || 142 || 0 || 217 || 0 || 331 || 0 || - || - || - || || BPM ||<-11> 90~180 || || 아케이드 버전 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4thMIX]] || * [[DanceDanceRevolution/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VS0LWScpi9w)] 4thMIX에 이식되었다. 음원은 nostalmix만을 사용하며 저속 구간과 마무리 부분이 절반 길이로 편집되어 있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파일:external/cdn44.atwikiimg.com/?cmd=upload&act=open&pageid=1476&file=era.png|width=200]] || [[파일:external/cdn44.atwikiimg.com/?cmd=upload&act=open&pageid=1476&file=era%28sp%29.png|width=200]] || ||<:> nostal mix[br]베이직, 미디움, 하드||<:> step mix[br]스페셜||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90-18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 {{{#green 4}}} || {{{#orange 7}}} || {{{#red 10}}} || {{{#08afdb 11}}} || || 오브젝트 || {{{#green 127}}} || {{{#orange 274}}} || {{{#red 518}}} || {{{#08afdb 696}}} || || 수록버전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 [[유구의 리플레시아|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90-180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6}}} || {{{#orange 7}}} || {{{#red 12}}} || {{{#Magenta 13}}} || || SKILL RATE || {{{#green 23}}} || {{{#orange 29}}} || {{{#red 60}}} || {{{#Magenta 69}}} || || 오브젝트 || {{{#green 127}}} || {{{#orange 274}}} || {{{#red 518}}} ||<|2> {{{#Magenta 696}}} || || MAX COMBO || {{{#green 246}}} || {{{#orange 407}}} || {{{#red 707}}} || || JUST REFLEC || {{{#green 6}}} || {{{#orange 10}}} || {{{#red 15}}} || {{{#Magenta 20}}} || [youtube(P0EsK8Whyyw)] HARD 패턴(nostalmix) 플레이 영상 [youtube(rqRhmO-FMzk)] White Hard(구 SPECIAL) 패턴(step mix) 플레이 영상 TaQ는 IIDX 참가를 그만 둔지 10년이 넘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이식이 없어보일것 같았지만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의 고전 BEMANI곡 재수록 이벤트인 [[BEMANI MUSIC FOCUS]] 대상곡으로 지정되어 리플렉 비트에 이식되었다. 1회차인 DJ TOTTO의 선곡 중 4곡중 가장 마지막에 히든으로 해금된다. 스페셜 채보에선 nostalmix가 아닌 step mix가 나오며, 스페셜 보면만 자켓이 다르다는 특이점이 있다. 베이직/미디움/하드의 자켓과 스페셜의 자켓 모두 BGA에서 따온 것. step mix는 별도의 OST 음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IIDX의 게임내 음원을 재녹음해 사용하였다. 스페셜 보면 해금은 하드 패턴까지를 해금하고 다시 한 번 폴더에 들어가면 따로 없던 스페셜 보면이 생긴다. 그 뒤 플레이하면 해금 완료. 즉 한 회차를 전부 해금하는데 500만 어퍼 포인트가 필요하다. step mix는 저속부분의 16비트 계단 + 탑노트부분은 오리지널 IIDX의 7키 어나더 패턴과 동일하다. 탑노트가 파란건반에 대응되는 셈. 해당 부분때문에 상당히 개인차가 심한 편. 스코어링을 할 때 이 부분을 잘치느냐에 따라 점수가 크게 갈리게 되며, 그 이후의 부분도 잔그렛이 잘 뜨는 편이라 생각보단 스코어링이 까다로울 수 있다. 자신에게 편한 손배치를 연구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여담으로 이 곡의 미디움 난이도는 볼짜2까지는 7이었다. 그런데 리플레시아 와서는 왜인지 구작 5에 해당하는 7로 책정되었다. 제작진의 실수로 수정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9로 가야했던 모양. ==== 아티스트 코멘트 ==== ||IIDX에서 발밑의 베이스 셰이커로부터 전해지는 중후한 저음을 처음 체감했을 때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제 음악성의 근원 중 하나이기도 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 [[DJ TOTTO]] || == 텍스트 기반 시뮬레이션 게임 [[era 시리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era 시리즈)] [[분류:동음이의어]][[분류:beatmania IIDX 3rd style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4th style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