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칼라드볼그|Caladborg]] 명의를 사용한 [[USAO]]. == [[beatmania IIDX]] == [include(틀:Spada†leggendaria)] || 장르명 |||||||||| TRIBE CORE[br]트라이브 코어 || [[BPM]] |||| 195 || || 전광판 표기 ||<#454545><-8> '''{{{#FF5A00 INVOKER}}}'''[* LEGGENDARIA가 정식 난이도로 편입되기 이전 별도의 곡으로 있었던 당시 이 표기 뒤에 ' '''LEGGENdARIA''''가 붙었다.] || ||||||||||||||||||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 {{{#blue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FD067C LEGGENDARIA}}} || || 싱글 플레이 || {{{#blue 5}}} || {{{#blue 569}}} || {{{#orange 9}}} || {{{#orange 1009}}} || {{{#red 12}}} || {{{#red 1624}}} || {{{#FD067C 12}}} || {{{#FD067C 1851}}} || || [[더블 플레이]] || {{{#blue 6}}} || {{{#blue 579}}} || {{{#orange 10}}} || {{{#orange 1242}}} || {{{#red 12}}} || {{{#red 1659}}} || {{{#FD067C 12}}} || {{{#FD067C 1773}}}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1 SPADA|21 SPADA]]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2020년 1월 추가) * [[단위인정]] 수록 * SPA : 10단 (23 copula) [[2014년]] [[3월 3일]] [[Spada†leggendaria]]로 공개된 4번째 엑스트라 전용곡. 소환조건 대상곡은 [[USAO]]의 [[ZED]]와 [[Miracle 5ympho X]] 2곡이다. 중간에 잠깐 [[GENOM SCREAMS]] 프레이즈 전환에 쓰였던 왜곡된 기계음성 샘플링이 나온다. (위 영상에서 58초)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E)]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E)] [youtube(CePPRf-4xwc)] SPA 영상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A+)]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A+)] [youtube(opf3vgA5HTE)] SPL 영상 싱글 하이퍼는 단순한 난타 위주로, 레벨 9에서는 중간 수준. 싱글 어나더 채보는 난타+스크래치 복합패턴이지만 스크래치가 대부분 정박에 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 레벨 12 하위권이라는 평가가 많으며 비공식 서열표에서 지력 E에 할당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rhythmgame&no=4225770&page=1&search_pos=&s_type=search_all&s_keyword=%EC%9D%B8%EB%B3%B4%EC%BB%A4|공개 첫날 클리어레이트가 전무후무한 '''100%'''를 기록하기도 했다.]] 첫날에는 페이즈 1이다보니 세 곡을 전부 풀콤보를 해내야 해서 실력이 어느정도 있는 사람들이 하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 물론 [[A(BEMANI 시리즈)|A]] 등의 당장 11로 내려가야 할 수준은 절대 아니다. 4월 23일 LEGGENDARIA 채보가 공개되면서 이야기가 바뀌게 되었는데 싱글 어나더의 난타 채보가 강화되고 일반 어나더 채보에서는 일부 음을 덜어내어 약화된 스크래치 파트를 크게 강화시켜 '''[[스크래치곡|16비트 스크래치가]] [[후살|최후반까지 몰아치는 수준]]'''으로 바뀌면서 노멀 게이지, 하드 게이지 클리어 난이도가 큰폭으로 올라가 [[Snake Stick]] 위치까지 올라갔다. 함께 추가된 타 LEGGENDARIA 채보들이 하나같이 괴물같은 난이도를 보여 그에 비하면 쉬운 편이지만, 레벨 12 전체로 놓고 보면 상당히 어려운 채보. === 더블 플레이 === [youtube(RA7FtoxluPs)] DPA 영상 [youtube(THfSndoDDVE)] DPL 영상 더블 어나더는 싱글 어나더에 비해 키음을 많이 배치하고 단타 스크래치였던 것이 연사로 바뀌었으며[* 싱글은 하단의 SPL패턴에서 재현되어 있다.] 12레벨에서는 약체에 속했던 SPA와 다르게 DPA는 하드 게이지든 노멀 게이지든 중급 정도의 난이도를 보여준다. 여러모로 [[KAMAITACHI]]와 비슷한 구성. 중반부 쉬는 구간 전 동시치기를 동반한 폭타가 굉장히 처리하기 까다로운 손배치를 요구하며 사이사이에 견제 스크래치를 끼워 도약을 강제하여 게이지관리를 힘들게 한다. 이후 쉬는구간과 쉬운 계단으로 게이지를 벌 수 있지만 상술했듯이 싱글과 다르게 연사 형태로 내려오는 스크래치에 당황할 수 있으며 동시치기 교차 폭타 후 스크래치 연사가 매우 빠른 손 이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중살과 함께 난점으로 꼽힌다. DPL은 전체적으로 DPA에서 동시치기가 강화되었으며 쉬는 구간도 까다로운 모양의 계단이 몰아치는 등 전체적으로 살이 많이 붙은 채보이다. 중살은 거의 비슷하지만 후살의 스크래치가 더 어려워졌는데 스크래치 연사가 더 길어져서 손이 더 빨리 움직여야히고 이동트릴, 축연타 동시치기 등 게이지를 갉아먹히는 요소가 산재해 있어 집중력이 필요하다. 어느 폭타구간에서 대량의 bp손실을 유도하기보다는 까다로운 패턴으로 갉아먹는 식의 채보로 후반 스크래치연사 돌입전까지 게이지를 100% 들고갈 자신이 있다면 하드게이지가 좀 더 수월할 수 있지만 레겐다리아 채보 특성상 접근성이 좋지 않아 하드 게이지 박치기를 하기보다 그루브 게이지로 채보를 손과 눈에 익히고 도전하는 것이 좋다.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Caladborg 전설이라는 것은 신, 즉 최강. 돈, 권력, 힘으로는 넘어설 수 없는 신의 파워. 대지는 잔뜩 분노하여 회오리 바람이 발생 자기[* 자석과 자석의 사이나 자석과 전류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근원]가 흐트러지고 하늘에서는 운석이 쏟아지고 음속을 뛰어넘는 충격파로서 모든 것을 압도하는 힘. 그것이 최강 파워. 그 신의 힘을 드러내는 기동자(起動者)=Invoker 라는 뜻을 이 곡에 담았습니다. || [[분류:beatmania IIDX 21 SPADA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