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어 단어 == {{{+1 in·clude}}} 「[[동사]]」 포함하다. (타동사) ~을 ~에 포함시키다. === 다른 형태 === * [[명사|명사형]]: inclusion (포함) * [[형용사|형용사형]]: includable, includible, inclusive (포함할 수 있는) * [[동사|동사형]] * [[3인칭]] 단수 현재: includes * [[과거]]: included * 과거[[분사]]: included * 현재[[분사]]: including == [[C언어|C 계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 == 헤더 파일을 코드 안에 불러올 때 사용하며, 앞에 #을 붙여 #include <...>의 형식으로 코드 최상단에 작성한다. [[Python]], [[Java]] 등 다수의 다른 프로그랭 언어에서는 비슷한 역할로 import를 사용한다. == [[나무위키]]의 매크로 문법 == 어떤 문서 내에 틀이나 다른 문서나 삽입할 때 사용된다. 99%는 틀을 삽입하는 데 사용된다. === [[문서#s-3]] 삽입 === {{{[include(문서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include(나무위키)]}}}를 입력하는 경우, [[나무위키]] 문서가 이 문서에 삽입된다. {{{#!folding 【 출력 내용 펼치기 · 접기 】 [include(나무위키)]}}} 단 이렇게 하는 경우 목차와 각주가 합쳐지는 일이 발생한다. 그리고 해당 문서 안에 삽입된 틀은 보이지 않는다.[* [[나무위키]] 문서에선 볼 수 있는 최상단 틀과 하위 문서를 안내하는 여러 개의 틀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clude 안에서는 include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이를 이용하여 틀 항목에 그 틀에 대해 사용 방법을 적어둔 설명문을 넣는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 경우 틀을 삽입할 때, 틀 문서의 본체인 틀 부분만 삽입되고, 설명문 부분은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clude도 문단 편집이 작동해서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그 문단 편집을 이용하여 실제 문서로 조금 불편하게나마 이동할 수 있다. === [[나무위키:틀|틀]] 삽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문법 도움말, 앵커=include)] {{{[include(틀:틀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include 문법은 대부분 틀을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나무위키:문법 도움말, version=1909)] [[분류:영어 단어]][[분류:나무위키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