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it's live}}}[br]잇츠라이브''' || ||<-2><#fff,#1f2023> [[파일:it's live 로고.svg|width=200]] || || '''운영''' ||[[문화방송|[[파일:MBC 로고.svg|width=50]]]] || || '''개설일''' ||[[2020년]] [[8월 11일]] || || '''구독자''' ||약 163만명[*기준 2023년 11월 1일 기준] || || '''조회수''' ||563,468,198회[*기준] || || '''기획''' ||[[서정문]][* 직전까지 [[PD수첩]] 공동 진행.], 김재희[* 라디오PD 출신(지금은 라디오 시대, 두시의 데이트, [[푸른밤]], [[별이 빛나는 밤에]], [[시선집중]] 등 연출). 문화공연사업부에서 뮤지컬 및 호주 시드니 K-POP 기획, 이후 디지털 플랫폼/콘텐츠 담당부서 및 MBC 자회사 SMC 콘텐츠 총괄이사를 거쳐 현재 MBC D.콘텐츠랩 파트장] || || '''CP''' ||박수민|| || '''연출''' ||지현진, 이민주, 김유진, 오현지, 안예원, 오예은, 강성은, 정유민, 주보라, 박민아, 박주은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B9e3pof1o83aa0kkaoeJG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tsLIVEofficial, 크기=20)] [[https://www.tiktok.com/@itslive_official?lang=ko-KR|[[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MORE than LIVE, MORE than KPOP [[문화방송]] 미디어전략본부 D.크리에이티브스튜디오 산하 D.콘텐츠제작2팀과 D.콘탠츠랩파트에서 운영하는 음악 라이브 [[유튜브]] 채널. 풀세션 밴드 라이브를 들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 시작된 [[MBC 일부 프로그램 HYBE 불화 의혹|MBC 예능본부와 하이브와의 갈등]]으로 인해 MBC에서 하이브 소속 가수들을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곳이다. == 채널 역사 == 채널명이 두 번 바뀌었다. 2016년 1월 만들어졌던 MBig tv 채널이 이후 2017년 3월 마지막 영상을 끝으로 죽은 채널이 되었다가, 2020년 [[정형돈]]이 중심이 되는 웹예능 [[돈플릭스]]가 올라오면서 채널이 다시 활성화되고 이때 채널명도 Mdromeda로 바뀌었다. 돈플릭스가 끝나고 바로 [[https://www.youtube.com/watch?v=SZxplgKXJc4|it's Live로서의 첫 영상]]이 올라오면서 채널의 정체성이 확립되었다. MBC의 웹예능 채널은 [[https://www.youtube.com/c/mdromedastudio/|M드로메다 스튜디오]]로 2020년 12월 새로 분할되었다. == 담당 부서 == 첫 공개 당시부터 [[박성제 체제]]에서 신설된 미디어전략본부 D.크리에이티브센터[* D.크리에이티브센터 자체는 이전 [[최승호 체제]] 후기에 독립 부서로 신설되어 있었다.] 산하 제작1부([[M드로메다 스튜디오]]팀)가 맡아왔다가, 2021년 조직개편으로 D.크리에이티브센터가 국장급의 D.크리에이티브스튜디오로 격상되어 그 산하 부서로 있었다. 2023년 [[안형준 체제]]에 들어서면서 팀제가 도입되었고 부서도 M드로메다스튜디오팀에서 분리되어 [[소비더머니]]와 함께 D.콘텐츠제작2팀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프로그램 우측 상단에 M드로메다 프로임을 증명하는 MDR Music 마크는 그대로 남아있다. == [[it's Live/에피소드|에피소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t's Live/에피소드)] == 참여 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t's Live X 우주소녀)] [[분류:문화방송]][[분류:MBC 유튜브 채널]][[분류:웹예능]]